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게시판

***서운관정공 諱綏 4세손 牧使公 金叔演 事蹟碑 建立***

페이지 정보

대종회 작성일13-12-10 09:17 조회2,842회 댓글0건

본문



牧使公 金叔演 事蹟碑 建立

목사공 김숙연 사적비 건립

 

                      서운관정공파 김재준(在峻) 이사장은 지난 11월17일 파 목사공 김숙연(牧使公
                      諱 叔演 1440~1503)의 사적비를 <충남 청양군 목면 대평리 산34번지> 선영에
                      건립하고 제막식을 가졌다.

                             공께서는 서운관정공의 4세손으로 청주목사, 광주목사, 양주목사 등 내․외직을 
                      두루 역임하시었다. 성종2년(서기 1471년)에 도총부도사(都摠府都事)와 상의원
                      판관(尙衣院判官)을 거쳐 곡산군수(谷山郡守)로 나아가 선정(善政)을 펼치셨으며, 
                      관서지방(關西地方)의 정평부사(定平府使)를 거쳐 양주목사에 발탁되시었고, 
                      청주목사로 계실 때는 장악원(掌樂院)의 정(正)으로도 배수되시었다. 청주성(淸州城)과 
                      창원성(昌原城)의 차사원(差使員)으로 임명되어 견고하게 축성하여 상(上)으로부터 
                      그 공로를 크게 인정받았고, 후에 이 성(城)들이 임진왜란 당시 적을 무찌르는데 큰 
                      공을 세울 수 있었다.

                             공께서는 성종조(成宗朝)에 사재감(司齋監) 정(正)으로 배수되어 회양부사(淮陽府使)로 
                      나아가셨다가 풍증(風症)이 있었으나 적기에 치료를 받지 않으시고 고을의 수장(首長)
                      으로 관내순시를 하시다가 병환이 심화되어 연산 기해년(燕山, 己亥, 1503년 4월)에 
                      사임하고 그해 12월에 졸하시었다.
         
                             이곳 가야마을에 묘를 쓰게 된 사유는 공께서 청주목사로 계실 때 배위 나주김씨가 성종 
                      24년(1493년 계축) 50세로 졸하시었으나 당시 연산(燕山)의 단상법(短喪法)으로 서울의 
                      선영(先塋)으로 모시지 못하고 이곳 가야산 정산 조정에 모시게 되었고, 이어 공이 서기 
                      1503년에 졸하시어 이곳에 합폄(合窆)하게 되었다.
  
                             공의 최초 비는 강혼(姜渾)이 찬하고 아들 김희수(悠然齋公 諱 希壽)가 서한 것으로 
                      1505년에 입석되었으나 중도에 망실되었다. 이번 사적비는 용관구수좌대 7척비로 
                      비문은 강혼(姜渾)이 찬한 것이며, 비문은 김재준 이사장이 쓰고, 김상호 역, 김돈영 
                      감수로 입수되었다
                                                                                                           
<기사제공 金詳浩 고문(書)>

 

  
 
선사의 해탈(禪師之解脫)

 

靑庵 金詳浩

 

 

                                 꽃은 이슬만을

                                 생명으로 살아야 하늘 꽃 피우고

                                 사람은 마음의 화(火)를 지워야

                                 맑은 눈으로 저 하늘을 본다

 

                                 꽃은 향기만을

                                 바람에 띄어야 하늘에 가고

                                 사람은 잡은 것을 놓아야

                                 가는 길에 걸림이 없다

 

                                 꽃은 폭염을 견디고

                                 설한의 추위를 이겨야 향기가 영글고

                                 사람은 채운 것을 비워야

                                 가벼이 푸른 저 하늘에 오른다

 

                                 강을 건너려고 배를 탔어도

                                 강 건너 배를 버려야 그 길을 가고

                                 지우고 버리고 놓아야 가벼이

                                 하얀 영혼만이 저 하늘을 난다

 

                                 공(公)은 장악정 청주목사 광주목사로

                                 나라와 백성을 지키려 청주성 창원성을 쌓고

                                 선정(善政)의 선행으로 백성을 보살피고

                                 부처님 같은 육신의 고행으로 나를 버리시니

                                 선사의 좌탈(坐脫)로 하늘에 드시어

                                 상품상생(上品上生)의 저 극락에 나시었네

                                 버리고 지우고 사랑했던 흔적을 510년 만에

                                 후손이 챙겨 이 사적비를 세우니

                                 청양의 가야뫼(嘉也丘)가 아름답게 빛나

                                 그 빛 영원히 우리의 가슴에 담습니다

 

                                                                                      癸巳年 立冬之節 事蹟碑建立 祝詩

                                                                                        第19代孫 靑庵 金 詳 浩 謹撰





▲ 牧使公 事蹟碑 全景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