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성립(金誠立)1562(명종17)∼1592(선조25)--(서). 허난설헌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서당공 소개

2. 주요 사진 자료 소개

3. 각종 문헌 내의 기록 내용

 

4. 배위-허난설헌 소개

 1) 허난설헌

 2) 생애

 3) 친정 가계

 4) 일간지 기고내용

 5) 서울 거주지 자료

 6) 영정

 7) 친필 서화

 8) 묘소

 9) 시비소개

10) 생가 탐방

11) 규원가 소개

12) 신간도서소개

13) 오페라 소개

14) 일화(서당공과 난설헌) 소개

15) 허난설헌집 위작설 모음

16) 허난설헌작품 모음집

17) 허난설헌집 종합 소개

18) 연극 공연 관람기(안사연)

19) 고문헌(백옥루산량문) 경매 입수기

20) 허난설헌 창작소설 소개

21) 각종 문헌 내의 기록 내용

22) 허난설헌의 삶을 통한 여성들의 삶

 

본문

p11.png 4. 허난설헌 소개

3) 허난설헌 친정의 가계

 

양천 허씨 - 아버지 허엽과 자손을 중심으로:

 

초당(草堂) 허엽은 선조조 동서분당 때 동인의 영수가 된 인물로 슬하에 허성(許筬), 허봉(許 ), 허난설헌(許蘭雪軒), 허균(許筠)이 있어 모두 시문에 뛰어났다. 특히 허난설헌은 여류시인으로 이름나 황진이(黃眞伊)·신사임당(申師任堂)과 함께 삼대 여류시인으로 꼽히고, 허균은 서손을 차별대우하는 봉건적 사회제도의 개혁을 부르짖은 소설 『홍길동전(洪吉童傳)』의 작자로 널리 이름났으며 허엽의 아들이다.

 

허균은 1594년(선조27)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검열·설서를 지냈으며 1597년 중시문과에 장원, 다음해 황해도 도사가 되었다. 이어 춘추관 기주관·형조정랑을 거쳐 1602년 사예·사복시정을 역임, 이어 전적·수안군수를 지낸 뒤 1606년 원 접사의 종사관이 되어 명나라 사신을 영접, 이때 탁월한 명문장으로 이름을 떨쳤다. 그 후 사의원정, 삼척부사, 내자시정, 공주목사, 형조참의를 지내고, 1 610년(광해군2) 진주부사로 명나라에 가서 천주교의 기도문을 얻어 왔다. 1613년 계축옥사에 평소 교의가 깊었던 서자 출신의 박응서(朴應犀)등이 처형당하자 신변의 안정을 위해 당시 권신이던 이이첨(李爾瞻)에게 아부하여 예조·호조의 참의를 지내고, 숭문원 부제조를 거쳐 1614년 천추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617년 폐모론을 주장하는 등 대북파의 일원으로 왕의 신임을 얻은 것을 기화로 반란 계획을 진행시켰다. 이해 좌참찬에 승진, 다음해 하인준(河仁俊)등과 반란을 계획하기기 탄로되어 가산이 적몰되고 처형되었다.

 

그의 소설 『홍길동전(洪吉童傳)』은 사회제도를 비판한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걸작이다.

 

양천허씨

1세 시조 許宣文

.

.

19세 허 澣

20세 허구 호조참판공

허曄 초당공

허明 좌랑공

허엽 +한씨부인 1녀 밀양군수 박순원 2녀 대사성 우성전 1남 허筬(이조판서)+후취 김씨부인 2남 허봉(전한) 3녀 허난설헌(부;김성립) 3남 허筠(좌참찬)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