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구만(金龜萬)1632년(인조 10)∼1699년(숙종 25)--(제)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승지공 및 연보 소개

 2. 묘소 사진 소개

 3. 교지 및 유서 소개

 4. 친필 소개

 5. 시문 소개

 6. 치제문 소개

 7. 만사 소개

 

본문

p11.png 1. 승지공 및 연보 소개

         1632년(인조 10)∼1699년(숙종 25).

자(字)는 元瑞(원서), 제학공(휘 益達) 후손으로 충북 괴산군 사리면 하도(荷島)에서 출생했다. 1666(현종7년)에 진사(進士)급제, 1677년(숙종 3) 강서현령(江西縣令), 1678년(숙종 4) 문과 급제 후 지평(持平), 정언(正言), 장령(掌令)을 거쳐 1689년(숙종 15)에 경기우방어사 장단부사(京畿右防御使 長湍府使), 1693년(숙종 19) 부호군(副護軍)을 거쳐 1694년(숙종 20) 좌승지(左承旨)에 올랐고, 1699년(숙종 25) 68세로 몰(歿)하였다. 묘는 충북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산1번지 보광산 정상에 있다.  

유물로는 문과 교지 1매, 장단부사 유지 1매, 친필 서찰 1매가 있다.

 

<연보>

(2010. 10. 11. 항용(제) 작성)

 

*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치제문(上洛家升), 교지, 유지 참조 작성.  

 

1. 1632년(인조10.1세). 11. 16 : 자(字)는 원서(元瑞), 제학공(휘 益達) 후손,  충북 괴산군 사리면 하도(荷島)에서 출생. 부는 감사공(휘 素), 모는 광산이씨  

2. 1666년(현종7.35세) : 진사(進士)급제. 서사(筮仕)로 벼슬에 오름

3. 1673년(현종14.42세). 7. 12. : 사재주부(司宰主簿). 부솔(副率)

4.                 11. 13. : 금부도사(禁府都事)

5.                 12. 28. : 낭천현감(狼川縣監)

6. 1676년(숙종2.45세) : 10. 25. : 봉보관(捧寶官)

7.                 12. 26. : 강서현령(江西縣令)

8. 1677년(숙종3.46세). 1. 9. : 강서현령 하직

9. 1678년(숙종4.47세). 3. 22. : 강서현령 재임.  

10.                윤3. 11. : 문과 급제  

11.                5. 12. : 병조좌랑(兵曹佐郞)

12.                8. 16. : 충청도사(忠淸都事)

13.                8. 26. : 충청도사 하직

14.                11. 12. : 충청 호남 지방의 “災傷差錯狀啓”를 올림

15.                12. 3. : 병조에서 충청도사인 김구만이 면천군수(沔川郡守)의 파출을 장계에서 거론하지 않은 것을 추고(推考)하게 함.

16.                12. 25. : 지평(持平)이 됨.

17. 1679년(숙종5.48세). 1. 9. : 비변사에서 충청도사 김구만을 파출(罷黜)하라는 계를 올림

18.                2. 6. : 부사직(副司直)에 임함.

19.                6. 1. : 도사 김구만을 서용(敍用)함.

20.                6. 8. : 정언(正言),

21.                6. 14 : 평강(平康)현감   

22. 1684년(숙종10.53세). 3. 29. : 영암군수(靈巖郡守).   

23. 1685년(숙종11.54세). 5. 28 : 전라감사가 영암군수 김구만의 파출(罷黜)을 청함

24. 1688년(숙종14.57세). 8. 2. : 고산찰방(高山察訪)을 겸함.

25.                9. 25 : 고산찰방 하직

26. 1689(숙종15.58세). 2. 3. : 장령(掌令)

27.                2. 18. : 유상운(柳尙運)의 중도부처(中途付處)를 청하는 계를 올림

28.                3. 6. : 부사직(副司直)에 제수

29.                윤3. 2. : 경기우방어사 장단부사(京畿右防御使 長湍府使)

30. 1690년(숙종16.59세). 2. 3. : 형조참의(刑曹參議)  

32.                2. 27. : 참지(參知) 제수

                    3. 6. : 동부승지(同副承旨)

34.                3. 8. : 참찬관(參贊官) 제수

35.                3. 14. : 동부승지(同副承旨)

36.                4. 1. : 국청(鞠聽)의 좌기(坐起)에 나아가기 위해 하직하며 추안(推案)을 청하는 장계를 올림

37.                8. 17. : 승지(承旨)

38. 1693년(숙종19.62세). 9. 19. : 부호군(副護軍).

39. 1694년(숙종20.63세) 1. 19. : 좌승지(左承旨)

40. 1699년(숙종25.68세). 12. 27. : 몰(歿). 묘는 충북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산1번지 보광산 정상.  

 

* 유물로 문과 교지 1매, 장단부사 유지 1매, 친필 서찰 1매가 있다.

配位 : 淑夫人 宜寧南氏. 1631년(인조9) 출생, 1709(숙종35) 졸. 父는 縣監 贈左承旨 斗華, 祖는 郡守 以聖, 曾祖는 判官 琯.  

 

 <치제문> 기록

 1) 승지에 3번 올랐음.  

 2) 숙종이 연경에 있을 때 임금을 보살핀 것에 대해 임금은 '어수일당(漁水一堂)사이.였다고 평함.  

 3) 2품계의 경력인데 부임하지 못했음을 안타까워함.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