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2008. 9. 4. 항용(제) 제공) 1. 위치 : 전북 고창군 갑촌리 2. 건축연대 : 2006년 3. 내용 : 익원공(휘 士衡)의 위패를 모신 불천위 사당 4. 이건 과정(6회 이건)
가. 1872년 (부조묘 이건) : 전남 영암에 익원공의 사당인 부조묘를 충북 청원군 강내면 용실동으로 이전함. 나. 1870년∼1872년 8월 : 영정은 처음 황해도 평산엽동에 봉안하였는데 그후 영암 이전까지는 사실기록이 없어 알 수 없음. 다. 1900년 : 익원공 부조묘를 용실동에서 충북 청원군 강내면 궁현리로 이건, 주창자 김영필 간사 김태로, 김윤원, 김민상, 김재경, 이건기는 행주 기우만이 씀. 라. 1916년 : 익원공 부조묘를 궁현리에서 충남 부여읍 저석리 석탄 이전함. 신주, 익원공 김사형 회맹철권 보존. 마. 1934년 : 익원공 부조묘를 부여읍 저석리에서 전북 고창읍 도산리로 이전함. 상량문은 도산 김정회가 씀. 바. 2006년 : 익원공 부조묘를 고창읍 도산리에서 전북 고창군 공음면 칠암리 갑촌의 영모당 뒤로 이건함.
<2008. 8. 15. 안사연 참배 내용> (2008. 9. 4. 항용(제) 제공) *제7회 안사연 여름캠프가 2008. 8. 15일 전북 일대에서 펼쳐졌습니다. 이때 익원공의 부조묘를 참배한 내용을 아래에 옮깁니다. 17:10 - 익원공 부조묘(불천위 사당)는 좌측에 하마비(下馬碑)가, 우측에 갑촌마을을 알리는 표지석 사이로 난 길을 지나자 우측에 홍살문이 바로 보입니다. 명회 부회장님의 집례로 <익원공 부조묘>와 <도암사-영모당 휘 質 선조님을 주벽으로 영모당의 증손 은송당 휘 景哲, 현무재 휘 益哲을 배향>에 참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