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성립(金誠立)1562(명종17)∼1592(선조25)--(서). 허난설헌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서당공 소개

2. 주요 사진 자료 소개

3. 각종 문헌 내의 기록 내용

 

4. 배위-허난설헌 소개

 1) 허난설헌

 2) 생애

 3) 친정 가계

 4) 일간지 기고내용

 5) 서울 거주지 자료

 6) 영정

 7) 친필 서화

 8) 묘소

 9) 시비소개

10) 생가 탐방

11) 규원가 소개

12) 신간도서소개

13) 오페라 소개

14) 일화(서당공과 난설헌) 소개

15) 허난설헌집 위작설 모음

16) 허난설헌작품 모음집

17) 허난설헌집 종합 소개

18) 연극 공연 관람기(안사연)

19) 고문헌(백옥루산량문) 경매 입수기

20) 허난설헌 창작소설 소개

21) 각종 문헌 내의 기록 내용

22) 허난설헌의 삶을 통한 여성들의 삶

 

본문

p11.png 4. 허난설헌 소개

6) 영정

가) 1차 제작 영정

ankim02-6-59c.jpg

<표준영정>(2002. 12. 14. 발용(군) 제공)

 

    (1)제작 및 지정년도 : 1997.    

    (2)제작 작가 : 손연칠(동국대 교수)

    (3)크기 : 110 * 150 (가로*세로 cm 표시).

    (4)소장처 : 국립현대미술관

 

나) 2차 제작 영정

ankim02-6-59o.jpg

(1) 제작 봉안일 : 2009. 9. 19

(2) 봉안 장소

      (가) 강원도 강릉 초당 생가(복사본)  (나)현대미술관 소장(원본)

(3) 제작자 : 손연칠 교수(동국대 미술과 교수)

(4) 제작과정 : 1차 영정을 그린 바 있던 손연칠 교수가 다시 그린 것으로 허엽의 직계 후손 여성 3명을 모델로 했으며, 지난 1986년 난설헌의 남편인 안동김씨 김성립의 아버지 김첨과 여동생 대경의 묘를 이장하던 중 발견된 의복을 기초로 하는 등 고증작업을 거쳤다.

(5) 봉안식장 행사 : 2009년 9월 19∼20일 영정 봉안식은 강릉 초당동 허균·허난설헌 유적공원에서 열리는 ‘2009 교산 허균 문화제’는 솔밭음악회, 추모제례, 허균문학작가상 및 허균·난설헌 학술상 시상, 학술발료자료 출판기념회, 들차회, 시낭송회, 홍길동 자료전시회 등 다채로운 문화행사로 펼쳐졌다.

 

2009년 9월 18일 <강원일보> 기사 내용

허난설헌 새 영정 선보인다  

선양사업회, 내일 생가터서 봉안식… 원본 현대미술관 소장

 

 2009년 09월 18일 (금)  박경란   

강릉이 낳은 조선시대 천재여류 시인 난설헌 허초희(1563∼1589)의 새 영정(사진)이 고향 초당마을 생가터에 봉안된다.

(사)허균·허난설헌 선양사업회는 ‘2009 교산허균문화제’가 열리는 19일 오후 5시 초당동 허균·허난설헌 유적공원내 생가터에서 ‘허난설헌 영정봉안식’을 갖는다.

 

새롭게 선보이는 허난설헌의 영정은 기존의 표준영정을 그린 동국대 손연칠 교수가 다시 그린 것으로 허엽의 직계 후손 여성 3명을 모델로 했으며, 지난 1986년 난설헌의 남편인 안동김씨 김성립의 아버지 김첨과 여동생 대경의 묘를 이장하던 중 발견된 의복을 기초로 하는 등 고증작업을 거쳤다.

초당 유적공원에 봉안되는 영정은 복사본이며, 원작은 문화재청의 표준영정 교체 심의 등을 거쳐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될 예정이다.

한편 19∼20일 강릉 초당동 허균·허난설헌 유적공원에서 열리는 ‘2009 교산 허균 문화제’는 솔밭음악회, 추모제례, 허균문학작가상 및 허균·난설헌 학술상 시상, 학술발료자료 출판기념회, 들차회, 시낭송회, 홍길동 자료전시회 등 다채로운 문화행사로 펼쳐진다.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