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2007. 5. 12. 윤식(문) 제공)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안동김씨 문온공파 문온공파 직제학공계 철원부사공(휘 확) 할아버지 합장 묘소에서 출토된 복식에 대한 보존처리 및 연구 결과를 집대성한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안동김씨 문온공파』가 '경기도박물관 학술총서'로 발간되었다. 2007년 2월 경기도박물관이 펴낸 이 책은 5×7배판(국배판), 388쪽, 양장제본으로 책머리에 출토복식의 중요성을 역설한 경기도박물관 이종선 관장의 인사말을 비롯해 각종 출토복식의 화보와 묘지석 2종, 유물 보존처리, 유물 고찰, 실측도 등을 담고 있다. 또한 책 앞뒤의 표지는 철원부사공 할아버지께서 입으셨던 단령의 흉배와 동래정씨 할머니의 저고리 섶 무늬와 습신을 소재로 디자인되었다. 특히 할머니께서 입으셨던 저고리 섶 무늬는 탄성이 절로 나올 정도로 정교해 보는 이를 놀라게 한다.
내용 및 필자는 다음과 같다. 화보 - 서한강 행력 - 김성환 유물 보존처리 김확 합장묘 관 보존처리 - 이재성, 전익환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보존처리 - 이미식, 배순화, 홍문경
유물 고찰 김확 합장묘 출토 직물에 관한 연구 - 조효숙, 이은진 김확 합장묘 출토 복식에 관한 연구 - 송미경
책 내용은 보고서와 함께 CD-ROM으로 제작해 연구와 활용에 편리하도록 배려하였다.(상세한 수록 내용은 영환 종친께서 연재 중인 글 참조 요망)
편집진 명단은 다음과 같다. 사진 / 서헌강 도면 / 정미숙, 목진애 일러스트 / 목진애 편집 / 장덕호(경기도박물관 유물관리팀장) 송만영(경기도박물관 학예연구팀장) 이재성(경기도박물관 학예연구사) 송미경(경기도박물관 학예연구팀 연구원) 정미숙(경기도박물관 유물관리팀 연구원) 백지혜(경기도박물관 유물관리팀 연구원) 목진애(경기도박물관 유물관리팀 연구원)
<화보>는 부사공(휘 명리), 철원부사공(휘 확) 할아버지 묘지석 각 1종을 비롯해 철원부사공과 배위 동래정씨 관(棺), 철원부사공 친필 시, 주요 출토복식 사진 등을 담고 있다.
<행력(行歷)>에는 ‘금사 김확과 숙인 동래정씨의 행력’이라는 제목으로 ‘포천 안동김씨의 선영과 김확 묘의 천장’, ‘김확의 가계와 행력’, ‘묘갈명과 묘지명’, ‘김명리 묘지’ 등이 수록돼 향후 학계의 비상한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부사공(휘 명리)의 묘지는 여말 선초의 중앙 관계(官界), 여말의 과거제도(국자감시, 생원시, 국자감) 및 당시 국자감시 입격자 등에 관한 새로운 정보를 담고 있는데, 이 내용은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것이다.
<유물 보존처리>에는 ‘김확 합장묘 관(棺) 보존처리’,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의 보존처리’가 실려 있다. ‘김확 합장묘 관(棺) 보존처리’에는 머리말, 관의 형태, 보존처리 전 상태 조사, 클리닝, 표면 코팅, 보관, 결론 등이 수록돼 있다.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의 보존처리’는 서론에 이어 유물의 세탁으로 유물의 분류와 물세탁, 유기용매 세탁이, 실험에는 유물의 물리적 특성과 세척성, 세척 후 유물 내 용매의 잔량 비교 등을, 결과 및 고찰에는 유물의 물리적 특성, 유물의 세척성, 용매별 세척 후 유물 내 잔량 비교 등을 담고 있다.
<유물 고찰>에는 ‘김확 합장묘 출토직물 연구’와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연구’ 등 2편의 논문이 게재되었다. ‘김확 합장묘 출토직물 연구’는 연구 필요성과 목적 및 연구방법, 문헌에 기록된 조선 중기의 직물명칭, 김확 묘와 동래정씨 묘 출토직물의 제직 특성과 무늬의 특성, 결론 등이 담겨 있다.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연구’는 김확 묘 출토복식와 동래정씨 복식으로 대별되는데, 각각 염습의(殮襲衣)의 구분, 출토복식의 연구, 염습제구를 내용으로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실측도>에는 총 111점의 출토 복식 각각의 사진과 실측도 및 소재, 크기를 기록하여 누구라도 복원이 가능토록 하였다. 장장 6년여에 걸친 복원처리와 심층적인 연구, 정성들인 사진촬영 및 미려한 디자인, 견고한 장정으로 출토복식 연구서를 발간한 경기도박물관 관계자들께 감사 말씀을 드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