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득신(金得臣)1604(선조37)∼1684(숙종10)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백곡공 및 연보 소개

 2.주요 사진 자료 소개

 3.친필 서찰 소개

 4.김가행 교지

 5.제1회 학술발표회

 6.백곡집 판목

 7.묘소 소재지(율리)

 8.사마소 소개

 9.취묵당 소개

10.묘비문 소개

11.교지 촬영 소개

12.각종 설화 소개

13.각종 문헌 자료 소개

14.취묵당 탐방

15.식파정 탐방

16.진천군지의 백곡시

17.식파정의 백곡시

18.박구당 만시

19.독서광 백곡

20.의유당 관북유람일기의 백곡

21.400주년 탄신 기념

22.백곡집과 연보

23.친필서찰 경매품

24.백곡 2녀 묘소 탐방기

25.순암문집에서

26.백곡집 목차

27.독수기

28.논문-백곡 유묵(遺墨)과 간찰(簡札)두 편

29.제6회백곡 김득신 기념 백일장

30.백곡시 가곡

31.박사논문-백곡김득신연구

 

 

본문

p11.png 21. 백곡 김득신 탄생 400주년 기념 학술발표회---김득신의 생애와 문학

               (2004. 11.    항용(제) 제공)

1) 행사 개요

가. 일시 : 2004. 11. 29(월). 15:00시

나. 장소 : 충북 증평군청 2층 대회의실

다. 주최 : 김득신기념사업회, 충북대학교중원문화연구소

라. 후원 : 증평군, 안동김씨종친회

 

2) 행사 일정     

사회 : 유병택(기념사업회 연구위원. 증평향토문화연구소장)

가. 제1부 - 기념식

* 대회사 : 최성균(기념사업회장,증평문화원장)

* 개회사 : 이석린(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장)

* 축사    : 유명호(증평군수)

* 인사말 : 김학응(괴산안동김씨 종친회장)

 

나. 제2부-학술발표

* 발표 1 : 김득신의 생애와 문학적 배경 -- 임동철(충북대학교 교수. 기념사업회연구위원)

* 발표 2 : 김득신의 한시에 나타난 귀거래 의식과 취묵당-성범중(울산대학교 교수)

* 발표 3 : 백곡 김득신의 산문문학에 대해서(가전문학을 중심으로)-김창룡(한성대학교 교수)

* 발표 4 : 김득신의 <終南叢志>에 나타난 詩論-신범식(충북대학교 강사. 기념사업회연구위원)

 

다. 제3부-종합토론

* 좌장 : 유병택(기념사업회연구위원. 증평향토문화연구회장)

* 지정토론자 : 김성기(충북대학교 교수. 한국한시학회장)

* 최응권(중국 연변대학교 교수)

*  김길자(한국예총증평지부장)

 

3)행사 참석 후기 (2004. 11. 30. 후기-상석(제), 사진-항용(제) 제공)

가. 일시 : 2004. 11. 29. 오후 3시--7시

나. 장소 : 충북 증평군 증평군청 2층 대 회의실

다. 참석자  : 약 150여 명

라. 주최 : 백곡 김득신 기념사업회

마. 내용 : 학술발표회

바. 종친 참석자 : 약 30명.  확인자(20명) 명단

1) 천안 병천 종친 : 상옥(제), 남응(제), 창규(제),

2) 서울종친 : 상석(제), 항용(제)

3) 괴산종친 : 학응(제), 태옥(제), 태식(제), 복응(제), 태호(제)

4) 증평종친 : 재성(안), 재룡(안), 길자(제), 진응(제), 장응(제), 용두(제), 규복(제)

5) 용인종친 : 익원공파 參議公종친회의 부회장 재영,총무 준회,감사 좌회

 

김득신 탄생 400주년기념 학술발표회

오늘로 꼭 탄생 400주년이 되는 날.김득신기념사업회와 충북大중원문화연구소 주최,증평군과 안김 괴산,증평종친회가 후원하는 백곡 김득신의 학술발표회가 11월 29일(月) 증평군청에서 사회자와 발표및 토론자 8명외 132명의 참석자와 군청,지역문화원관계자 수명이 함께하여 2층 대회의실이 비좁을 지경으로 꽉 들어차고,조용한 분위기에서 열렸다. 마침 평일이라 혼자서 다녀오려 마음을 먹고 있던 차에 안사연의 항용님으로 부터 동행제의가 들어온다. 합석하여 내달으니 금새 증평IC가 나온다.올여름 안사연여름캠프 때의 합류지점이어서인지 IC입구를 나오니 낯설지가 않고 왠지 정겹기만하다.

 

지금 우리는 400년 전 왜란과 호란을 겪으며 피폐해진 민심과 당쟁으로 얼룩진 정치에서 벗어나 귀거래의 의지를 표명하며, 심곡과 취묵당이 있는 괴강 언저리를 오가며 17C 조선조 시문학의 한 장르를 개척하며 자연을 노래했던 시인을 만나러 가고 있다. 가계--영상공(錫)-구암공(忠甲)-충무공(時敏)-남봉공(緻)-백곡공(得臣)

 

행사가 시작될 무렵, 증평군수,의원,형석고 교장,증평공고교장,증평초교 교장을 비롯한 경향각지의 내외 귀빈과 더불어 특히 여성단체회원,시인의 문학작품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대학,院생 그리고 안김 제학공파 병천에서 상옥,남응,창규님.괴산에서 학응,복응,태옥,태식,태호님.증평종친회장인 안렴사공파  재성님.증평 현지의 진응,장응,용두님.군의원 재룡님.이른아침 부터 관심을 갖고 찾아오신 익원공파 參議公종친회의 부회장 재영,총무 준회,감사 좌회님,끝으로 안사연에서는 상석,항용님이 자리를 채웠다. 학술대회는 유병택 증평향토문화연구회장의 사회로 진행되어 최성균 기념사업회장의 대회사를 시작으로 축사에서 유명호 군수는 2002년 백곡집의 번역,2004년 지역향토인물선정,시집의 자료전시관전시등의 개략적인 상황과 향후 백곡선조님의 문학세계의 재조명,이해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것을 약속하였다.

 

발표자로 나선 임동철 충북대교수는 생애와 배경.성범중 울산대교수는 시인의 한시에 나타난 귀거래 의식과 취묵당에 대해,김창룡 한성대교수는 가전문학을 중심으로 발표하였고 <종남총지>에 대한 시론은 충북대 강사이며 기념사업회 연구위원인 신범식님이 다양한 자료를 예로 들며 발표하였다.

 

제 3 부 토론에서는 한국한시학회장이신 김성기교수가 조선조 17세기의 황량했던 문학사의 공백기에 주도적인 활동을 보이신 시인에 대한 질의를 시작으로 연변대에서 충북대에 교환교수로 있는 최웅권교수가 한중간의 시류와 함께 특히 백곡시인의 독창적인 시감과 뛰어난 창의력등을 피력하였고, 예총지부장인 김길자(안김,증평생) 토론자께서 백곡시인의 출생지와 시비(詩碑)의 건립등에 대한 질의가 있었다.

 

방청객의 질의가 함께 이루어지는 가운데 병천의 남응님이 천안삼거리에서 제막예정이었던 2004년의 충무공 김시민장군 시비건립이 내년으로 계획이 변경 되었다는 소식을 전해 주었고, 수원에서 많은 준비를 하고 오신 듯한 좌회님(익)의 의견과 질의가 있었고, 끝으로 항용님(제)은 백곡선조님의 출생, 가계표, 취묵당,억만재등에 대한 문헌 및 구비전승자료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등 다양하고 진지한 질의와 응답이 있었는데 참으로 경건하기까지한 충청도 양반님네들의 장장 네시간에 걸친 학술발표회가 막을 내렸다. 몇몇의 진행요원과 함께 주변에 있는 식당에서 저녁을 들면서 못다한 이야기와 궁금증을 해소하고 향후의 과제를 모색하는 한편, 조심스럽게 찾은 증평의 밤을 가르며 분주했던 서울로 말머리를 돌린다.

 

상경길에는 문온공(휘 九容)의 시와 문학에 애정어린 집필(<척약재 김구용의 문학세계>)을 하신 성범중교수와 합승하여 오면서 훗날 다시 만날 것을 약속하며 사당동에서 모두가 아쉬움을 뒤로하고 회색도시의 삼경을 맞이한다. <백이전>을 억만번 읽었다는 "독수기"로 더욱 유명한 백곡 김득신(1604~1684)의 17C전반에 걸친 시문학의 이해와 재조명이 많은 이들로 부터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로 이어지길 간절히 바라며 이만 줄인다.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