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득신(金得臣)1604(선조37)∼1684(숙종10)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백곡공 및 연보 소개

 2.주요 사진 자료 소개

 3.친필 서찰 소개

 4.김가행 교지

 5.제1회 학술발표회

 6.백곡집 판목

 7.묘소 소재지(율리)

 8.사마소 소개

 9.취묵당 소개

10.묘비문 소개

11.교지 촬영 소개

12.각종 설화 소개

13.각종 문헌 자료 소개

14.취묵당 탐방

15.식파정 탐방

16.진천군지의 백곡시

17.식파정의 백곡시

18.박구당 만시

19.독서광 백곡

20.의유당 관북유람일기의 백곡

21.400주년 탄신 기념

22.백곡집과 연보

23.친필서찰 경매품

24.백곡 2녀 묘소 탐방기

25.순암문집에서

26.백곡집 목차

27.독수기

28.논문-백곡 유묵(遺墨)과 간찰(簡札)두 편

29.제6회백곡 김득신 기념 백일장

30.백곡시 가곡

31.박사논문-백곡김득신연구

 

 

본문

p11.png 8. 司馬所(사마소) 소개

 

          (2003. 5. 8. 항용 제공)

1) 탐방 일시 : 2003. 5. 8

2) 위치 : 충북 괴산군 청안면 읍내리(청안 향교 옆). 충청북도 기념물 49호

3) 탐방자 : 金奎文(제), 金恒鏞(제)

4) 내용(사마소 앞 안내판) : 사마소는 조선 중기 이후 지방의 고을에서 생원과 진사들이 모여 친목과 학문, 정치 및 지방 행정의 자문 등을 논하던 곳이다. 그러나 점차 압력단체로 발전하여 폐단이 크므로 선조 36년(1603)에 없앴으나, 지방에 따라 그 유습이 지속되기도 하였다.

 

청안 사마소는 숙종 29년(1703)에 생원과 진사 50여 명이 사마방에 급제하여 처음 지었다고 한다. 또한 생원 진사 및 문과의 급제자 등 115명의 이름을 내세워 후배들이 봄 가을에 제향을 올리고 있는 특징이 있다. 이것으로 보아 사마재(司馬齋)라고 할 성격을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1910년 이후 일제의 지배하에서는 철폐되었다가 1950년에 청안의 유림들에 의해 다시 설치되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목조 기와집이다.

 

*  이곳에는 백곡 김득신(제학공파) 선조님이 중앙에 모셔져 있고 여럿의 위패 속에 6위의 안렴사공파 선조님들이 모셔져 있다. --생원 金( )舟(안),  생원 金命龍(안), 생원 金龜錫(안), 진사 金興輔(안), 진사 金基弼(안), 진사 金好哲(안)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