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10) <백계세고>(栢溪世稿) (2006. 1. 5. 항용(제) 제공)
가) 발간일 : 1814(순조14, 갑술) 上元(1. 15)
나) 발간자 : 金禹元 1735(영조1)--1825(순조25). (忠甲-時進-緬-得秋-重鎰-可精-漢謙-禹元)
*참고 : 禹元公은 본 문집 외에 <구암문집 乾, 坤>2책(1812년,순조12 간) , <구암연보>1책(1815, 순조15 간), <구암문집>1책 단행본(1815, 순조15) 등을 충남 천안시 수신면 장산리 <도정강사>에서 연속 발간함.
다) 발간처 : 挑汀講舍(충남 천안시 수신면 장산리, 현 제학공 선조님외 4위 설단지 바로 아래에 있는 강당, 구암공께서 청주 유배시 거처하셨던 곳으로 추정되며 백곡, 교관공 등이 자주 이용한 곳이다)
라) 원본 소장자 : 김창규(金昌奎, 제학공 21대손, 교관공 휘 時進 후손)
마) 크기 : 20.5*31Cm.
바) 면수 : 78P.
사) 내용
(1) 서문-禹元.
(2) 본문 : 남봉공(휘 緻), 백곡공(휘 得臣), 교관공(휘 時進) 후손 들의 시문집(총 44명 177수).
(가) 작자와 시문 수록 수 : 총 44명--緻(12), 緬(18), 得臣(8), 得興(3), 得龜(2), 得礪(20), 得秋(9), 得銓(2), 得昶(6), 天揆(2), 重昌(6), 重鉉(2), 重器(2), 重聲(2), 重九(1), 重行(3), 重鎰(5), 重商(1), 重泰(1), 重兼(1), 重山(17), 可敎(4), 可遠(3), 可行(1), 可運(2), 可慶(1), 可協(1), 可禧(1), 可儉(1), 可晉(1), 可樞(1), 可鑽(1), 可升(11), 漢成(1), 漢謙(1), 漢復(2), 漢綺(2), 漢升(3), 漢恒(9), 舜元(1), 大元(4), 岳建(1), 聲健(2)
(나)부록
*영상공 후손 과환록 : 문과 17, 무과43, 진사30, 음보25, 수직16, 봉군7, 배향3(제갑-원주 충렬사, 괴산화암서원, 시민-진주 충렬사, 시양-회령사), 生祠2(義萬, 可行), 청백리2(時讓, 변(心+卞)光), 공신6( 무공신-시민, 원종공신-시각,시진,인갑, 정사공신-기, 양무공신-가행), 명현2(기묘명인-석, 을사명현-충갑), 행적록(忠甲, 悌甲, 時若, 時晦, 絅, 緻, 得臣, 등 등, 구암공 제와 자손의 홍백패는 총 13장, 이를 연이으면 병풍을 만드니 일컬어 '홍백병' 집안이라 함)
(3)뒷면 : 漢榮 謹記, 春健(학암공 휘 絪의 6대 종손) 謹識, 宇健 謹跋.
아) 발견 경위
(1)1990년 경 서울 인사동에서 고서점 호고당(好古堂)을 운영하시는 김재갑(군)종친님께서 <백계세고>가 제학공파의 것이 아니냐고 필자(항용)에게 전화로 묻기에 즉시 찾아가 서책을 확인하고 일단 복사해 둠.
(2)즉시 괴산의 학응종친(당시 제학공파종회장)께 이를 통보하였으나 적극적 매입을 하지 않고 유보함.
(3)1년 후에 호고당으로 전화해 보니 매각되었다 함.
(4)필자(항용)이 2005. 12. 29. 소설 <충무공 김시민> 발간 기념식에 가기 위해 충남 병천의 남응대부님 댁에 들려 백계세고에 관한 말씀을 드림. 곧 남응종친님의 수소문으로 창규 종친님 댁에 본 문집이 있는 것을 확인함. 현재 종친들 중에 유전되는 것으로는 유일한 것으로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