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득신(金得臣)1604(선조37)∼1684(숙종10)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백곡공 및 연보 소개

 2.주요 사진 자료 소개

 3.친필 서찰 소개

 4.김가행 교지

 5.제1회 학술발표회

 6.백곡집 판목

 7.묘소 소재지(율리)

 8.사마소 소개

 9.취묵당 소개

10.묘비문 소개

11.교지 촬영 소개

12.각종 설화 소개

13.각종 문헌 자료 소개

14.취묵당 탐방

15.식파정 탐방

16.진천군지의 백곡시

17.식파정의 백곡시

18.박구당 만시

19.독서광 백곡

20.의유당 관북유람일기의 백곡

21.400주년 탄신 기념

22.백곡집과 연보

23.친필서찰 경매품

24.백곡 2녀 묘소 탐방기

25.순암문집에서

26.백곡집 목차

27.독수기

28.논문-백곡 유묵(遺墨)과 간찰(簡札)두 편

29.제6회백곡 김득신 기념 백일장

30.백곡시 가곡

31.박사논문-백곡김득신연구

 

 

본문

p11.png 16. <진천군지>에 수록된 백곡 시 소개 (2004. 4. 3.)

시군지순례8(진천군)

 

1) 진천군지 기록 내용 (2002. 5. 26. 윤만(문) 제공 내용)

    출전 : 진천군지(진천군지편찬위원회, 1994). pp 1321. 4. 樓亭(루정) 息波亭(식파정).

 

-- 소재지 : 진천읍 건송리 775            --크기 : 전면 2간, 측면 2간 팔작집.

-- 시대 : 조선 효종 4년(1653) 창건, 고종 30년(1893) 중건.

-- 『息波亭詩文集(식파정시문집)』에 의하면 이 정자는 효종 4년(1653)에 陽城人(양성인) 李得坤(이득곤)이 창건하고 그 호를 따라 식파정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栢谷(백곡) 金得臣이(김득신)이「식파정기」를 찬하였다. 고종 30년(1893) 그 후손들에 의해 중건되고 韶山學人(소산학인) 閔瑾植이 「식파정중건기」를 쓰고 1954년 다시 중수하였다. 최명길, 김득신, 송시열, 채지홍 등의 식파정 題詠(제영)이전한다.

 

-- 이 정자는 원래 두건리 앞 냇가에 세워졌는데 지금은 진천의 백곡저수지 산정에 자리잡고 있다. 건물구조는 목조와가로 전면 2간, 측면 2간, 팔작집이며 「息波亭」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 참고사항 : 식파정은 그 경관이 뛰어나 先賢(선현)들이 많은 시를 남겼다. 여기에는 이득곤, 최명길, 채익선, 김득신, 송시열, 채지홍 등이 쓴 제영들을 소개한다.  이 시들은 『常山誌(상산지)』『鎭川郡誌(진천군지)』1974, 『내고장전통가꾸기』(진천군,1982)에 실려 있다.

 

【息波亭(식파정)】백곡 김득신(pp1323 및 pp1368)

  * 이 시는 군지에는 있으나 식파정에는 답사 결과(2004. 3. 21.) 없었음

 

白雲深鎖處(백운심쇄처) : 흰 구름만이 깊이 스며 있는 이 고장에

高築逸民家(고축일민가) : 높다랗고 편안하게 지낼 집 마련했구려

赤梁今秋葉(적량금추엽) : 금년 가을에 나뭇잎은 빨갛게 물들었고

薰開舊菊花(훈개구국화) : 국화꽃은 옛 향기 그대로 풍기는구나

鏡中山影倒(경중산영도) : 거울 속엔 산 그림자가 거꾸로 섰고

 外柳絲斜(첨외유사사) : 처마 끝엔 수양버들가지 드리웠구나

一曲歌樽酒(일곡가준주) : 한 곡조 노래 부르고 또 술 마시니

胸襟動太和(흉금동태화) : 이내 심정 평화 속에서 오락가락하누나

 

2) 수정된 시

(2004. 4. 1. 항용 제공)

* 재 해석자 : 김익수(제)

 

息波亭

 

白雲深鎖處        흰 구름 깊이 잠기는 곳

高築逸民家        높이 지은 은자(隱者)의 집

赤梁今秋葉        양원(梁園)엔 한창 가을 잎 붉게 물드는데

薰開舊菊花        국화는 예대로 피어 향기 뿜네

鏡中山影倒        거울 같은 물위엔 산 그림자 거꾸로 섰고

( )外柳絲斜        ( )밖에 버들 실가지 드리웠네

一曲歌樽酒        한 곡조 노래에 술잔 곁들이니

胸襟動太和        가슴속엔 태화(太和)가 이네.

 

주: 일민(逸民)... 세상을 피해 깊은 산 속에 사는 은자.

     양원(梁園)... 중국의 문인 사마상여등이 모여 글을 짓던 동산.

                         梁은 동산의 뜻으로도 쓰인다.

     태화(太和)... 樂曲의 이름. 太平함.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