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 논문 - 고려말 金九容(1338~1384)의 생애와 교유관계
페이지 정보
김발용 작성일14-01-14 18:10 조회3,133회 댓글3건본문
작년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입니다.
전문은 첨부파일를 다운 받으세요.
저자명 김태준 문서유형 학위논문(석사) 발행정보 고려대학교 2013년 한국 한국어
고려말 金九容(1338~1384)의 생애와 교유관계
초록
고려말 金九容(1338∼1384)의 생애와 교유관계를 복원한 사례연구이다. 그는 정치적으로 정도전, 정몽주 등과 함께하였으며 사상적으로 성리학적인 바탕을 가진 新進士類의 한 사람이다. 실제 김구용은 신진사류의 성장에 빼놓을 수 없는 1368년 성균관 중영과 1375년 북원사신 문제와 관련하여 당시에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조선건국 이전인 1384년에 중국유배 도중에 죽음으로 인해 주목받지 못하였으며, 그의 문집인 『惕若齋學吟集』은 시문집인 관계로 국문학에서는 활발한 연구가 있었지만 역사학에서는 접근이 어려웠다. 그런데 최근 고려시대연구에서 인적 관계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交遊詩 등을 객관적인 자료로서 활용하는 다양한 접근 방법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문집 분석을 통해 그의 생애와 교유관계를 복원함으로써 당시 그의 역할이 어떠했는지 밝혀보았다.
김구용의 본족은 安東金氏, 외족은 驪興閔氏, 처족은 南陽洪氏로서 특징적으로 본족, 외족, 처족에 걸쳐서 彦陽金氏와도 혼인관계가 확인된다. 그는 당시 문벌귀족가문들과 맺어져 있었다. 김구용은 어려서 외가에서 자랐으며, 閔思平ㆍ李齊賢 등에게 학문적인 영향을 받았다. 중국사행시와 중국유배시 등을 통해 그의 공간적 이동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의 호와 당호 등을 통하여 학문의 실천 태도를 엿볼 수 있었다. 그의 가계와 생애를 보면 당시 고려사회 내에서 김구용의 입지가 상당했음을 알 수 있다.
문집의 교유관계를 살펴보면 98명이 확인되며, 그 중에서 54명이 과거급제자이다. 주요 교유관계인 과거급제자를 중심으로 座主ㆍ同年 관계를 분석하여 그림으로 그려 본 결과 다원적인 양상이 보였다. 이 중 주요인물들인 李崇仁, 鄭夢周, 廉興邦 등은 모두 성균관 중영과 북원사신 영접 반대와 관련한 인물들로서 모두 김구용과의 교유관계를 통하여 형성되거나 이와 관련된 인물들이었다. 이러한 자료들을 통해 볼 때 신진사류의 성장에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던 1368년 성균관 중영과 1375년 북원사신 관련 문제에 있어서 김구용의 교유관계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그가 주도적 위치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여타 사례들이 축적되어 더욱 넓은 그림이 그려진다면 고려말 교유관계의 양상을 파악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목차
Ⅰ. 머리말 1
Ⅱ. 金九容의 문집과 생애 6
1. 『惕若齋學吟集』의 간행과 내용 6
2. 가계와 생애 8
1) 가계 9
2) 생애 16
Ⅲ. 金九容의 활동과 교유관계 27
1. 학문과 정치활동 27
1) 학문 27
2) 정치활동 31
2. 座主ㆍ同年 중심의 교유관계 36
1) 『惕若齋學吟集』 속 친속관계 37
2) 座主ㆍ同年의 多元的 네트워크 42
Ⅳ. 맺음말 54
댓글목록
김윤식님의 댓글
![]() |
김윤식 |
---|---|
작성일 |
대부님, 감사합니다.
덕분에 소중한 자료를 접합니다.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논문 발표하신 김태준 선생님께도 고마운 마음 전합니다.
김영환님의 댓글
![]() |
김영환 |
---|---|
작성일 |
솔뱅이님 감사합니다. 어제 여러번 다운 받으려 시도 했다 실패 했는데..... 고대 도서관에 가서 복사해야지 .. 라고 생각하고 있던 중입니다. 추운데 편히앉아서 보게 되었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말씀. ㄱ ㅅ ㄱ ㅅ
김재만님의 댓글
![]() |
김재만 |
---|---|
작성일 |
오랜만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요즘 드라마 정도전 보면 답답했는데...
꼼꼼히 공부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