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득신(金得臣)1604(선조37)∼1684(숙종10)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백곡공 및 연보 소개

 2.주요 사진 자료 소개

 3.친필 서찰 소개

 4.김가행 교지

 5.제1회 학술발표회

 6.백곡집 판목

 7.묘소 소재지(율리)

 8.사마소 소개

 9.취묵당 소개

10.묘비문 소개

11.교지 촬영 소개

12.각종 설화 소개

13.각종 문헌 자료 소개

14.취묵당 탐방

15.식파정 탐방

16.진천군지의 백곡시

17.식파정의 백곡시

18.박구당 만시

19.독서광 백곡

20.의유당 관북유람일기의 백곡

21.400주년 탄신 기념

22.백곡집과 연보

23.친필서찰 경매품

24.백곡 2녀 묘소 탐방기

25.순암문집에서

26.백곡집 목차

27.독수기

28.논문-백곡 유묵(遺墨)과 간찰(簡札)두 편

29.제6회백곡 김득신 기념 백일장

30.백곡시 가곡

31.박사논문-백곡김득신연구

 

 

본문

p11.png 24. 백곡 선조님 2녀의 묘소 탐방기

            (2005. 5. 12. 항용(제) 제공)

<어버이날에 생긴 일>

 

지난 일요일(5월 8일)은 어버이날이다. 마침 어머님께서 서울에 올라와 계시어 가까이에서 모실 수 있다는 게 더 없이 행복했다. 아침 일찍 딸아이와 청계산 등산을 아침 식사를 겸하여 마치고, 정오 경에는 서울 구의동의 누님댁에 가서 어머님과 누님을 모시고 왔다. 아내와 딸아이도 합승하여 집(개포동) 뒤 수서동에 있는 한 <샤브샤브> 음식점엘 갔다. 잘 가꾼 정원과 깨끗하게 정돈된 내부 시설이다. 오랜만에 흡족하게 음식을 잡수시는 어머님 모습에 그저 그동안의 불효가 죄송스럽기만 하다.

 

식사 후에는 음식점 뒤로 이어지는 수서지구 단독주택 집들이 즐비한 곳에 마음을 빼앗겨 잠시 소화도 시킬 겸 걷기로 했다. 한참을 걸어 마을 뒤 대모산 등산로로 이어지는 곳에 이르니 적당한 공터에 주말농장이 그림처럼 만들어져 있다. 여러분들이 물을 주고 모종을 하고 있다. 모두 행복한 얼굴들이다. 탐스러운 상추와 쑥갓에 어머님은 샘을 내신다. 그리고는 이내 괴산집 채마밭에 화초처럼 가꿔 놓으신 야채이야기를 끝도 없이 하신다.

 

그런데 이곳에 오면 늘 가고 싶었던 곳이 있었다. 세종대왕의 5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의 묘역이다. 날씨도 좋고 바람도 없어 어머님이 산책하기엔 너무도 좋은 날이다. 길을 물어 아주 가까운 거리에 있는 삼성의료원 뒤쪽 야산 아래로 갔다. 길 우측으로 필경재(必敬齋)란 현액을 단 고색창연한 대문과 그 안으로 오래된 고택과 귀한 나무들이 잘 가꾸어진 집이 나타난다. 입구를 지키는 이가 있어 무엇하는 곳이냐고 물으니 고급 한정식집이란다. 낮에는 최하 1인당 3만5천원, 야간에는 7만원에서 15만원까지 하는 음식집이란다. 그리고 이곳이 바로 광평대군의 종손가라고 한다.

 

다시 길을 따라 우측으로 마을을 안고 도니 광평대군 묘역임을 알리는 커다란 안내판과 <궁촌별묘>(宮村別廟)란 현판이 붙은 정문, 그 옆으로 <영릉봉향회>(英陵奉香會)라고 쓴 쪽문이 나타난다. 그런데 모든 문들이 닫혀 있다. 아마도 일반인들의 출입을 금하는 것 같다. 살짝 문을 열고 들어가 경비원에게 공손히 관람을 요청하니 다행히 허락을 하신다. 그리고는 잠시 묘역을 설명해 주신다. 약 11만 3천평방미터의 임야에 광평대군의 후손들 700여 기의 묘소가 자리 잡고 있다고 한다.

 

 ankim02-6-72z45.jpg

 

ankim02-6-72z46.jpg

 

ankim02-6-72z47.jpg

 

ankim02-6-72z48.jpg

<입구의 안내판>

 

 ankim02-6-72z49.jpg

 

 ankim02-6-72z50.jpg

  <종가집-광평대군 아래 대의 종가. 광평대군 종가는 우측 연립주택 건너편에 있음>

 

 ankim02-6-72z51.jpg

<입구 바로 안쪽의 회의실>

 

 ankim02-6-72z52.jpg

<광평대군 묘소 가는 길>

 

 ankim02-6-72z53.jpg

<묘역 우측의 미확인 지역>

 

 ankim02-6-72z54.jpg

<입구 안쪽의 연못>

 

 ankim02-6-72z55.jpg

<광평대군 묘소에서 본 앞쪽 전경>

 

 ankim02-6-72z56.jpg

 

 ankim02-6-72z57.jpg

<광평대군 묘소>

 

엄청난 규모에 놀랐다. 광평대군의 묘로 이어지는 곳은 마치 늘 보던 왕릉과 같다. 해설가는 이어서 태종 이방원에 의해 살해당한 무안대군 이방번의 혼백을 모시는 봉사손으로 세종대왕은 자신의 5째 아들인 광평대군을 정했다고 한다. 그리고 광평대군을 비롯한 그 후손들은 계속하여 지금까지 무안대군을 받들어 왔으며 그 묘소도 이곳에 함께 봉안하고 있다고 설명해 주신다. 놀라운 말씀이었다. 이곳으로부터 직선거리로 불과 1000m내인 개포동에 20년 동안이나 살아오면서 이곳을 모르고 지내온 내 자신이 부끄러웠다.

 

잘 다듬어진 묘역 이곳저곳을 산보하듯 어머님을 모시고 다닌다. 그러다가 계단이라도 나오면 어머님은 그냥 앉으시며 너희들이나 다녀오라고 하신다. 가슴이 서늘해진다. 이리저리 다니다가 무안대군 묘역에 이르니 왕자들의 왕권쟁탈 싸움에 무참히 살해당한 어린 왕자의 묘소가 한없이 가련하다.

 

 ankim02-6-72z58.jpg

 

 ankim02-6-72z59.jpg

 

 ankim02-6-72z60.jpg

<무안대군 묘소와 비석>

 

배례를 하고 나서 조금 아래로 내려오며 여러 묘역의 비석들을 습관처럼 살핀다. 그러다가 나는 내 눈을 의심하는 놀라운 발견을 하였다. <夫人 安豊君 得臣 女-->라는 글이다. 전면의 묘비에는 <贈領議政 行錦山郡守 李公重煇之墓>라 써있고 묘비 좌측면에는 <元妣 贈貞敬夫人 安東金氏>라 써있으며, 묘비 우측에는 <繼妣 贈貞敬夫人 安東金氏>라 적혀 있다. 즉 좌우에 부인 두 분의 봉분이 있고 그 뒤에 이중휘의 묘소가 있는 3봉의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다. 다시 묘비 뒷면을 천천히 읽어 내려간다. <--前夫人 金氏 同知光燦女 先二十三年卒, 後夫人 金氏 安豊君得臣女 先一年卒-->. 즉 첫부인 김씨는 동지 광찬의 따님으로 먼저 23년전에 졸하였고 후 부인은 안풍군 득신의 따님으로 1년 먼저 졸하였다는 기록이다. 백곡할아버지의 따님 묘소가 바로 이곳에 있다니--. 한동안 놀란 눈과 입을 다물지 못했다. 우선 주변의 여러분께 이 사실을 알리고 배례를 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두 분 부인이 모두 안동김씨란다. 전비 안동김씨는 <金光燦>의 따님이다. 광찬은 누구인가? 궁금하다, 또 하나의 숙제이다.

 

 ankim02-6-72z61.jpg

 

ankim02-6-72z62.jpg

  <이중휘공의 묘소>

 

 ankim02-6-72z63.jpg   ankim02-6-72z64.jpg

 

 ankim02-6-72z65.jpg

<묘비>

 

 ankim02-6-72z66.jpg

  <전부인 김씨 동지광찬여> 기록 내용

 

 ankim02-6-72z67.jpg

 <후부인 김씨 안풍군득신녀> 기록부분

 

집에 돌아와 곧 족보를 펼친다. 백곡 선조님의 따님 두 분 중 둘째 따님이 계비의 주인공임을 확인하고서야 우선 한 문제에 대한 의문이 풀렸다. 당시 우리 가문의 위상을 확인하는 중요한 대목이 아니겠는가?. 그리고는 이렇게 가까운 곳에 중요한 역사 증거물들이 있는데도 무심해 왔던 나 자신을 탓했다.

 

오늘은 어버이날, 어머님과 함께 하는 즐거운 날이었다. 그 위에 11대조의 묘소에 배례하는 기쁨도 있었다. 즐거움이란 늘 이렇게 아주 가깝게 있음을 확인하면서 5월의 맑고 푸른 하늘을 더 높이 올려다 보았다.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