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학공파(익달)

본문

p02.png 1. 세덕사 소개

p05.png 6) 기타 주요 자료 및 문중 유물 소개

             *세덕사 (2004. 7. 촬영)

ankim04-11z812.jpg

 

ankim04-11z813.jpg

 

ankim04-11z814.jpg

 

ankim04-11z815.jpg

 

ankim04-11z816.jpg

 

ankim04-11z817.jpg

 

  (1) 시제 후 기념 사진 촬영

 

ankim04-11z818.jpg  ankim04-11z819.jpg

<시제후 기념촬영>(1993. 11)                   <시제 후 기념 촬영>(1998.11.28)

 

  (2)  <세덕사> 내 각종 현판 및 여러 모습들

 

ankim04-11z820.jpg  ankim04-11z821.jpg

<사당 현판-세덕사>                                <재실 현판-숭모재>

 

ankim04-11z822.jpg

 <재실 사랑채-청담정거>

 

ankim04-11z823.gif

<진설모습>

 

ankim04-11z824.gif

<대문>

 

    (3) 기타

 

ankim04-11z825.jpg  ankim04-11z826.jpg

<세덕사 내 족자 해설서>(1996. 11. 恒鏞 撰)   <上洛歌>(상락가. 1992. 양덕공 종가 역사. 장편 서사시조. 恒鏞 撰)

 

 (4)문중내 소장 중요 역사 자료 소개

  (가) 좌랑공파 소장 자료

    (1)(휘 時訓)의 <준마 계회도>(駿馬契會圖)

 

ankim04-11z827.jpg

<준마 계회도>(駿馬契會圖) (2005. 4. 24. 항용(제) 제공)

 

  1) 작성연대 : 미상.   2) 작성자 : 미상.     

  3) 내용 : 좌랑공(휘 시훈)께서 사헌부 감찰로 계실 때 계모임 명단을 작성한 것.

    ---맨 우측 첫번, 通訓大夫 行 司憲府 監察 金時訓 敎伯 丙寅生, 安東人

  4) 소장처 : 좌랑공 종손 김용달 가내 소장

  5) 좌랑공 김시훈(金時訓, 1566-1629) 소개 :字는 斅伯, 비안현감 仁甲의 아들이며 縣監 時說, 忠翼公 時讓의 형이다. 벼슬은 刑曹佐郞 司憲府監察을 역임하였으며 부모에게 효행이 탁월하였다. 그 효행으로 당시 재상이었던 五峰 李好閔(명종-인조때의 문신, 대제학, 좌찬성, 부원군에 오름)으로부터 賞으로 詩를 받았고, 그 효행 내용이 三綱錄에 등재되어 있다.

 

   (2)<좌랑공 현손(휘 德輝)의 호적단자> (2005. 4. 24. 항용(제) 제공)

ankim04-11z828.jpg

 

   1)작성 연대 : 미상.    2)작성자 : 通德郞 金德煇      

   3)내용 : 김덕휘의 호적단자.   처창령성씨 년육십삼  증조 통정대부 장예원 司儀  (하략)

   4) 주소지 : (    )수암리 제3統 제삼구    4)소장처 : 김덕휘의 종손 김용달

 

 (나) 기타 양덕공 종가 소장자료 소개 (2006. 1. 항용 제공)

  2006. 1. 15. 발용(군), 은회(익) 촬영

   *촬영 장면

ankim04-11z829.jpg  ankim04-11z830.jpg

 

 *유물소개

 

 1) <使臣 公私禮 및 道內軍糧 軍器 現況>

  가) 필자 :金 素(13代祖父). 添記者:由和(6代祖), 會健(7代祖), 熽(8代祖).

  나) 연대 :1)미상.1644년(인조22)경으로 추정(聖節使 時節)

       (1)1648년(인조26)경으로 추정(觀察使 時節)

       (2)添記時:1736년(本朝年紀), 1821년경(뒷면 기록년)

  다) 내용 :(1)使臣의 公私禮節과 절차--전면

        (2)충청도내 軍米 및 軍器 狀況 記錄.-후면

        (3)房中別賻(각종 喪禮때 賻儀金 및 物品 기준)-후면

        (4)大明年紀,本朝年紀(英祖때까지 기록.正祖는 첨기)-후면

   라) 크기 : 21.5×158.5Cm

      *<전면> : 使臣의 公私禮節과 절차

ankim04-11z831.jpg

 

ankim04-11z832.jpg

 

ankim04-11z833.jpg

 

ankim04-11z834.jpg

 

ankim04-11z835.jpg

 

    *<후면>

      (1)忠淸道內軍糧 軍器 現況

ankim04-11z836.jpg

 

ankim04-11z837.jpg

 

 

    (2)房中別賻(각종 喪禮때 賻儀金 및 物品 기준), 大明年紀,本朝年紀(英祖때까지 기록. 正祖는 첨기)

ankim04-11z838.jpg

 

ankim04-11z839.jpg

 

2) <本朝國忌. 本朝年紀>

  가)필자 : 미상(本朝年紀의 기록내용으로 보아 由和로 추정)  

  나)연대 : 미상(1800년 이후 순조때로 추정)

  다)내용

    (1)本朝國忌:조선 太祖-明宗까지의 王, 王后의 忌日 기록.

    (2)本朝年紀:조선 太祖-正祖까지 歷代 王의 在位年 기록.

  라)크기 : 52×18Cm

ankim04-11z840.jpg

 

ankim04-11z841.jpg

 

ankim04-11z842.jpg

 

ankim 04-11z843.jpg

 

3) <祝 文> (김주헌 서)

  가) 작성자 : 金周憲(比安公 諱 仁甲의 10代 宗孫)

  나) 작성일시 : 1866년(고종3. 丙寅年). 9. 15.  필자 56세.

  다) 내용 : 작성자(諱 周憲)의 10대조인 比安公(諱 仁甲)의 時祭時 쓴 祝文.

  라) 크기 : 18×24Cm

  <사진 추가>

 

4) <祝 文> (김세호 서)

  가)작성자 : 金世浩(應浩로 추정. 1855-1901. 東吉-炫-聲健-鍊百-箕年-應浩, *相珏(重應의 父)의 父(宗浩) 4촌형. 후손 불명

  나)작성일시 : 1879(고종16. 己卯年). 2. 8.  필자 25세  

  다)내용 : 작성자(諱 世浩)의 부친(箕年) 대상(大祥) 때 쓴  축문.

  라)크기 : 14×19Cm  

ankim04-11z844.jpg

 

5) 祝文 (김기호 서)

  가) 작성자 : 金冀浩(相國의 生父. 1839년생)

 나) 작성일시 : 1887(고종24. 丁亥年). 9. 16.  필자 49세

 다) 내용 : 작성자(諱 冀浩)의 방조이신 하담공(휘 時讓) 시제시 쓴 축문.  

 라) 크기 : 26×20Cm

ankim04-11z845.jpg

 

6) <祝 文> (김기호 서)

 가) 작성자 : 金冀浩(휘 相國의 生父. 1839년생)

 나) 작성일시 : 1887(고종24. 丁亥年). 9. 16.  필자 49세

 다) 내용 : 작성자(諱 冀浩)의 11대조이신 비안공(휘 仁甲)의 시제시 쓴 축문.  

 라) 크기 : 26×21.5Cm

ankim04-11z846.jpg

 

7) <祝 文>

  가) 작성자 : 金冀浩(1839년생)

  나) 작성일시 : 1881(고종18. 辛巳年). 2. 8.  필자 43세

  다) 내용 : 작성자(諱 冀浩)의 선친 기제사 축문.  

  라) 크기 : 16.1×19.3Cm

ankim04-11z847.jpg

 

 8)<祝 文>

  가) 작성자 : 金冀浩(증조부 相國의 生父. 1839년생)

  나) 작성일시 : 1883(고종20. 癸未年). 2.2.  필자 45세

  다) 내용 : 작성자(諱 冀浩)의 부모님 忌祭祀 축문

  라) 크기 : 26×18.5Cm

ankim04-11z848.jpg

 

 9)<祝 文>

   가) 작성자 : 金在浩(고조부. 1845년(헌종11)--1905년)

   나) 작성일시 : 1881(고종18. 辛巳年). 10. 1.  필자 37세

   다) 내용 : 작성자(諱 在浩)의 9대조(감사공-諱 素) 時祭時 쓴 축문.  

   라) 크기 : 43×27.5Cm

ankim04-11z849.jpg

 

 10)<祝 文>

   가) 작성자 : 金在浩(고조부. 1845년(헌종11)--1905년)

   나) 작성일시 : 1881(고종18. 辛巳年). 10. 1.  필자 37세

   다) 내용 : 작성자(諱 在浩)의 8대조(承旨公-諱 龜萬) 時祭時 쓴 축문.  

   라) 크기 : 29.5×29.5Cm

ankim04-11z850.jpg

 

 11)<祝 文>  

    가) 작성자 : 金相鉉(증조부. 相國의 初名. 1862(철종13)-1936)

    나) 작성일시 : 1910(순종4. 庚戌年). 2. 20.  필자 49세

    다) 내용 : 작성자(諱 相鉉)의 양자인 在俊(祖. 重應의 딴 이름. 당시 12세)을 양자로 맞으면서 祭를 올릴 때 쓴 축문.  

    라) 크기 : 27.3×22.7Cm

ankim04-11z851.jpg

 

 12) <祝 文>  

    가) 작성자 : 金載應(미상)

    나) 작성일시 : 1853년(철종4. 癸丑年),1913. 10. 1.   

    다) 내용 : 작성자(諱 載應)의 13대조인 比安公(諱 仁甲)의 時祭時 쓴 祝文

    라) 크기 : 32.5×23Cm

ankim04-11z852.jpg

 

13)<祝 文>

   가) 작성자 : 미상

   나) 작성일시 : 1887년(고종13. 丁亥年). 9. 20.  

   다) 내용 : 작성자(미상)의 10代祖妣인 義城金氏 할머니(참판공 휘 彦默의 配位분으로 陽德公 산소 위에 墓所가 있다가 1992년경 능촌리 領相公 묘소 위로 薦奉함) 時祭時 쓴 山神 祝文

   라) 크기 : 23.5×15.5Cm

ankim04-11z853.jpg

 

 14) <祝文>

   가) 작성자 : 김태섭

   나) 작성일시 : 2002. 4. 9.

   다) 내용 : 모친기제사 축문

   라) 크기 :

ankim04-11z854.jpg

 

15) <喪禮 各種 儀式文>

   가) 작성자 : 金由和(6代祖父. 1775-1835)

   나) 작성일시 : 1835년(헌종1). 2. 25. 필자 61세.

   다) 내용 : 生母이신 固城李氏(壽 83세) 장례시 쓴 각종 喪禮祝文. 작자는 이 祝文을 쓰고 같은 해 12. 21. 별세하심.  

   라) 크기 : 17.5×15Cm. 총 7매

ankim04-11z855.jpg

 

 16)<族譜 草稿 收單>

   가) 필자 : 金在浩(고조부)

   나) 연대 : 미상(1845년-1905년 경으로 추정)

   다) 크기 : 46×27.5Cm

ankim04-11z856.jpg

 

17)<族譜 草稿 收單>

    가)필자 :金世浩(金冀浩.曾祖父 相國의 生父)        

   나)연대 : 미상

   다)크기 : 39×60.5Cm

ankim04-11z857.jpg

 

 18)<家 牒>

  가) 필자 : 金相國(曾祖父)

  나) 연대 : 미상(1930년경으로 추정)

  다) 내용 : 경순왕으로부터 상현(상국의 초명)까지의 世系 記錄

  라) 크기 : 167.5×9Cm

ankim04-11z858.jpg

 

ankim04-11z859.jpg

 

ankim04-11z860.jpg

 

ankim04-11z861.jpg

 

ankim04-11z862.jpg

 

ankim04-11z863.jpg

 

ankim04-11z864.jpg

 

 19)<家 牒>

   가) 필자 : 金相國(曾祖父)

   나) 연대 : 미상(1930년경으로 추정)

   다) 내용 : 경순왕 11대손(? 諱 利請)으로부터 진(上洛伯公 휘 縝)까지의 세계만 기록하다가 중단함.

   라) 크기 : 152.5×9.5Cm. (기록 부분 : 32.5×9.5Cm)

ankim04-11z865.jpg

 

 20) <家 牒>

   가) 필자 : 미상

      (1)義浩(由和-3子 極秊-義浩)-1차 기록자

      (2)相禹(由和-3子 極秊-義浩-相禹-絶孫)-2차 기록자

   나) 연대 : 미상(1868, 1862년경으로 추정)

   다) 내용 :  

      (1)경순왕 11대손 利請으로부터 義浩까지의 世系 記錄

   라) 크기 : 100×8.5Cm

ankim04-11z866.jpg

 

ankim04-11z867.jpg

 

ankim04-11z868.jpg

 

ankim04-11z869.jpg

 

ankim04-11z870.jpg

 

ankim04-11z871.jpg

 

   21) <家 牒>

    가) 필자 : 金由和(6代祖)

    나) 연대 : 미상(1830년경으로 추정)

    다) 내용  

       (1)경순왕으로부터 필자의 父(諱 會健)까지의 世系 記錄

       (2)필자의 6대조모(휘 龜萬 配位-宜寧南氏)-祖母까지의 본가내용

       (3)필자의 母親(固城李氏)의 본가 가계 내용

       (4)필자의 大母(光州金氏)의 본가 가계 내용

    라) 크기 : 88.5×10.5Cm

ankim04-11z872.jpg

 

ankim04-11z873.jpg

 

ankim04-11z874.jpg

 

ankim04-11z875.jpg

 

ankim04-11z876.jpg

 

ankim04-11z877.jpg

 

 22) <家 牒> (書名 : 安東金氏世派)

    가) 필자 : 미상(金龜徵)으로 추정(益達-顧-孟廉-哲鈞-壽亨-彦默-錫-3子 友甲-時亮-4子 綱-1子 鼎寶-允胄-龜徵)

    나) 연대 : 미상(1597-1643. 필자 생존연대)

    다) 내용 : 太輔公(金閼智) 誕生說話부터 敬順王 11代孫 利請  이하 龜徵까지의 世系 내용 기록.

    라) 크기 : 129×16.5Cm

ankim04-11z878.jpg

 

ankim04-11z879.jpg

 

ankim04-11z880.jpg  ankim04-11z881.jpg

 

ankim04-11z882.jpg

 

ankim04-11z883.jpg ankim04-11z884.jpg

 

 23) <祭禮法>

   가) 필자 : 미상(6대조 휘 由和로 추정)

   나) 연대 : 미상

   다) 내용 : 제사 관련 내용

     (1)陳設法       2)設饌圖      3)祝文 쓰는법      4)각종 祭禮法

   라) 원본 크기 :

ankim04-11z885.jpg

 

 24)<소록>(小錄)

ankim04-11z886.jpg

 

   가) 원본 소장처 : 안동김씨 제학공파 비안공 문중 양덕공 종손가(항용)

   나) 발견일시 : 1985. 8.

   다) 발견자 : 김항용

   라) 작성일시 : 미상 (1800년 경으로 추정)

   마) 번역 정리일 : 1차-2004. 11(김항용).   2차-2005. 6. 22(김익수 감수)

   바) 원본 크기 :  가로(46Cm) × 세로(23Cm)

   사) 역문

 

   진위(振威-지명, 경기도 평택시. 주1) 해창(海倉-지명,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해창리. 주2)의 송호리(松湖里-지명, 청호리. 주3)에  살고 있는 동몽 김희준(童蒙 金喜俊-미상, 주4)은 바로 고(故) 백곡 김선생(栢谷 金先生-金得臣)의 육세손(六世孫)이다. 일찍이 유복자(遺腹子)로서 안으로는 집을 관장할 사람이 없고 밖으로는 近族이 없어 홀로 외로이 그 어머니를 모시고 外家집에 의지하여 살았다.  

 

  그런데 불행히도 외가 또한 흉변으로 외할아버지가 돌아가시게 된 즉 친가와 외가에 모두 근친이 없게 되었다. 김희준의 어머니 박씨는 천성이 곧고 바른데 그 친가의 홀어머니를 모시고 몇 되는 어린 고아들을 데리고 근근이 살아온 지 이제 10여 년이 되었다.

 

 희준의 형인 맹은(孟殷)은 지극히 어리석고 졸렬하여 동서를 알지 못하고 日月을 분별치 못하는 사람이라. 단지 산에 나무하는 것을 업으로 삼고 있을 뿐이다. 바야흐로 산에 나무를 할 때 이웃에 살고 있는 손한여(孫漢汝)란 이가 그의 어리석고 졸렬한 것을 잘 엿보고는 간사한 꾀가 들어 감언으로써 유혹하여 함께 풀베는 雜技와 돌멩이 모으기 등을 하여 돈을 모았는데, 셈을 할 때 몇 냥 씩 거짓 계산하여 그것이 무려 3천금에 이르게 하였다. 孫가놈은 정말로 김맹은을 붙들고 이 돈을 받아 내려 하니 가난한 과부집은 재앙이 되고 어찌 3천금을 줄 것이 있겠는가.  

 

  孫가놈은 어깨를 들썩거리며 말하기를,  

 

  “만약 급히 내놓지 않으면 죽여 버리겠다 운운” 하였다.

 

 맹은은 어리석고 졸렬한 지라 크게 겁을 먹고 도망하여 지금 반년이 지났는데 생사를 알지 못한다. 孫가놈은 그 고아를 업신여기며 그 강하고 사나움만을 믿고 능욕하며 말하기를,   

 

  “동민을 이끌고 밤에 들어와 희준의 어미를 결박하여 자기 집으로 끌고 가서 첩으로 삼겠다 운운” 하였다.  

 

 이는 국법을 업신여기고 오륜을 파괴하는 류의 일이다. 희준의 어미는 맑고 매서운 절개를 지닌 이로써 이런 더러운 치욕의 말을 들은 것과, 아울러 아들에 대한 그리움으로 탄식만 하다가 드디어 식음을 모두 끊고는 세상에 머물러 살려 하지 않으니 이 어찌 악착스럽고 모진 일이 아니겠는가?  

 

 손가놈의 죄는 멀고 가까운 곳에서 다 아는 바로 천지가 용서하지 못할 자이라. 다행히 모름지기 그 아들 희준이의 소청에 의하여 특별히 엄한 명령을 내려 손가놈을 즉시 불러다가 엄한 형벌로 되게 잡도리를 한 후에 법률에 의거하여 멀리 유배를 보냈다.  

 

 이로써 한 가지는 사람을 겁주며 강도질한 죄를 징계한 것이며, 또 하나는 젊은 남자가 치욕으로 업신 당한 것을 설욕하고 과부 어미와 아비 없는 자식으로 하여금 쇠약하고 가련한 목숨을 보존할 수 있게 한 것이니 매우 다행스럽도다.  

 

주1. 진위(振威) :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으로 옛날에는 진위현으로 현재보다 훨씬 넓은 행정구역이었음. 현재 간척사업을 하기 전에는 바다를 끼고 있었음.  

주2. 해창(海倉) : 현 평택시 고덕면에 있는 해창리로 고덕면사무소 좌측에 있음. 옛날에는 진위현에 속해 있었음. 해창은 지명 유래상 바닷가 곡물창고가 있던 곳임.

주3. 송호리(松湖里) : 현재 진위면에는 송호리란 없고 淸湖里가 오산 가까이에 있다고 함.  

주4. 김희준(金喜俊) : 백곡 김득신의 6세손이라 하나 족보(제학공파보. 1990년 간)에는 없는 이름자임.

 

 25) <지리산 청학동 비결>

   가) 원본 소장처 : 안동김씨 제학공파 비안공 문중 양덕공 종손가 (항용)

   나) 발견일시 : 1985. 8.

   다) 발견자 : 김항용

   라) 번역 정리 : 1차-2004. 11(김항용)   2차-2005. 6. 22(김익수 감수)

   마) 원본 크기 : 가로(46Cm ) × 세로(23Cm)

   바) 역문

 

智異山 靑鶴洞 秘訣

 

  <靑蓮의 秘記>에 의하면 지리산 남쪽 기슭에는 청학동이 있는데 35개의 姓씨가 살고 있으며 李,柳,朴,鄭,姜,趙,崔,權,宋,全,閔,許,林,沈,愼,任,千,都,黃,河,梁,南,尹,洪,徐,禹,張,吳,金,盧,孟,成,蘇,薛 씨가 그 성씨로 이 가운데 李,柳,黃씨가 먼저 살기 시작한 곳이라 한다.  

 

  <朝鮮史記>에 의하면 지리산의 남쪽 기슭에는 청학동이 있는데 제비 둥지모양을 하고 있다고 하며, 조선의 명당터 형식에는 <학야(鶴野)>라고도 하고 혹은 <적야(蹟野)>라고도 하며, 혹은 <사업동(沙業洞) 후룡(後龍)>이라고도 한다』고 적혀 있는데, 돌로 된 뿔처럼 생긴 봉우리가 있어 그 아래 廣石이 물을 만들어 솟아나와 남쪽 源谷口로 흐르고 그 아래에는 석문이 있고 그 안에는 石井이 있는데 이를 일컬어 壽井이라 한다.  

 

 아주 오래 사는 자(上壽者)는 140-150년을 살고, 中壽者는 120-130년을 살았으며, 下壽者라 해도 80-90년 살았다 한다.

 

 壬坐丙向의 白雲三峯은 남해의 물을 바로 앞에 두고 있는데 그 앞은 가히 천여 호가 살며, 논농사를 지을 수 있는 수 천 섬 두락의 땅이며, 지대가 높아도 서리가 늦게 오므로 升種石(되로 심으면 섬이 나올 만큼) 무한히 큰 땅이다.  

 

 天運이 正當하고 時運이 스스로 열려 자연히 깨우쳐 啓指하는 사람들이 나타나는데, 영호남 지방의 존사 10餘人이 모임을 만들면 즉 10년 내에 큰 저택을 이루고, 20년 내에 벼락이 石門을 부수고, 40년 내에 높은 벼슬의 재상과 명현과 達士가 많이 나오고, 文人이 千여 명 나오고, 武人이 만여 명 나오는 곳이다. 그 외 각 성씨들이 왕성하게 興하는 곳이라.

 

 謙菴의 秘記에 이르기를 『나는 본래 山水를 찾는 버릇이 있는데 하루는 노승이 찾아왔는데 자못 식견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야기가 청학동에 미치게 됨에 나는 말하기를 “당신은 능히 그 기록을 얻어 보셨습니까”하고 물었더니 승은 말하기를 ”자세히 알고 있습니다“라고 답하였다. 다음날 승과 더불어 길을 떠나서 등저재(橙邸齋)에서 점심을 들고, 3일의 양초(糧草)이므로 길에서 잠을 자고, 3일째에 한 石門에 이르렀는데 한 사람이 겨우 지나갈 만한 거기에는 한 글귀가  있었는데 다음과 같았다.  

 

  啼鳥警人名下樹 - 지저귀는 새들은 사람을 놀라게 나무에서 내려오고

  桃花流水谷中天 - 복숭아꽃 흐르는 물의 골짜기와 하늘

  步步漸進則抱四 - 걸음 걸음 더 나아가니 사방을 둘러싸고  

  四十里大開平坦 - 40리나 크게 트인 평원

  作沓千餘石之地 - 논 농사를 지으면 1000여 석이 나는 땅,

  升種石出 -  한 되를 심으면 한 섬의 소출

  可居數千餘戶 - 가히 수천 호가 살만 하네

 

 관문(關門)에 이른 즉 壬坐丙向의 방위에 있는 白雲山 三峰은 남해를 마주하고 있으며 관문 앞에는 한 글귀가 있는데 이르기를

 

 『萬樹挑花疎竹裡(대나무 숲 속엔 복숭아꽃이 드문드문 피었네)』라고 씌여 있었고, 三秋에 서리 맞은 단풍과 냇가의 소나무를 지나니 한 개의 石泉이 있었다.  

 

 그런데 그 석면에는 큰 글씨로 『高麗學士 李靑蓮의 책에, 십년을 살면 도통한 사람이 나오지 않으나, 이십년을 살면 벼락이 석문을 깨서 가히 벼슬아치가 나올 만하고, 40년을 살면 경상인재(卿相人才)가 나오고 명현이 속출하게 되는 영남의 명승지이니라. 또한 지대가 높아도 서리가 늦게 오며, 흉년이 들지 않으며 병화가 들어오지 않는다. 李,柳,朴,鄭,姜씨들이 최고로 잘 되는 곳이다. 동네에는 청학이 많은 까닭에 일컬어 청학동이라 한다』고 하였다.   

 

  매가 아래로 내려가 꿩을 쫓는 형상으로 장지임지(張之任地)라. 소의 등에 올라 피리를 불고 소가 대밭 수풀에 누워 있는 형상이며, 청학동 아래의 논은 비학(飛鶴)이 알을 품고 있는 형상이며 仙人이 손을 들어 춤을 출 만큼 좋은 곳이다. 靑鶴抱卵(청학이 알을 품고)  寶燈掛壁(귀한 등불이 벽에 걸린)의 형상이다.   

 

 청주읍(淸州邑)에서부터 문의읍(文義邑)을 지나 옥천읍(沃川邑)에 이르고 무주(茂州), 안성장(安城場)과 장기장(長岐場)을 지나 장수읍(長水邑)에 이르고 하동 화개장(河東 花開場)을 향하여 박다천(薄茶川)에 이르면 청학동(靑鶴洞)까지의 거리가 40리가 된다.

 

 26) <隨筆文>

   가) 필자 : 미상

   나) 연대 : 미상(혼철 표기로 보아 17c경-1900년으로 추정)

   다) 내용 : (1)형식 : 가사  

         (2)내용 : 自然과 벗하며 술마시고 놂. 님 그리움.

 

   라) 전문 :

 

술갓치 족코 조흔 거설 뉘라셔 금하여 내 안니 마실손야, 천하졔일 명승지 금강묘와 소상동 정황학누 고소대여 연광졍 노푼고데 발근달 고은 곳과 아리따눈  아무개와 정든 벗임 뫼시고 생시고락 얼기뉴 할제 술하나 너 안면 내 무삼 흥이 되리. 지금의 장취장셩고 불취불성 유령취굴 자생얼 겸하고자 야숙고 무정한 임언 애연이 이별후의 소식이 요리도 돈절한가 공산야월 두견지성과 동방춘풍 호접지몽언 다만 너의 얼골이 내 압페 벌러난낫 꼿처 푸여 이실 언져 연연한 너의 태도 내 눈 압페 벌러넌 듯 벽수청강 새벽비의 모욕하고 안진 제비 네소래 좀도조타마난 이 내 귀예 하속난 듯 밤중만 외기럭이 벽함언 엇따두고서 벽서리 달 찬바람의 슬피우러 대장부 간장 다 노긴다.

ankim04-11z887.jpg

 

  27) 윤영채 축문

ankim04-11z888.jpg

 

    (1) 제작 일시 : 미상

*원문의 숭정후 246년은 1874년(갑술)임. 기축년은 1829, 1889년임. 내용으로 보아 학생공(휘 由和) 몰 후 4년 뒤인 1839(기해년)의 오기로 보임.

    (2) 작자 : 윤영채 (미상, 괴산군 사리면 소매리의 파평윤씨 중의 1인으로 추정)

    (3)내용 : 학생공(휘 由和)께서 몰한 4년 뒤 제삿날에 올린 제문

    (3) 번역문 (2006, 9, 김익수 역)

 

 숭정후 246년 기축(1889. 고종26) 11월 26일 무진에 저 윤영채는 삼가 안동김공의 영령께 재배하고 곡하며 아뢰어 말씀드립니다.

 미덥지 못한 것이 하늘이라면 또한 미더운 것도 하늘입니다. 존공께서는 순수한 덕행으로써 향년 60세를 못 채웠으니 이것이 바로 미덥지 못한 것이며, 자손을 교도하는 법도로써 집안을 이어 후세에 전하였으니 이것은 역시 미더운 것입니다. 하늘에서 받은 성품은 강직하고도 온화하여 선조를 제사모시는 정성에 더욱 공경하고 더욱 효도하였으니 이와 같은 덕행에 누가 감동하여 사모하지 않겠으며, 그와 같은 선행에 누가 우러러 사모하지 않겠습니까.  

 아아! 존공과 저의 큰형님과는 다행히 이웃을 하게 되어 돈독한 우정으로 날마다 가까이하여 큰형님의 마음은 존공의 마음이 되고, 존공의 마음은 큰 형님의 마음이 되어, 이웃마을에 갈 일이 있을 적에는 역시 나란히 가면서, 비록 밭두둑에서 장난을 칠 때라도 또한 손을 잡고 같이 길을 갔으니, 이와 같이 친했던 정을 어찌 잊겠습니까. 술잔을 잡고 달에게 물을 적에나, 혹은 그물을 들고 흐르는 물에 가서 그렇게 소요하던 정을 어찌 잊겠습니까.  

 

 아아! 저 세상에 함께 가서도 또한 옛날같이 돈독하던 우정을 홀연히 살았을 때처럼 즐기고 있을 것입니다. 큰형님께서 만약 저의 가정형편을 묻거나 어린아이들을 물으면 다만 잘 자라고 있으나 아직 훈도를 하지 못했다고 말씀해 주시고, 쓰라리고 괴로운 가업은 다만 겨우 안정은 되었지만 성공을 이룰 감은 아직 못 되었다고 말씀해 주십시오.

 제가 공에게 곡을 함은 다만 공과의 정 때문에 곡하는 것만이 아니요, 또한 큰형님과의 사사로움 때문에도 곡하는 것입니다.

 아아! 슬프도다. 공의 단아하고 순결한 엄숙한 몸차림, 순수하고 근엄한 용모를 예전대로 다시 보는 듯 합니다. 다만 오늘은 존공께서 돌아가신 날이라 감회의 정이 평소의 갑절이나 됩니다. 그래서 삼가 포 한 조각, 술 한 잔으로 감히 위로하오니, 영령께서 아시지 못하리까. 바라건대, 오셔서 흠향하시기 바랍니다.

주: 疇: 누가   大歸: 죽음.    雖: 비록, 다만   庶幾: 바라건대.    格思: 오다. 來到하다. 格은 이르다. 思: 허사.    尙饗: 흠향하시기 바람.   尙은 바라다, 원하다

 

 28)휘 대년(大年) 호적단자  

  金大年 1800년(정조24)---1860년(철종11)

      자는 덕로(德老). 사리면 소매리 출생. 61세에 몰하고 묘는 사리면 새터 술좌(戌坐)임. 호적단자 1매 유전

   *배위

     1)한양조씨(1794-1835.12.14) : 甲寅生(1794). 乙未(1835) 12월 14일 졸. 향년 42세. 부 得廉. 묘 술좌

     2)배 합천이씨(1820--?) : 庚辰生(1820) , 忌 2월 7일. 父 挺玉. 祖 光表.

 

ankim04-11z889.jpg

<호적단자>

1)작성일시 : 1849년(헌종12) 50세

2)작성자 : 金大年(당시에는 金鎭國이라 씀)

3)내용 : 부, 조, 증조, 외조, 처, 처부, 처조, 처증조, 처외조, 제, 제수 기록. 도망비-癸分,卜丹,順德

4)크기 : 42.5 × 69.7 (단위-Cm)

 

 29) 휘 재호(在浩) 호적단자

 金在浩. 1845년(헌종11)---1905년(몰년 미상. 추정)

    자는 여정(汝貞). 사리면 수암리에서 출생. 후에 처가인 음성군 소이면 갑산리로 이사하였다가 후사(後嗣)를 잇지 못하시고 몰하심. 묘는 소이면 갑산리.  호적단자 3매 유전

 

  *배위 :  安東權氏 : 忌 五月 八日. (父 良燮, 祖 性陽, 曾祖 戇)

ankim04-11z890.jpg

 

<戶籍單子>

1.시기 : 1865년(고종2), 公 22세

2.작성자 : 童蒙 金殷浩(在浩와 同一)

3.거주지 : 忠北 槐山郡 內西面 笑梅洞 第八統 第二號

4.관할청:槐山郡

5.내용

  1)父:學生 大秊.   2)祖:學生 由稷.   3)曾祖:學生 會健

  4)侍母:陜川李氏(30세).  5)奴婢:도망비-癸分,卜丹,  

6.크기 : 50.5 × 69(단위-Cm)

 

ankim04-11z891.jpg

<戶籍單子>

1.시기 : 1872년(고종9) 公 28세

2.작성자:幼學 金在浩

3.거주지:忠北 槐山郡 南上面 水巖里

4.관할청:槐山郡

5.내용

6.크기 : 36 × 57.5 (단위-Cm)

 

ankim04-11z892.jpg

<戶籍單子>

1.시기 : 1877년(고종14), 公 34세

2.작성자:幼學 金在浩

3.거주지:忠北 槐山郡 南上面 水巖里 第十三統 第四號

4.관할청:槐山郡

5.내용

  1)父:學生 大秊.  2)祖:學生 由稷.  3)曾祖:學生 會健

  4)妻:安東權氏(31세).  5)奴婢:逃亡婢-癸分

6.크기 : 61 × 49 (단위-Cm)

 

p20.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