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충갑(金忠甲)1515(중종10)∼1575(선조8)--(제)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구암공 소개

 2. 주요 사진 소개

 3. 구암문집 소개

 4. 구암연보

 5. 친필 서찰 및 시문 소개

 6. 신도비명 소개

 7. 출생지 답사

 8. 각종 문헌 자료 종합

 

본문

p11.png 8. 각종 문헌 자료 종합

1)<연려실 기술 내 각종 자료 종합> (2003. 11. 13. 윤만(문) 제공)

  (1)▣ 연려실기술 제11권 명종조 고사본말(明宗朝故事本末) 요승 보우(普雨)가 귀양가다 을축년(1565) 6월 ▣

 

○ 20년 을축에 문정왕후가 승하하니, 대간이 태학생 김충갑(金忠甲) 등 과 더불어 계속 상소하여, 보우를 죽이기를 청하여 제주로 귀양보내었는데, 목사변협(邊協)이 다른 일로 매를 때려 죽이니 사림(士林)이 통쾌하게 여겼다.《석담일기》ㆍ《지봉유설》

 

  (2)▣ 연려실기술 제10권 명종조 고사본말(明宗組故事本末) 을사년의 당적(黨籍) ▣

 

[김충갑(金忠甲)]

김충갑은, 자는 서초(恕初)이며, 호는 귀암(龜巖)이요,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중종 계묘년에 생원ㆍ진사에 합격하고 병오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정자(正字)로 있다가, 이휘(李煇)의 처형이며 윤임과 같은 동리에서 산다는 이유로 정미년에 청주(淸州)에 귀양갔다. 뒤에 석방되어 돌아와서 다시 정언에 임명되었으며, 벼슬은 사예(司藝)에 이르렀다.

 

  (3)▣ 연려실기술 제8권 중종조 고사본말(中宗朝故事本末) 붙임현량과(賢良科)방목(榜目) 및 천목(薦目) 방목 가운데 홍문록 18인이다 ▣

참봉 김신동(金伸童) 을사년(1486)에 나고, 자는 성이(聖而)이다. 의 천목에, “마음과 행동이 구차스럽지 않으며 식견과 도량, 재능과 국량이 있다.” 하였다. 한림에 발탁되고, 을사년 복과 후에 종부시 주부에 임명되었다. 본관은 상주(尙州)이고, 서울에 살았다. 생원 거(磲)의 아들이다. 아들 기(誋), 손자 영남(穎男), 사위 김충갑(金忠甲), 외손(外孫)김시회(金時晦)가 모두 문과에 급제했다.

 

2) <지퇴당집>내 기록내용 (2003. 11. 13. 항용(제) 제공)

<知退堂集> 卷之五,  雜記       壽春雜記  

李文楗。乙巳。爲承旨。?順朋等引對時入待。錄勳。未幾。以

煇切親削勳。竄配星州而卒。以善筆法稱。

金忠甲。李煇之婦弟也。丙午。登第。爲承文正字。劾以付會

詭論。門外黜送。今上朝。復爲司成而卒。

 

3) 地理類 方誌 郡邑誌 京畿道, 훈도방주자동지(薰陶坊鑄字洞志. 古 4790-16) (2003. 11. 13. 항용(제) 제공)

漢陽의 薰陶坊 鑄字洞의 연혁과 풍물, 인물 등을 정리한 洞志. 표지서명은 "鑄字洞志"로 되어 있다. 작성시기가 17세기이며, 흔치 않은 洞志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密昌府院君 朴承宗의 서문에서는 주자동이 逐名 規利하는 사람들이 살지 않고 書冊을 인쇄하는 工人들과 讀書 養病하는 사대부만이 살고 있는 한적한 동네이지만 己卯年(기묘사화)과 乙巳年(을사사화)에 걸쳐 忠孝한 인물들이 많이 배출되었음을 칭송하였다. 내용은 公館·祠宇·古跡·風俗·孝子·節婦·名宦으로 구성되어 있다.

 

[公館]은 校書館의 업무와 관원의 구성을 적은 것인데, 鑄字洞이라는 이름이 校書館이 자리한 데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연혁 대신 서두에 들어간 것이다. 내용의 중심은 [名宦]으로서 주자동에 거주한 주요 인물들의 약력을 정리하였다. 舊宅의 소재를 아는 경우 이를 말미에 부기하였다.

 

열거된 인물은 다음과 같다. 安從約·安瑚·安琛·鄭甲孫·曹錫文·權擥·權健·終南守(인명미상)·奇遵·朴世喜·鄭膺·趙佑·安瑛·金?·蔡世英·李賢輔·丁?·權應昌·李瀣·柳辰仝·鄭世虎·李之蕃·李山海·朴忠元·朴啓賢·黃琳·金忠甲·韓準·權遂·鄭淑·權?·金時敏·慶暹·權昕.

 

4) 고전국역총서 乙巳傳聞錄 김충갑전(金忠甲傳) 이중열저 (2003. 11. 13. 항용(제) 제공)

김충갑의 자는 서초(恕初)이며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병오년에 과거에 올라, 권지 승문원 정자(權知承文院正字)가 되었는데, 정미년에 정언각의 고변으로 대간에서, 이휘의 처남으로 윤임과 더불어 한 마을에 살면서 때때로 간사한 논의를 내어 억지로 붙여서 우겨댐이 많았다는 이유로써 아뢰어 벼슬을 빼앗기고 성문 밖에 내쳐 보내졌다가 뒤에 풀려 돌아와서 정언(正言)에 임명되었다. 공이 아뢰기를, “정미년 가을에 논핵을 받아 파출(罷黜)되었고, 또 매부(妹夫 이휘)가 을사년에 죄를 입었는데, 지금 같이 그때의 나를 의논하는 데에 참여하면, 남의 말이 없지 않을 것이므로, 편하지 못합니다.” 하니, 답하기를, “사양하지 말라.” 하였다.

 

5) 고전국역총서-기묘록보유(己卯錄補遺)-김신동 전(沈神童傳)  (2003. 11. 13. 항용(제) 제공)

참봉 김신동은 을사생이고 자(字)는 성이(聖而)이며 벼슬은 한림에 이르렀다. 상주(尙州)가 본관이며 서울에 살았다. 생원 김재(金?)의 아들이다.

보유 : 경오년에 생원이 되었고 무인년에 공천으로 영릉 참봉(英陵參奉)에 임명되었다. 천목에는 심행(心行)이 구차스럽지 않고 식량(識量)과 재기(才氣)가 있다는 것이었다. 발탁되어 한림으로 제수되었고 을사년에 천과(薦科)가 회복된 뒤에 종부시 주부(宗簿寺主簿)로 임명되었다. 아들 김기(金?)문과ㆍ김양(金讓)현감ㆍ김영(金詠)ㆍ김담(金譚)ㆍ김심(金諶), 사위 김충갑(金忠甲)문과, 손자 김영남(金穎男)문과ㆍ김숙남(金淑男)ㆍ김철남(金哲男), 외손 김시회(金時晦)문과가 있다.

 

6) <感興詩>(중간본) 속의 발문 (2005. 9. 6. 항용(제) 제공)

   *<감흥시> 소개

    (1)서적소개 : 주문공(주희) 선생의 시(20 가지)와 무이구곡가를 해설한 책

    (2)<감흥시>(초간본) 제작자 : 門人 蔡模學

    (3)<감흥시>(초간본) 제작 연대 : 1304년(大德 甲辰 仲秋. 고려 충렬 30).

    (4)<감흥시>(중간본) 제작자 : 李楨 (1512-1571)

    (5)<감흥시>(중간본) 제작일 :  1553년(명종8, 39세). 12월(臘月) 하한(下澣)

    (6)<감흥시>(중간본) 발문 찬자 : 金忠甲

    (7)<감흥시>(중간본) 소장자 : 김태석(정의공파. 경북 봉화군 춘양면 소로리 거주. 054)672-8573.  011-9721-0795. <충렬록>등 소장) . 2005. 9. 1. 복사본 입수.

 

* 이정(李楨)   (출전 : 디지털 한국학)

1512(중종 7)∼1571(선조4).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자는 강이(剛而), 호는 구암(龜巖). 담(湛)의 아들이다.

1536년(중종 31)진사로 별시문과에 장원, 성균관전적에 보임되었다. 다음해 성절사(聖節使)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뒤 예조정랑을 거친 뒤 연로한 부모봉양을 위하여 경상도 선산부사로 나갔다가 1552년(명종 7)사성, 이듬해 청주목사를 지냈다.

이때 선정을 베풀고 효행이 뛰어나 통정대부(通政大夫)로 가자되었다.

1555년 왜구가 호남성에 침입하자 이를 구원하러 갈 때는 군기가 엄정하여 그 위엄에 눌려 왜구들이 도망하였다.

1559년 우부승지·형조참의·좌부승지 등을 거쳐 이듬해 병조참의·대사간·호조참의·예조참의를 지내고, 경주부윤으로 나가 옛 신라의 열왕묘(列王墓)를 보수하고, 서악정사(西嶽精舍)를 세워서 후진교육에 힘썼다.

1563년 중앙의 요직에 잠시 있은 뒤 다시 전라도 순천부사로 나가 갑자사화 때 사사된 김굉필(金宏弼)을 위하여 경현당(景賢堂)을 건립, 그를 제사하게 하였다.

1568년(선조 1)홍문관부제학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고 고향에 구암정사(龜巖精舍)를 지어 동쪽에는 거경재(居敬齋), 서쪽에는 명의재(明義齋)를 만들어 후진양성에 힘썼다. 어릴 때에는 송인수(宋麟壽)로부터 배우고 성장한 뒤에는 이황(李滉)과 교유하였다. 성리학에 밝았다. 사천의 구계서원(龜溪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술로는 《구암문집》을 비롯하여 《성리유편 性理遺編》·《경현록 景賢錄》·《논상례 論喪禮》·《한훤보록 寒暄譜錄》·《열성어제 列聖御制》 등이 있다.

 

7) <동방급제자> (2006. 1. 7. 항용(제) 제공)

명종1년(1546) 식년시때는 76명의 합격자를 냈다.  

이름 생년 자 호 본관 합격등급

강사상(姜士尙) 1519 기묘 상지(尙之)  진주(晉州) 丙科8

강섬(姜暹) 1516 병자 명중(明仲) 송월(松月) 진주(晉州) 丙科2

고경허(高景虛)  응실(應實) 아계(丫溪) 제주(濟州) 丙科3

곽간(郭趕) 1529 기축 윤정(允靜) 매당(梅塘) 현풍(玄風) 丙科22

곽회영(郭懷英)  인걸(仁傑)  청주(淸州) 丙科2

기대항(奇大恒) 1519 기묘 가구(可久)  행주(幸州) 乙科4

김규(金<0x3C34>) 1502 임술 몽서(夢瑞)  광주(光州) 丙科4

김극일(金克一)  백순(伯純) 약봉(藥峯) 의성(義城) 丙科1

김기문(金起文)  비연(斐然)  경주(慶州) 丙科11

김덕량(金德良)  일지(一之)  공주(公州) 丙科5

김덕룡(金德龍) 1518 무인 운보(雲甫) 낙곡(駱谷) 안동(安東) 甲科2--익원공파

김사섬(金士銛)  백온(伯溫)  강릉(江陵) 丙科10

김삼달(金三達)    미상(未詳) 丙科2

김오(金鰲)  낭선(浪仙)  청도(淸道) 丙科3

김용(金鎔)  련중(鍊仲)  개성(開城) 丙科6

김정석(金廷碩)  국로(國老)  교하(交河) 丙科9

김충갑(金忠甲) 1515 을해 서초(恕初) 귀암(龜岩) 안동(安東) 丙科4--제학공파

김침(金沈)  용회(用晦)  미상(未詳) 甲科2

김한걸(金漢傑)  자신(子伸)  개성(開城) 丙科21

노진(盧禛) 1518 무인 자응(子膺) 옥계(玉溪) 풍천(豊川) 乙科4

*목첨(睦詹) 1515 을해 사가(思可) 두일(逗日) 사천(泗川) 乙科7

*박문수(朴文秀) 1502 임술 이실(而實)  밀양(密陽) 乙科7

박민헌(朴民獻) 1516 병자 희정(希正) 정암(正庵) 함양(咸陽) 乙科1

박위(朴偉)  굉중(宏仲)  밀양(密陽) 丙科16

박전(朴全)  면부(勉夫)  무안(務安) 丙科15

박충원(朴忠元)    미상(未詳) 丙科6

박호(朴虎)  경인(景仁)  밀양(密陽) 丙科14

변위(邊偉)  태허(太虛)  원주(原州) 丙科7

서극일(徐克一)  선원(善源)  이천(利川) 丙科1

손한(孫翰)  문백(文伯)  밀양(密陽) 丙科3

송희규(宋希奎)    미상(未詳) 乙科1

신국량(申國樑)  간중(幹仲)  평산(平山) 丙科16

신륜(辛崙) 1528 무자 경입(景立)  영산(靈山) 乙科6

신의충(申義忠)  충경(忠卿)  평산(平山) 丙科7

신호(申濩)  덕홍(德弘)  영천(永川) 丙科12

*심수경(沈守慶) 1516 병자 희안(希顔) 청천(聽天) 풍산(豊山) 甲科1

심전(沈銓) 1496 병진 숙평(叔平)  청송(靑松) 丙科13

심통원(沈通源)    미상(未詳) 丙科5

안사웅(安士雄) 1529 기축 위백(偉伯)  광주(廣州) 丙科23

*양사언(楊士彦) 1517 정축 응빙(應聘) 봉래(蓬萊) 청주(淸州) 丙科20

양사준(楊士俊)  응거(應擧) 풍부(楓阜) 청주(淸州) 丙科5

양응태(梁應鮐)  경삼(景三)  남원(南原) 甲科3

양희(梁喜) 1515 을해 구이(懼而) 구졸(九拙) 남원(南原) 乙科1

유경심(柳景深)    미상(未詳) 甲科1

유수(柳洙)    미상(未詳) 丙科4

유승선(柳承善)  응경(應卿)  진주(晉州) 乙科5

유응두(柳應斗)  추보(樞甫)  진주(晉州) 丙科18

유종선(柳從善) 1519 기묘 택중(擇中)  진주(晉州) 乙科2

유한충(劉漢忠)  옥여(玉汝)  평산(平山) 丙科17

육대춘(陸大春)  건중(建中)  옥천(沃川) 丙科18

윤홍중(尹弘中)  중임(重任)  해남(海南) 丙科17

이광전(李光前)  효선(孝先)  합천(陜川) 丙科19

이광진(李光軫) 1517 정축 여임(汝任)  여흥(驪興) 丙科21

이극공(李克恭)  의중(懿仲)  공주(公州) 丙科20

이명(李銘) 1521 신사 자신(子新)  전주(全州) 丙科23

이성의(李成義)  의지(宜之)  광주(廣州) 丙科22

이순형(李純亨) 1498 무오 중가(仲嘉)  덕수(德水) 丙科7

이언충(李彦忠) 1524 갑신 사경(思敬)  성주(星州) 丙科14

이우민(李友閔)  효숙(孝叔) 수졸(守拙) 연안(延安) 丙科11

이중경(李重慶) 1517 정축 숙희(叔喜)  광주(廣州) 丙科19

이홍남(李洪男) 1515 을해 사중(士重)  광주(廣州) 丙科1

이희검(李希儉) 1516 병자 경질(景質) 국삼(菊參) 완산(完山) 丙科9

이희온(李希溫) 1519 기묘 경순(景醇)  완산(完山) 乙科3

임복(林復) 1521 신사 희인(希仁) 풍암(楓岩) 회진(會津) 乙科5

장문보(張文輔) 1516 병자 백훈(伯勳)  순천(順天) 丙科12

전제광(田霽光)  호연(浩然)  남양(南陽) 乙科6

정득(鄭得) 1483 계묘 덕부(德夫)  경주(慶州) 丙科15

정사량(鄭思亮)  집중(執中)  진주(晉州) 丙科13

정순우(鄭純祐)  백수(伯受)  동래(東萊) 乙科2

조박(趙璞)    미상(未詳) 乙科2

조선규(趙善奎)  사문(士文)  풍양(豊壤) 丙科10

주이(周怡)  사안(士安)  상주(尙州) 丙科8

최응룡(崔應龍) 1514 갑술 견숙(見叔) 송정(松亭) 전주(全州) 甲科1

한호(韓灝)  원원(源源)  당진(唐津) 乙科3

*허엽(許曄) 1517 정축 태휘(太輝) 초당(草堂) 양천(陽川) 甲科3

황우(黃祐)  경중(慶仲)  우주(紆州) 丙科6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