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세일사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주요 시제일 안내 (각 파조 이상)

2. 각 파내 소파별 시제 안내

p02.png 능동 충렬공 중시조님 및 회곡동 냉평국 대부인 시제 소개

1) 분방기(分榜記)

2) 홀기(笏記)

3) 축식(祝式)

4) 제수 설찬도

5) 안동 충렬공 묘소 및 냉평국대부인 단묘 가는 길 약도 안내

 

본문

p02.png 홀기(笏記)

 

(충렬공 시제에 전통적으로 사용해 오던 안동 소산문중 소장 홀기)

ankim02-5-4a.jpg

 

ankim02-5-4b.jpg

<회곡동 시제 분방기> <안동 소산문중 소장 충렬공 홀기. 2003. 11. 충렬공 시제 시 발용(군) 촬영 제공>

 

<홀기문> (2003. 12. 益洙(泰益. 제) 해석. 항용(제) 정리, 제공)

 

 1. 獻官以下序立祗迎(헌관이하서립지영) : 헌관 이하 차례로 서서 공경하게 맞이하시오

 2. 贊引引祝及諸執事入就拜位(찬인인축급제집사입취배위) : 찬인은 축관과 제집사를 인도하고 들어와 배위 앞에 나아가시오

 3. 贊引引獻官以下(찬인인헌관이하) : 찬인은 헌관 이하를 인도하고

 4. 入就拜位參神(입취배위참신) : 들어와 배위 앞으로 나아가서 참신하시오

 5. 贊引引祝及諸執事詣관洗位-(찬인인축급제집사예관세위) : 찬인은 축관 및 제 집사를 인도하고 세수기로 나아가시오-손을 씻고 수건으로 닦으시오

 6. 各就位(각취위) : 각자의 자리로 가시오

 7. 陳設(진설) : 제수를 놓으시오8. 謁者初獻官詣관洗位-(알자초헌관예관세위) : 알자는 초헌관을 세수기로 모시시오. 손을 씻고 수건으로 닦으시오

 9. 引詣香案前(인예향안전) : 향안 앞으로 인도하여 모시시오

10. 궤(궤) : 꿇어 앉으시오

11. 上香(상향) 斟酒(침주) : 향을 올리고 술을 따르시오

12. 降神(강신) : 강신하시오

13. 俯伏(부복) : 엎드리시오

14. 興(흥) : 일어서시오

15. 再拜(재배) : 두 번 절하시오

16. 仍降復位謁者引初獻官詣神位前(잉강복위알자인초헌관예신위전) : 인도하여 내려가 원래의 자리로 가시오. 알자는 초헌관을 신위 앞으로 모시시오

17. 궤(궤) : 꿇어 앉으시오

18. 斟酒(침주) : 술을 따르시오

19. 奠爵(전작) : 잔을 바치시오

20. 獻炙(헌적) : 적(육적)을 바치시오

21. 俯伏(부복) : 엎드리시오

22. 祝讀祝(축독축) : 축관은 축문은 읽으시오

23. 上匙箸(상시저) : 젓가락과 숟가락을 올리시오

24. 興(흥) : 일어서시오

25. 再拜(재배) : 두 번 절하시오

26. 仍降復位(잉강복위) : 인도하여 내려와 제자리로 가시오

27. 贊人引亞獻官詣관洗세位-(찬인인아헌관예관세위) : 찬인은 아헌관을 인도하여 세수기로 모시시오. 손을 씻고 수건으로 닦으시오

28. 引詣神位前(인예신위전) : 인도하여 신위 앞으로 모시시오

29. 궤(꿇어 앉을 궤) : 꿇어 앉으시오

30. 斟酒(침주) : 술을 따르시오

31. 奠爵(전작) : 잔을 바치시오

32. 獻炙(헌적) : 적(계적)을 올리시오

33. 俯伏(부복) : 엎드리시오

34. 興(흥) : 일어서시오

35. 再拜(재배) : 두 번 절하시오

36. 仍降復位(잉강복위) : 인도하여 내려와 제자리로 가시오

37. 贊人引終獻官詣관洗位-(찬인인아헌관예관세위) : 찬인은 종헌관을 인도하여 세수기로 모시시오. 손을 씻고 수건으로 닦으시오

38. 引詣神位前(인예신위전) : 인도하여 신위 앞으로 모시시오

39. 궤(궤) : 꿇어 앉으시오

40. 斟酒(침주) : 술을 따르시오

41. 奠爵(전작) : 잔을 바치시오

42. 獻炙(헌적) : 적(어적)을 올리시오

43. 揷匙(삽시) : 수저를 들고 다같이 꽂으시오

44. 俯伏(부복) : 엎드리시오

45. 興(흥) : 일어서시오

46. 再拜(재배) : 두 번 절하시오

47. 引降復位(인강복위) : 인도하여 내려와 제자리로 가시오

48. 侑食(유식) : 유식(권하여 더 드리는 식사)을 하시오

49. 獻官以下俯伏 一頃一飯 九匙之頃(헌관이하부복일경) : 헌관 이하 모든 사람은 잠깐 부복하시오 - 밥 한 그릇, 9숟가락 뜨는 시간

50. 興(흥) : 일어서시오

51. 進茶(진다) : 숭늉을 올리시오

52. 點茶(점다) : 숭늉에 메를 마시오

53. 獻官以下鞠躬少頃(헌관이하국궁소경) : 헌관 이하 모든 사람은 잠시 허리를 굽히시오

54. 平身(평신) : 몸을 펴시오

55. 下匙箸(하시저) : 숟가락과 젓가락을 내리시오

56. 獻官以下再拜(헌관이하재배) : 헌관 이하 모든 사람은 재배하시오

57. 贊人引初獻官詣焚祝所(찬인인초헌관예분축소) : 찬인은 초헌관을 모시고 축문을 사르는 곳으로 가시오

58. 祝焚祝(축분축) : 축관은 축문을 사르시오

59. 禮畢(예필) : 모든 예를 마쳤습니다.

60. 以爲出(이위출) : 나가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