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탐구-판결사공(김효건)-2-동년
페이지 정보
김영환 작성일13-03-25 12:31 조회2,529회 댓글1건본문
인조(仁祖) 2 년의 문과 수록인원 : 11명
인명 자 호 생몰년 본관 합격등급
김주우(金柱宇) 만고(萬古) 이면(易眠) 1598 ~ ? 안동(安東[舊]) 갑과(甲科) 1[壯元]위
조문수(曺文秀) 자실(子實) 설정(雪汀) 1590 ~ ? 창녕(昌寧) 을과(乙科) 1위
이석달(李碩達) 군민(君敏) 1603 ~ ? 전주(全州) 을과(乙科) 2위
정지우(鄭之羽) 자수(子修) 창해자(滄海子) 1592 ~ 1646 동래(東萊) 병과(丙科) 1위
이사상(李士祥) 선응(善應) 취아(醉啞) 1573 ~ ? 용인(龍仁) 병과(丙科) 2위
이후양(李後陽) 이숙(耳叔) 1597 ~ ? 전주(全州) 병과(丙科) 3위
박정(朴筳) 명지(鳴之) 1579 ~ ? 밀양(密陽) 병과(丙科) 4위
김효건(金孝建) 선술(善述) 경옹(警翁) 1584 ~ ? 안동(安東[舊]) 병과(丙科) 5위
한언(韓琂) 이율(而栗) 1572 ~ ? 청주(淸州) 병과(丙科) 6위
이건(李鍵) 중계(重啓) 1557 ~ ? 공주(公州) 병과(丙科) 7위
한흥일(韓興一) 진보(振甫) 유시(柳市) 1587 ~ ? 청주(淸州) 병과(丙科) 8위
왕대년 인조(仁祖) 2
시험일 1624년 04월 28일
합격자발표일 1624년 04월 28일
시험종류 별시(別試)
시험명 갑자 2년 정시방(甲子二年庭試榜)
시험문제 표(表) 일장(一場)
문과장원 장원급제 : 김주우(金柱宇)
합격인원 : 11명
무과장원 장원급제 : 구인준(具仁俊)
합격인원 : 4명
시험실시이유 별시이다. 이괄(李适)의 난을 평정하고 서울로 올라온 경사를 축하하기 위해 실시한 시험이다.
특이사항 태학사본과 국회도본, 장서각본에 이괄의 난을 평정하고 서울로 돌아온 경사를 축하하기 위해 5월 14일 시험을 시행하였는데 사방에서 모두 기뻐하였다고 나온다. 그중 국회도본에는 무과 장원 구인준(具仁俊)의 3대와 외조, 처부를 밝혔으며, 장서각본에는 시험 문제를 밝혔다.
인조실록에 진사 김주우(金柱宇) 등 11인을 뽑았다고 나온다.
출전방목명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국조방목(國朝榜目)》
참고문헌 《國朝文科榜目》(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太學社, 1988)-[태학사본]
《國朝榜目》(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 國會圖書館, 1971)-[국회도본]
《國朝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古朝26-47])-[국중도본]
《國朝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K2-3538·K2-3539]-[장서각본]
《인조실록》
인조2년(1624년)에는 2/15일에 공주에서 정시를 4/28일에 한양에서 정시를 치루었다.
이 자료가 혼합되어 인조2년 정시 문과 두 자료가 합해서 나오기도 하지만
이는 잘 못된 기록이다.
2/15일=인조2년갑자 공주정시
4/28일=일조2년갑자 정시
이렇게 다르다.
댓글목록
김재영님의 댓글
![]() |
김재영 |
---|---|
작성일 |
감사합니다. 창수록에 등장하시는 분도 있는것 같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