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 치(金 緻)1577(선조10)∼1625(인조3)--(제)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남봉공 소개 및 연보

2. 주요 사진자료 소개

3. 주요 자료 소개 - 1) 심곡비결

 2) 수교

 3) 교지소개

 4) 남봉집

 5) 제주 방선문 마애시

 6) 제주 박물관 자료

 7) 묘비문 소개

 8) 제주 유적 답사기

 9) 제주 유적 시문

10) 주요 시문

11) 각종 전설 소개

12) 남봉공 행장

13) 구 묘갈 탁본

4.각종 문헌 자료 소개 - 1) 증보 경상도 선생안

 2) 연려실기술

 3) 훈도방주자동지

 

본문

p11.png 2. 주요 사진 자료 소개

 5) 제주도 방선문 암벽 마애시

 

 ankim02-6-66x.jpg

<제주도 방선문 암벽에 새겨져 있는 남봉공의 시>

 

<제주도 마애명>(2000. 2. 제주도동양문화연구소 간. 51P)에 실려 있음. 방선문은 제주도 제주시 오라2동(정실마을) 남쪽 오등동에 위치. 제주10경의 하나인 영구춘화로 불리는 곳이다. 1609년(광해1년) 가을, 남봉공이 제주판관 재직시 방선문에 올라 지은 시로 절창으로 손꼽히며 방선문에 남아 있는 마애시 중에 원형이 가장 잘 보존 된 것이다. 2002. 8. 김익수(제). 자료제공

 

<원시 및 해석>

착石非神斧   쪼개진 돌은 귀신이 도끼질 한 것이 아니라

渾淪肇判開   혼돈(카오스)에서 처음 열리기 시작할 때 그대로이니

白雲千萬歲   흰 구름 속 오랜 세월을

仙俗幾多來   신선은 속세에 몇 번이나 다녀갔는가.

    己酉 秋 金緻      기유년(1609) 가을 김치(金緻)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