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국대전_대(帶 : 벼슬아치의 허리띠)
페이지 정보
김윤식 작성일15-01-19 18:36 조회1,699회 댓글0건본문
충렬공기념사업회 카페에 아래한글 파일 올려놓았습니다. 필요하신 분 사용하세요.
파일 다운받기(클릭하세요)
■ 경국대전 권3 예전(禮典) / 의장(儀章) / 대(帶)
◇ 1품 : 조복(朝服)에는 서대(犀帶)를 띤다. 제복(祭服)ㆍ공복(公服)ㆍ상복(常服)도 같다. ○사복(私服)에는 홍조아(紅條兒)를 띤다.
◇ 2품 : 조복(朝服)에는 정2품은 삽금대(鈒金帶)를, 종2품은 소금대(素金帶)를 띤다. 제복(祭服)ㆍ상복(常服)도 같다. ○공복(公服)에는 여지금대(荔枝金帶)를 띤다. ○사복(私服)에는 홍조아(紅條兒)를 띤다.
◇ 3품 : 조복(朝服)에는 정3품은 삽은대(鈒銀帶)를, 종3품은 소은대(素銀帶)를 띤다. 제복(祭服)ㆍ상복(常服)도 같다. ○공복(公服)에는 정3품은 여지금대(荔枝金帶)를, 종3품은 흑각대(黑角帶)를 띤다. ○사복(私服)에는 홍조아(紅條兒)를 띤다.
◇ 4품 : 조복(朝服)에는 소은대(素銀帶)를 띤다. 제복(祭服)ㆍ상복(常服)도 같다. ○공복(公服)에는 흑각대(黑角帶)를 띤다.
◇ 5ㆍ6품 : 조복(朝服)에는 흑각대(黑角帶)를 띤다. 제복(祭服)ㆍ공복(公服)ㆍ상복(常服)에 같다.
◇ 7ㆍ8ㆍ9품 : 조복(朝服)에는 흑각대(黑角帶)를 띤다. 제복(祭服)ㆍ공복(公服)ㆍ상복(常服)도 같다.
◇ 녹사(錄事) : 조아(條兒)를 띤다.
◇ 제학생도(諸學生徒) : 조아(條兒)를 띤다.
◇ 서리(書吏) : 조아(條兒)를 띤다.
◇ 향리(鄕吏) : 공복(公服)에는 흑각대(黑角帶)를 띤다. ○상복(常服)에는 조아(條兒)를 띤다.
◇ 별감(別監) : 조아(條兒)를 띤다.
◇ 궐내각차비(闕內各差備) : 조아(條兒)를 띤다.
◇ 인로(引路) : 자란(紫襴)을 띤다.
◇ 나장(羅將) : 조아(條兒)를 띤다.
◇ 조례(皂隸) : 조아(條兒)를 띤다.[왕자(王子)가 데리고 다니는 자는 자란(紫襴)을 띠고, 두석패(豆錫牌)를 찬다. 의정부(議政府)ㆍ승정원(承政院)ㆍ경연(經筵)에서는 납패(鑞牌)를 찬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