본문
|
고려의 문신. 자는 중현(仲顯). 충렬공(휘 方慶)의 현손으로, 아버지는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상락군(上洛君) 묘(昴)이며, 성균직강(成均直講)을 지낸 구용(九容)의 아우이다. 과거에 급제하여 정몽주(鄭夢周)·이숭인(李崇仁)·정도전(鄭道傳)·이존오(李存吾) 등과 친분이 두터웠다.
1364년(공민왕 13)에 좌정언(左正言)이 되었는데 한휘(韓暉)와 이구수(李龜壽)가 변공(邊功)으로 첨의평리(僉議評理)에 발탁되어 기밀을 마음대로 하고 총행이 지나치므로 고신(告身:辭令書)에 서명하지 않았다. 이 일로 두 사람이 참소하여 하옥되려다가 밀직부사 김달상(金達祥) 등이 간관을 하옥하면 훗날 모든 허물이 왕에게 돌아갈 것이며, 고신에 서명하지 않은 것이 죄가 될 것이 없다고 만류하여 모면하였다. 그러나 병을 핑계로 나오지 않으므로 왕이 강제로 고신에 서명하게 한 뒤 파면하였다.
공민왕이 반원개혁정치(反元改革政治)를 하고자 하여, 1366년 하남왕(河南王. 주1)에게 전녹생(田祿生)을 사신으로 보낼 때 군부좌랑(軍簿佐郎)으로 서장관이 되어 수행하였다. 연경에 이르렀을 때 하남왕과의 수교를 싫어한 원나라의 태자가 귀환하라는 명령을 내리자 전녹생을 되돌려보낸 후 병을 핑계로 연경에 머물고 있다가 틈을 보아 홀로 하남에 가서 국서를 전달하였다. 이 공으로 하남왕의 상주에 의하여 중서병부낭중 첨서하남강북등처행추밀원사(中書兵部郎中簽書河南江北等處行樞密院事)가 되었다.
이어 하남왕의 보빙사(報聘使) 곽영석(郭永錫)과 함께 돌아오자 공민왕은 그 노고를 치하하여 대언에 임명하려 하였으나, 신돈(辛旽)이 자기를 찾아오지 않음을 불쾌히 여겨 반대한 까닭에 내서사인이 되었고, 이어서 전교부령(典校副令)으로 좌천되었다. 그뒤 전 밀직부사 김정(金精) 등과 더불어 신돈을 죽이려고 모의하다가 전 홍주목사 정휘(鄭暉)의 고발로 인하여 기밀이 누설되어 왕명으로 순군옥(巡軍獄)에 갇히어 국문을 받고 귀양가던 도중에 신돈이 보낸 사람에 의하여 죽음을 당하였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林英正〉
*주1 하남(河南, 허난) : 하남은 송대(960-1279)에 다시 한번 중심 도시로 부각되었지만 12세기, 북쪽에서 여진족이 침략하자 송나라 정부는 개봉(開封, 카이펑)을 버리고 남쪽으로 이주해 버렸다. 황하(黃河, 황허)의 비옥한 평원 덕분에 이 지역은 언제나 많은 인구들로 넘쳐났고 여전히 중요 농업 지역으로 남았다. 정저우(정주), 뤄양(낙양), 카이펑(개봉) 등의 주요 도시가 있다. 샤오린쓰(소림사), 롱먼스쿠(용문석굴) 등의 유적지가 있다.
1. 시문 소개
1)익제리문충공만사(益齊李文忠公挽辭-익제 이문충공의 만사)
文章道德獨兼全(문장도덕독겸전) : 문장과 도덕을 홀로 온전히 겸하였고 問禮聞詩二十年(문례문시이십년) : 예를 묻고 시를 듣기 이십 년이었구나 一曲顔回誰解聽(일곡안회수해청) : 한 곡조를 안희 외에 누가 알아 들으리 從今我欲絶琴絃(종금아욕절금현) : 지금부터 나는 거문고 줄을 끊고자 한노라
2)휴가(休暇)
天下紛紛事鬪爭(천하분분사투쟁) : 천하는 어지러이 싸움만 일삼거니 黎民何日見昇平(려민하일견승평) : 백성들은 그 언제나 태평 세월 만나보리 水沈煙裏茅堂靜(수침연리모당정) : 물안개에 잠긴 초가집이 고요하니 時復挑燈憶孔明(시부도등억공명) : 때때로 등불 돋우며 공명을 그리워하네
3)기무설사(寄無說師-무설사에게 부침) (2005. 2. 28. 태영(군) 제공) 世事紛紛是與非 : 세상은 서로 서로 옳다 긇다 다투는데 十年塵土汚人衣 : 여러해 더럽힌몸 낸들 어이 씻을손가 落花啼鳥春風裏 : 봄바람 부는곳에 꽃지고 새울거늘 何處靑山獨掩扉 : 청산은 어이하여 알고도 모른는듯
*김제안(金齊顔) 1367년경 代言 仲賢
2. 각종 자료 소개
1) <신증 동국여지승람 내 기록 내용> (2003. 4. 25. 윤만(문) 제공)
▣ 제3권 p429<안동대도호부 인물 고려(高麗) ; 김제안(金齊顔)> --김제안(金齊顔) : 구용(九容)의 아우이다. 공민왕 조에 급제하였다. 군부좌랑(軍簿佐郞)으로서 전록생(田祿生)을 조아 하남왕(河南王) 확곽첩목아(擴廓帖木兒)에게 사신(使臣)으로 가다가 연경(燕京)에 이르니 황태자(皇太子)가 그와 통신(通信)하는 것을 미워하여 저지(沮止)시켰다. 녹생(祿生)은 곧 우리나라로 돌아오고 제안(齊顔)이 홀로 연경에 머물러 있다가 마침내 국서(國書)를 하남왕(河南王)에게 전달하였다. 뒤에 신돈(辛旽)을 죽이려고 꾀하다가 일이 누설(漏泄)되어서 죽었다.
2) 밀직부사(密直副使) 김정(金精)과 전교령(典校令) 김제안(金齊顔)의 졸기(卒記) (2003. 10. 11. 윤만(문) 제공)
≪출전 : 동사강목 제15상 공민왕17년10월(명(明) 태조(太祖) 홍무(洪武) 원년, 1368)≫ --밀직부사(密直副使) 김정(金精)과 전교령(典校令) 김제안(金齊顔)을 죽였다. --김정 등이 김흥조(金興祖)ㆍ조사공(趙思恭)ㆍ유사의(兪思義) 등 7인과 신돈을 베어 죽이기로 모의였는데, 사공이 그 모의를 자기와 친한 정휘(鄭暉)에게 누설했고, 휘는 이춘부(李春富)에게 고하였다. 그래서 드디어 왕에게 들어가 고해 곤장을 쳐 유배하였는데 신돈이 사람을 보내어 목을 매어 죽였다. 무릇 돈의 손에 죽임을 당한 자들은 처자(妻子)도 감히 호소하지 못하고 조정의 신하들도 감히 말을 꺼내지 못하였다. 돈이 유배한 사람들을 깡그리 죽이려 들자 홍영통(洪永通)이 말하기를, “불씨(佛氏)의 인과응보가 가히 두려우니 원컨대 공은 생각하십시오.”하고 말렸다. 그래서 돈 은 깨달아 그만두었다.
3)도은(陶隱)이숭인(李崇仁)이 중현(仲賢) 김제안(金齊顔)에게 편지 (2005. 4. 21. 영환(문) 제공)
연경(燕京)에 논 사람을 전송하며 겸하여 중현(仲賢)에게 편지하며 (중현은 이때 하남왕(河南王) 막하에 있었다.)
펄펄 날으는 단혈(丹穴)의 봉황새 새끼는 범상치 않은 나무에만 날라 보이네 날센 형하(熒河)의 준마(駿馬)는 뛰며 밟아 큰길을 생각하네 오부(烏府)는 참으로 깨끗한 벼슬이지만 세상이 막혀 도리혀 뜻을 잃었다 소매를 떨치며 북녁으로 나갈려는데 초목(草木)에 가을 바람은 저무누나 연산(燕山)은 제왕(帝王)의 서울 아득히 안개에 가리워 있네 돌아가는 길 참으로 험하고 멀어 가는 길 제발 말 달리기 조심하게 내 들었거니 천자(天子)는 성스러워 팔짱끼고 다스리는 정치를 베풀었고 수상(首相)은 세상을 바로 잡을 뜻을 가져 인재를 구하여 바야흐로 토포(吐哺)한다네 그대는 재주와 학식이 가멸지니 어찌 때를 만나지 못함을 근심하랴 멀리서 헤아리건데 한번가서 뵈온다면 기쁘게 특별한 사랑을 입으리라 중현(仲賢)은 또한 비범한 선비라 나와는 친한 벗이 었었지 서로 사귀어 온지 십여년에 재주와 명성은 뛰어 났다네 탄 말이 다시는 돌아오지 않나니 나로 하여금 길이 사모케 하네 내 홀로 그윽하게 고독히 삶을 한하며 세월을 농사일로 보내리 행여! 나래가 난다면 올라 붙어 만리를 달릴까나.
[註] ○1丹穴…봉황새가 나오는곳 ○2丹河孫…熒河(형하)의 龍孫의 뜻. 용손은 준마(駿馬)다. ○3烏府…司憲府(사헌부) ○4팔짱끼고 다스리다…옛 聖王은 팔짱을 끼고 가만히 앉아 있어도 거룩한 덕으로 천하를 태평하게 다스렸다.<書經에 垂拱而治天下> ○5吐哺…吐哺握髮(포토악발)- 중국의 周公이 어진 사람을 구하여 식사때나 목욕때에 손님이 찾아오면먹던 것을 뱉고 감던 머리를 거머쥐고 맞이했다는 것. 賢士를 구하는 지극한 정성. ○6史記 伯夷列傳에 백이 숙제가 비록 어지나 孔子를 얻어 이름이 더욱 들나고, 안연(顔淵)이 독실히 배웠으나 천리마의 꼬리에 붙어 그 行이 세상에 더욱 현창됐다. 파리는 천리마의 꼬리에 붙어 천리를 간다는뜻.
김제안 金齊顔 ?~1368 고려말의 문신 본관 안동. 자 중현(仲賢). 명장(名將) 방경(方慶)의 증손이며 척약재(惕若齋) 김구용(金九容)의 아우이다. 문과에 급제, 정몽주(鄭夢周) ·이숭인(李崇仁) ·정도전(鄭道傳) 등과 사귀었다. 1364년(공민왕 13) 좌정언(左正言)으로 있을 때 변공(邊功)으로 첨의평리(僉議評理)에 특진한 한휘(韓暉) ·이구수(李龜壽)의 고신(告身)에 서명하지 않았다가 왕명으로 서명하고 파직되었다. 1366년 군부좌랑(軍簿佐郞)으로 전녹생(田祿生)의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하남왕(河南王) 쿼쿼티무르[擴廓帖本兒]에게 국서(國書)를 전달한 공으로 대언(代言)에 임명되려 했으나, 신돈(辛旽)의 저지로 좌천된 후 전(前)밀직부사(密直副使) 김정(金精) 등과 함께 신돈을 모살(謀殺)하려다가 잡혀 죽었다. <출전:도은문집>
4) <축은집> 속의 시들 *2005. 7. 18. 영환(문) 발견, 2005. 8. 1. 익수(제) 번역. 항용(제) 제공 *축은집 : 축은 김방려의 문집 *축은 김방려( 1324-1423) 소개 : 김방려의 자는 汝用, 호는 築隱, 김해인이다. 권양촌 근이 일찍이 공을 김해로 돌아가도록 보냈다. 강직하였고 세상을 꺼림이 많았다. 스스로 학문을 닦고 문장력을 갖추고 있었다. (출전 : 전녹생의 <야은일고> 존모록 기록내용-金方礪字汝用。號築隱。金海人。權陽村近嘗送公歸金海。有剛直多違世。懷藏自識時之句)
(1)逢友有感 贈築隱 (봉우유감 증축은-벗을 만난 정감에. 축은에게 드림) 老人皮骨軟如花(노인피골연여화)-늙인이의 피부와 뼈가 꽃처럼 부드러우니 虱嘬勝蜂蝎走蛇(슬최승봉갈주사)-이가 벌을 물고, 전갈이 뱀에게 도망을 가도다. 況復蚤雛胸腹據(황복조추흉복거)-하물며 다시금 벼룩 새끼들이 배와 가슴에 붙어서 指端不畏漏流沙(지단불외누류사)-손끝도 무서워 않고 빠져나가고 미끄러지누나 吾以吾年度爾年(오이오년도이년)-나는 내 나이를, 그대는 그대 나이를 헤아려 보나니 人生老少一生前(인생로소일생전)-인생의 늙고 젊음이 한 삶에 있구려 靑春白髮同歸趣(청춘백발동귀취)-청춘과 백발이 함께 돌아가자고 달려가니 富貴功名摠可憐(부귀공명총가련)-부귀와 공명이란 모두가 가련키만 하구려
<역자 해설>
만년에 절친한 벗사이인 축은 김방려와 김제안 선조님이 우연히 만났다. 서로를 살펴보니 자신들은 이미 늙어 있다. 그런데 젊고 철없는 아이들이(이, 뱀, 벼룩새끼) 온 세상을 어지럽히고 판을 치고 있는 상황이 되었다. 오히려 중신들마저 이들 젊은이들에게 쫓기는 신세가 되어 버렸다. 그리고 나를 괴롭히는 이 못된 젊은 놈들을 잡으려 하나 요리조리 도망을 쳐 빠져 나가기만 하니 잡을 수도 없다. 이제 두 벗이 자신들의 연륜을 헤아려 보니 이미 모두 늙어 버렸다. 그리하여 부귀와 공명이란 다 부질없는 것임을 다시금 깨닫고 마주 앉아 인생무상과 늙음을 탄식하면서 지은 七言律詩이다 축은 김방려 築隱 金方勵(1324∼1423)
(2)贈 築隱(증 축은-축은에게 줌)
晴景不多九十春 (청경부다구십춘) : 맑은 햇빛 봄 석달만 하랴 何時更作少年人 (하시경작소년인) : 어느 때나 다시 젊은이 되어 보나 杏花遙處風流子 (행화요처풍류자) : 살구꽃 따라 멀리 가던 풍류남아여 柳絮前程雨好辰 (류서전정우호진) : 버들꽃이 앞길에 비처럼 흩날린 날 有意靑春三月暮 (유의청춘삼월모) : 뜻을 품은 청춘의 3월도 저물어 無情白髮一生新 (무정백발일생신) : 무정한 백발은 하나씩 새로 생기네 去年此日金溪客 (거년차일금계객) : 작년 이맘때는 金溪의 나그네더니 今在蓬山所謂眞 (금재봉산소위진) : 오늘은 봉산에서 신선이시런가
*絮=풀솜서, 버들꽃서
(3)譏談 贈築隱(기담 증축은-꾸짖는 말로 축은에게 줌) 靜居便是一瞿曇(정거편시일구담) : 고요히 사노라니 날이 계속 흐릴까하는 걱정뿐 草屋勝於白石菴(초옥승어백석암) : 초가집은 白石菴보다 훨씬 더 낫네 門外皆君狂客醉(문외개군광객취) : 문밖의 모든 사람은 술 취한 미친 나그네들 書中尙友古人談(서중상우고인담) : 책 속의 古人을 벗삼아 이야기 하네 若爲禪學橫渠濁(약위선학횡거탁) : 禪學을 하느라 張載처럼 탁해졌는데 能用尼珠洍水淡(능용미주사수담) : 공자의 문장으로 洍水처럼 산뜻해졌네 紅玉酒耶能請我(홍옥주야능청아) : 붉은 玉酒로 나를 청하니 終朝喜色爽山嵐(종조희색상산람) : 온종일 기쁜 빛 띄고 산 아지랑이 처럼 상쾌하네 *橫渠(횡거) : 북( )의 張載의 자 *洍水(사수) : 강물이 샛강으로 되었다가 본류로 합쳐지는 강 瞿=놀라볼 구 曇=흐릴 담 洍=강이름 사(원문=水+四) 爽=시원할 상 嵐=남기운 람
7) 寄無說師 金齊顔(무열스님께--김제안) (2005. 12. 18. 발용(군) 제공) 世事紛紛是與非(세사분분시여비) : 세상일 옳다 그르다 시비가 분분하니 十年塵土汚人衣(십년진토오인의) : 십년동안 속세에서 옷만 더럽혔네. 落花啼鳥春風裏(낙화제조춘풍리) : 봄바람 불자 꽃 지고 새 우는데 何處靑山獨掩扉(하처청산독엄비) : 어드메 청산에서 홀로 사립문 닫으시나
스님! 오늘 따라 스님 생각이 참 간절합니다. 티끌세상은 오늘도 저만 옳다고 싸움박질이 한창입니다. 귀는 닫고 저 할 소리들만 쏟아대니, 결국은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는 게지요. 벼슬 길 십년에 남은 것은 티끌 세상 시비에 물든 더러운 옷 한 벌 뿐입니다. 지는 꽃이 아쉽다고 새들은 저렇듯 울어쌓는데, 이 고운 봄바람 속에서 스님은 어느 곳 청산에 꼭꼭 숨어 계시는지요. 보고 싶습니다. 스님! 사립문 꼭 닫고 숨어만 계시지 말고 미혹한 중생에게도 한 말씀 죽비소릴 내려주셔야지요.
자료출처 : 鄭 珉 한문학 (일부 시문 역문 내용, 항용(제) 윤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