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득신(金得臣)1604(선조37)∼1684(숙종10)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백곡공 및 연보 소개

 2.주요 사진 자료 소개

 3.친필 서찰 소개

 4.김가행 교지

 5.제1회 학술발표회

 6.백곡집 판목

 7.묘소 소재지(율리)

 8.사마소 소개

 9.취묵당 소개

10.묘비문 소개

11.교지 촬영 소개

12.각종 설화 소개

13.각종 문헌 자료 소개

14.취묵당 탐방

15.식파정 탐방

16.진천군지의 백곡시

17.식파정의 백곡시

18.박구당 만시

19.독서광 백곡

20.의유당 관북유람일기의 백곡

21.400주년 탄신 기념

22.백곡집과 연보

23.친필서찰 경매품

24.백곡 2녀 묘소 탐방기

25.순암문집에서

26.백곡집 목차

27.독수기

28.논문-백곡 유묵(遺墨)과 간찰(簡札)두 편

29.제6회백곡 김득신 기념 백일장

30.백곡시 가곡

31.박사논문-백곡김득신연구

 

 

본문

p11.png 1. 안풍군(安豊君, 柏谷公) 소개 및 연보 소개

자는 자공(子公), 호는 백곡(栢谷)·귀석산인(龜石山人), 제학공(휘 익달) 후손으로 충무공 김시민(金時敏)의 손자, 경상감사(慶尙監司) 안흥군(安興君) 김치(金緻)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사천(泗川) 목씨(睦氏)로 목첨(睦詹)의 딸이고, 아내는 경주 김씨이다.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시인이다.

 

1642년(인조20. 39세)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당시 한문 사대가인 이식(李植)으로부터 “그대의 시문이 당금 제일”이라는 평을 들음으로써 이름이 세상에 알려졌다.

1662년(현종3. 59세)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고 성균관학(成均館學), 장악원 정·지제교(掌樂院 正·知製敎,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성균관전적(行成均館典籍) 겸 중학교수(中學敎授),

 

1663년(현종4) 60세) 병조, 공조, 예조의 좌랑(佐郞)을 거쳐 이후 성균관(成均館) 직강(直講), 제용감정(濟用監正). 사복시정(司僕寺正), 풍기군수(豊基郡守),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 어모장군 행용양위부호군(禦侮將軍 行龍驤衛副護軍), 사도시정(司導寺正), 사도시정 겸 증광시 시험관, 승문원 판교(承文院 判校), 강원도사(江原都事), 홍천군수(洪川군수), 정선군수(旌善군수) 등을 지냈다.

 

1684년(숙종10. 81세)에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라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가 되었으며 안풍군(安豊君)에 봉군됨. 이 해 가을에 이질을 앓다가 8월 29일 생을 마쳤다.  

묘소는 충북 괴산군 증평읍 율리에 있다. 당대 유명한 시인으로 이름이 나 있으며 문집 <柏谷文集>이 있고 평론집인 <終南粹言>, <終南叢志> 등이 있다.

 

백곡은 백이전(伯夷傳)을 1억1만3천번을 읽고 그의 서재 이름을 '억만재(億萬齋)'라 했으며 그의 뛰어난 문장이 세상에 알려지니 효종이 그의 '용호한강시(龍湖漢江詩)'를 보고 감탄했다고 한다. 특히 詩 오언 ·칠언절구를 잘 지었다. 그의 작품으로는 백곡집 외에 시화집인 '종남총지(終南叢志)'가 있으며 그 밖의 작품으로 술과 부채를 의인화한 가전소설 〈환백장군전(歡伯將軍傳)〉과 〈청풍선생전(淸風先生傳)〉을 남기기도 했다. 이것은 '국순전' '국선생전' 등 고려시대에만 한정된 줄 알았던 가전체(假傳體)계통의 소설이 조선조에도 지속됐다는 사실을 입증해 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백곡은 노둔한 천품에도 불구하고 후천적인 노력을 통하여 시(詩)로 일가를 이룬 '고음과 다독' 으로 유명한 인물이다. 그는 시를 통해 경세치평(經世治平)이라는 유가적(儒家的) 이상을 당쟁의 현실 속에서 이뤄내지 못한 번뇌를 토로하기도 했으며 진보적인 시(詩)의식을 가지고 중세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변천기에서 문예담당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다했다. 실제로 그는 왕성한 창작활동으로 주옥같은 시를 남겼는가 하면 한시 비평의 제 기준을 마련한 비평가로서 한국한문학사에 확고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연보>

(교지, 묘비, 기타 자료 종합. 2006. 6. 22. 항용(제) 제공)

1. 1604(선조37). 1세 : 출생, 부-경상감사(慶尙監司) 안흥군(安興君) 치(緻), 모-사천(泗川) 목씨(睦氏)로 목첨(睦詹)의 따님

 

2. 1642년(인조20) 39세 :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진사. 참봉역임.

 

3. 1662년(현종3) 59세 :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7월 성균관학(成均館學), 장악원 정·지제교(掌樂院 正·知製敎). 10월 15일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성균관전적(行成均館典籍), 11월 2일 겸 중학교수(中學敎授),

 

4. 1663년(현종4) 60세 10. 29.: 통훈대부 병조좌랑(兵曹佐郞),공조, 예조 좌랑,

 

5. 1664년(현종5) 61세. 11. 29. : 성균관(成均館) 직강(直講)

 

6. 1668년(현종9) 65세. 12. 4.  : 제용감정(濟用監正). 사복시정(사복시정)

                                     12. 27-통훈대부 행 풍기군수(豊基郡守).

 

7. 1669년(현종10) 66세. 3. 22. : 통훈대부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 4. 8.-어모장군 행용양위부호군(禦侮將軍 行龍驤衛副護軍)

 

8. 1676년(숙종2) 73세. 10. 4.: 통훈대부 사도시정(司導寺正)

 

9. 1677년(숙종3) 74세 : 사도시정 겸 증광시 시험관, 승문원 판교(承文院 判校), 강원도사(江原都事), 홍천군수(洪川군수), 정선군수(旌善군수)

 

10. 1678년(숙종4) 75세 : 통정대부

 

11. 1684년(숙종10) 81세. 1. 19. : 가선대부(嘉善大夫),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안풍군(安豊君)에 봉군. 가을에 이질을 앓음. 8월 29일 몰.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