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6) 이순언(李純彦) 묘갈 (2005. 1. 8. 발용(군) 제공) 소 재 지 : 경기도 광주군 초월읍 신월리 산 22-1 건립연대 : 1521年(중종 21) 찬 : 김안국(金安國) 서 : 김 노(金 魯) 전 : 김 노(金 魯) 비규모(碑規模): 총고 249cm, 비고 142cm, 폭 64cm, 후 20cm 서자경(書字徑): 전자(篆字) 6.2cm, 음기(陰記)2.2cm 비재질(碑材質): 이수(螭首) : 대리석, 비신(碑身) : 대리석, 대석(臺石) : 화강암
1521년에 건립된 이 비는 비좌이수(碑座螭首)의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이수 앞면에는 가운데의 여의주를 두 마리 용이 올려다보며 운문에 감싸여 있고, 뒷면에는 우측의 여의주를 한 마리의 용이 올려다보고 있고, 측면에는 운문과 용꼬리가 있다. 대석에는 복연(覆蓮)과 안상문(眼象紋)이 있는데 장방형 판석 위에 세워져 있다.
비의 하부가 마멸이 심해 일부 판독이 난해한 곳이 있으며, 묘소에는 숙인 용인이씨(龍仁李氏)와 합장. 호석·상석·향로석·족석·혼유석·계체석·문인석이 있다. 그리고 조선 중기에 건립된 비좌이수의 대리석 묘표가 있다.
이순언(1459~1519)은 조선중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자는 일지(一之). 한산군(漢山君) 손(蓀)의 아들이다.
활쏘기와 말타기를 잘하여 임금이 특별히 부장(部將)으로 삼았고, 선전관(宣傳官)으로 옮겨 도총부사(都摠府使)로 승진하였다. 내정으로는 내섬(內贍)·사섬(司贍)·내자(內資)·사복(司僕)·사도(司䆃) 등 오시(五寺)의 첨정(僉正)과 의빈(儀賓)·도총(都摠) 양부(兩府)의 경력(經歷), 예빈(禮賓)·사복(司僕) 양시(兩寺)의 부정(副正)을 역임하였고 외직으로는 용강현령(龍崗縣令)과 이천도호부사(利川都護府使), 파주목사(坡州牧使)를 역임하였다.
▲ 묘갈 탁본(64*142)
牧使公李公墓碣銘
有明朝鮮國通訓大夫坡州牧使李公墓碣銘幷序 資憲大夫議政府右參贊兼知經筵事弘文館提學同知成均館事 金安國 撰, 務功郞◯知承文院副正字 金 魯 書幷篆.
목사공이공묘갈명
유명조선국통훈대부파주목사이공묘갈명병서 자헌대부의정부우참찬겸지경연사홍문각제학동지성균관사 김안국은 글을 짓고, 무공랑◯지승문원부정자 김노는 글씨와 전액을 쓰다.
▲ 이순언 묘소 전경
▲ 이순언 묘갈
▲ 이순언 묘갈 부분 글씨
<출전 : 광주금석문대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