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1) 문과 과거 급제 교지
<紅 牌> 1. 시기 : 1678년(숙종4). 승지공 47세 2. 수교자 : 承旨公(諱 龜萬) 3. 내용 : 文科 科擧試驗 合格 紅牌 4. 원문 및 풀이: 敎旨,通訓大夫 前行江西縣令 平壤鎭管兵馬節蹄 尉 金龜萬 文科 丙科 第十一人 及第出身者 康熙十七年 閏五月十一日
(통훈대부 전행강서현령 평양진관 병마절제도위였던 김구만은 문과 병과 제11인(총 52인 중 22위)에 급제 출신자임. 강희17년(1678. 숙종4) 윤5월 11일)
3.소장 : 양덕공 종가
<문과 동방 급제자> (2005. 10. 항용(제) 제공) 숙종4년 증광시때는 52명의 합격자를 냈다. 이름 생년 자 호 본관 합격등급
강세귀(姜世龜) 1632 임신 중옥(仲玉) 삼휴(三休) 진주(晉州) 乙科4 고익형(高益亨) 1645 을유 회지(會之) 개성(開城) 丙科8 권덕소(權德邵) 1643 계미 여고(汝高) 안동(安東) 丙科2 권성구(權聖矩) 1642 임오 서여(恕余) 구소(鳩巢) 안동(安東) 丙科30 권찬(權儹) 1635 을해 회경(會卿) 안동(安東) 丙科15 권흠(權歆) 1644 갑신 자형(子馨) 안동(安東) 乙科2 금성규(琴聖奎) 1636 병자 문숙(文叔) 봉화(奉化) 乙科2 김귀만(金龜萬) 1632 임신 원서(元瑞) 안동(安東) 丙科11 김몽양(金夢陽) 1653 계사 헌길(獻吉) 원주(原州) 丙科3 김시휘(金始徽) 1650 경인 성오(聖五) 강릉(江陵) 丙科20 김준상(金儁相) 1641 신사 거경(巨卿) 선산(善山) 丙科12 김호(金灝) 1651 신묘 여습(汝習) 연안(延安) 丙科6 나만성(羅晩成) 1646 병술 대로(大老) 나주(羅州) 丙科27 남치훈(南致熏) 1645 을유 훈연(熏然) 의령(宜寧) 丙科21 목임일(睦林一) 1646 병술 사백(士伯) 사천(泗川) 丙科17 민창도(閔昌道) 1654 갑오 사회(士會) 여흥(驪興) 乙科6 박세준(朴世㷪) 1634 갑술 중회(仲晦) 반남(潘南) 丙科4 박창한(朴昌漢) 1642 임오 한경(漢卿) 무안(務安) 丙科4 신양(申懹) 1630 경오 자평(子平) 평산(平山) 丙科16 심계(沈枅) 1634 갑술 건중(建中) 청송(靑松) 丙科2 양중하(梁重厦) 1641 신사 대재(大材) 남원(南原) 丙科7 엄륜(嚴綸) 1635 을해 사정(士正) 영월(寧越) 甲科2 오상유(吳尙游) 1658 무술 경언(景言) 동복(同福) 丙科32 윤반(尹攀) 1637 정축 반룡(攀龍) 남원(南原) 乙科7 윤세초(尹世礎) 1638 무인 중보(重寶) 양주(楊州) 丙科5 윤홍리(尹弘离) 1641 신사 거경(巨卿) 파평(坡平) 丙科24 이령(李坽) 1653 계사 자첨(子瞻) 진보(眞寶) 丙科29 이만원(李萬元) 1651 신묘 백춘(伯春) 연안(延安) 丙科28 이문흥(李文興) 1649 기축 대이(待而) 전주(全州) 丙科22 이수징(李壽徵) 1632 임신 인로(仁老) 연안(延安) 丙科10 이시만(李蓍晩) 1641 신사 정응(定應) 동애(東厓) 광주(廣州) 甲科3 이언강(李彦綱) 1648 무자 계심(季心) 전주(全州) 乙科1 이원령(李元齡) 1639 기묘 여장(汝長) 전주(全州) 丙科1 이인빈(李寅賓) 1625 을축 은경(殷卿) 설루(雪樓) 한산(韓山) 乙科3 이일익(李日翼) 1640 경진 자상(子商) 연안(延安) 乙科5 이증(李增) 1628 무진 성대(成大) 전주(全州) 丙科14 이진은(李震殷) 1646 병술 정숙(正叔) 호봉(瓠峯) 용인(龍仁) 甲科1 이필무(李必茂) 1628 무진 하경(夏卿) 광주(廣州) 乙科3 이희채(李熙采) 1634 갑술 자량(子亮) 전주(全州) 丙科13 임세헌(任世憲) 1630 경오 숙도(叔度) 풍천(豊川) 丙科9 임원구(任元耉) 1647 정해 대년(大年) 풍천(豊川) 丙科23 정상박(鄭尙樸) 1650 경인 진경(眞卿) 경주(慶州) 丙科5 정석형(鄭錫衡) 1625 을축 평중(平仲) 초계(草溪) 丙科31 정선명(鄭善鳴) 1636 병자 성원(聲遠) 진주(晉州) 丙科3 정인수(鄭仁壽) 1628 무진 성로(聖老) 동래(東萊) 丙科1 조수(趙脩) 1627 정묘 영숙(永叔) 한양(漢陽) 丙科26 조효창(曹孝昌) 1623 계해 행원(行源) 계양(桂陽) 창녕(昌寧) 甲科1 한후망(韓後望) 1624 갑자 문보(文輔) 청주(淸州) 乙科1 허지(許墀) 1646 병술 옥경(玉卿) 양천(陽川) 丙科6 허학(許嶨) 1615 을묘 자첨(子瞻) 양천(陽川) 丙科25 홍만수(洪萬遂) 1647 정해 성중(成仲) 채봉(彩峯) 풍산(豊山) 丙科18 홍만조(洪萬朝) 1645 을유 종지(宗之) 만퇴(晩退) 풍산(豊山) 丙科19
2) 유서-경기 장단부사 <諭 書> 1. 시기 : 1689년(숙종15) 승지공 58세. 2. 수교자 : 承旨公(諱 龜萬) 3. 내용 : 경기우방어사 겸 장단부사에 김구만을 임명하는 유서 경기우방어사 겸 장단부사인 김구만에게 유(諭)하노라. 경은 한 지역을 위임받아 무릇 병사를 일으킴에 가벼이 하지 말며, 상황에 맞게 대처하여 백성을 편안케하고 적을 제압하라. 일상적인 일은 구장(일반 업무 지침서)대로 하라. 생각건대, 혹시 내가 그대와 단독으로 일을 처리하고자하는 경우에는 밀부(임금과 신하와의 신표)가 없이는 시행치 말라. 또한 의외의 간사한 모략으로 불가불 이를 예방하지 않을 수 없으며, 만약 비상의 명령을 내리는 경우에는 그 밀부를 합해 보고 의심이 없다고 판단된 후에야 마땅히 그 명령을 따르라. 그러므로 제 33호의 부절을 경에게 받게 하노니 이에 유(諭)하노라. 강희 28년(1689년 숙종15. 공 58세). 3. 2일. 4. 소장 : 양덕공 종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