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진설법/ "脯脩置者胊右左末"***

페이지 정보

대종회 작성일14-03-30 23:47 조회2,494회 댓글0건

본문

 

 

                                                      "脯脩置者胊右左末"

                 포(脯)에는 곧은 포인 정(脡)과 굽힌 포인 구(胊)가 있는데 좌구우말(左胊右末)의 구(胊)는 이미 굽힘 포로서

                 직역하면, 포수(脯脩)를 놓는 자리는 “구(胊)는 왼쪽이며 끝이 오른쪽이다.”

                  여기서 포수(脯脩)의 방위를 특별히 지적하지 않으면 좌구우말(左胊右末)이 앉은 사람 방위로 일러져,

                  동구서말(東胊西末)로 차림이 되어,

                  소뢰례(少牢禮) 소(疏)에서 일렀듯이 범재어생인사인개우수지도존우고야(凡載魚生人死人皆右首地道尊右故也)의

                  법도에 어그러지고, 또 서포동해(西脯東醢)의 위치에도 어그러지게 됩니다.

                  따라서 포수치자좌구우말(脯脩置者左胊右末)의 치자(置者)를 놓는 곳으로 번역되면 좌구우말(左胊右末)의 좌우

                  (左右)는 상을 받는 사람의 좌우(左右)가 되어 동쪽에 놓이게 되고 꼬리가 서쪽으로 향하게 되어 포(脯) 진설

                  법도에 어그러지게 됩니다.

                  이와 같아서 치자(置者)의 자(者)를 사람으로 번역(飜譯)하여야 이에서 두서동미(頭西東尾), 지도상우(地道尙右).

                  서포동해(西脯東醢) 등 모든 법도가 옳게 됩니다.

                  “[포를 진설하는 자는 상의 왼쪽으로 굽힌 포를 놓되 끝이 오른 쪽으로 향하게 놓는다]”

                 ●公羊傳昭公二十五年與四脡脯註伸曰脡
                 ●曲禮凡進食之禮左殽右胾食居人之左羹居人之右(云云)以脯脩置者左胊右末註屈中曰胊
                 ●士虞禮薦脯醢設俎于薦東胊在南鄭玄注胊脯及乾肉之屈也
                 ●少牢禮魚右首進腴疏凡載魚生人死人皆右首地道尊右故也鬼神進腴(腹也)是氣之所聚故也
                    生人進鰭者鰭是脊生人
 尙味故也

 

                -----------------------------------------------------------------------------------------------------

 


                問; 제수 진설 방법이 궁금하여 책을 보니 三行에 포해(脯醢)가 3개가 있는데 각각 무엇입니까?

                答; 포해삼기(脯醢三器)는 가례(家禮) 수권(首卷) 설찬도식(設饌圖式)과, 구찬조(具饌條) 소채(蔬菜) 급(及)
                      포해(脯醢) 각(各) 삼품(三品)이라 하였으나, 포해(脯醢) 삼기(三器)에 대한 설(說)이 분분할 뿐, 어떤 것이다.
                       라 명확히 품목을 지적함이 없습니다

                ●性理大全陳設條設果楪於卓子南端蔬菜脯醢相間次之
                ●家禮具饌條果六品蔬菜及脯醢各三品
                ●問脯三品醢三品尤庵曰或脯或脩或魚脯可備三品之數耶醢則魚醢食醢肉醢亦可備三品之數耶○又曰脯醢未知脯
                  三品醢亦三品耶抑脯醢合爲三品耶若如前說則脯以乾脩乾魚及腊等爲三品醢以魚醢食醢肉臡等爲三品矣而
                  若如候說則未知脯用二品而醢用一品耶此便難處也
                ●尤庵曰所謂脯醢者凡乾魚肉皆謂之脯醢魚肉皆謂之醢○又曰且脯醢幷爲一器者固本於家禮卷首圖然卷首圖本
                  非出於朱子而或有與朱子本文相戾者恐不足爲據也且脯醢是燥濕相猜之物而同盛於一器亦未知其如何
                ●南溪曰脯醢三器之說殊可疑脯醢是二物與上文蔬菜有異故見者又或以脯三醢三爲說竊更詳之惟台今日之敎義益的
                  當然若論其所受用則人家饌物必無全濕者勢復叅設則自成脯二醢一或醢二脯一之規矣
                ●遂庵曰脯醢三品云者恐是脯二而醢一或醢二而脯一合三品也而所謂脯醢者乾魚肉皆謂之脯鹽魚肉皆謂之醢今當
                  勿論乾者鹽者只用三品似可矣且今俗設饌之品或不無與中華古禮有異者從俗只設各一品亦無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