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시양(金時讓)1581(선조14)∼1643(인조21)--(제)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충익공소개 및 연보

2. 각종 사진

3. 친필 서찰 소개

4. 각종 도서관소장 목록

5. 신도비

6. 묘비문

7. 주요자료 - 1) 하담김시양문집

2) 유배지 영해탐방기

3) 묘비 건립 고유제

4) 신도비 문화재지정

5) 신도비 탁본과 탐방기

8. 각종 문헌 기록 종합 - 1) 조선왕조실록

2) 성소부부고

 3) 한국문헌설화

 4) 기문총화

 5) 연려실기술

 6) 대동기문

 7) 해사록에서

 8) 조선조 청백리

 9) 국가종합서비스

10) 계곡선생집

11) 지봉선생집

12) 택당집

13) 약봉유고

14) 만운집

15) 다시 쓰는 택리지

16) 고산유고에서

17) 성옹유고에서

18) 충익공행장

 

본문

p11.png 7. 주요자료

4) 신도비 문화재 등록 일지 (2006. 6. 28--2008. 1. 16. 항용(제) 제공)

 

가) 2006. 6. 28. - 각 관계기관(문화재청, 충북 도청, 괴산군청)에 공문 송부

 

(1) 김항용, 충북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소재 하담 김시양 신도비 외 3개소의 문중 역사 유적물을 문화재청, 충북도청, 괴산군청에 문화재 등록 요청 공문과 대상물 소개자료를 보냄

(2) 대종회 명의로 발송

(3) 제출 공문 내용 (문화재청)

 

  

 

<세부 설명서>

 

1. 김시양(金時讓) 신도비(神道碑)  소개

1)건립연대 : 1670(현종 11). 8.

2)장 소 : 충북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3)찬자 : 조경(趙絅. 漢陽人. 이조판서, 판중추부사 역임. 청백리)

4)서자 : 이정영(李正英. 全州人. 이조판서, 판의금부사 역임)

5)규모 : 갓머리--162(가로)×96(세로)×70(높이)

           비신----91(가로)×231(높이)×35(폭)

           좌대----165(가로)×97(세로)×42(높이)

6)상태  

가)평좌대에 갓머리. 비신은 화강암 재질. 마멸되거나 흠집 난 곳이 거의 없으며 330여 년이 지난 지금도 글씨가 선명하며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함.

나)원 위치는 현 위치에서 동남쪽으로 약 500m 앞의 취묵당 옆 도로에 세워져 있던 것인데 도로의 폐쇄로 1976년 이곳으로 옮겨짐.  

다)1990년, 문중회에서 신도비 주위에 경계 난간석을 설치하고, 2006. 4. 16. 문중회(안동김씨 제학공파 비안공 문중회)에서 해설판을 제작, 세움.

7)현지 관리 후손 : 김태섭(안동김씨 제학공파 비안공문중회 고문-충북 괴산군 괴산읍 동부리 402-1번지 거주. 043)832-2855)   

8)신설 해설판 내용  

이 신도비는 조선조 인조때의 명신인 하담 김시양(荷潭 金時讓)선생의 신도비이다. 1670년(현종11) 8월에 세운 이 비의 비문은 당대의 명문장가인 조경(趙絅. 漢陽人. 이조판서, 판중추부사 역임. 청백리)이 충익공의 아들인 김휘(金徽. 현종때 이조판서 역임)의 요청으로 지었으며, 글씨는 당시 최고의 서예가인 이정영(李正英. 全州人. 이조판서, 판의금부사 역임)이 썼다.  

이 비는 최초 현 위치에서 동남쪽으로 약 500m 앞의 취묵당 옆 도로가에 세워져 있던 것인데 도로의 폐쇄로 1976년 이곳으로 옮겨졌다. 전형적인 조선조의 신도비 양식을 잘 갖추고 있는 이 비는 양질의 화강암과 웅장한 규모, 명문장과 명서체 등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특히 약 330여년이 지난 지금도 풍화 마멸된 곳이 전혀 없는 것으로 유명하다.  

 

2. 김시양(金時讓) 소개 1581(선조14)∼1643(인조21).  

조선의 文臣. 본관은 安東, 초명은 時言, 자는 子中, 호는 荷潭으로 증영의정 金錫의 孫이요, 증좌찬성 金仁甲의 子로 충북 괴산에서 출생하였다. 1605년(선조38) 정시문과에 급제하고 승문원 주서, 예조와 병조의 좌랑을 거쳐 1610년 서장관으로 명나라를 다녀왔다. 1611년(광해3) 전라도 도사때 지방향시에 임금을 비방하는 시제를 출제했다는 모함에 들어 12년간 종성과 영해에 유배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풀려나 예조와 병조의 정랑, 수찬·교리․경상도관찰사․평안도관찰사․팔도도원수·사도체찰사 등을 역임했으며, 강화유수․호조판서․병조판서를 거쳐 판중추부사 겸 판춘추관사에 이르렀다.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1643년(인조21) 충주시 금가면 하담리의 사제에서 별세하였고 묘는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개향산, 본 신도비 뒷산 우측에 있다. 회령의 鄕祠에 제향되었으며 1691년(숙종17) 忠翼의 시호를 받았다. 저서로 <忠翼公 荷潭先生 遺稿>(8책)가 있다.

 

3. 현실태 및 요청사항

ankim02-6-64z142.jpg

 

나) 2007. 6. 8.-재심의 공문 접수

(1)괴산군청에서 대종회로 공문 발송

(2)김시양 신도비 문화재 지정 심의결과 및 재심의 공문 발송

(3)공문 내용

(가) 김시양 신도비

(나)2007. 5. 23일 충북도청 문화재위원 심의 결과--관계위원 및 전문위원의 현지 조사 후 재심의키로 결의함.

(다)현지 조사시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 바람(조사자, 조사일정은 별도 통보 예정임)

 

(4) 발송자

(가)괴산군청 문화관광과 : 우)367-802. 충북 괴산군 괴산읍 서부리 125. 043)830-3466. 전송:043)830-3229

(나)학예연구사 : 김영근, 문화예술 담당:김태섭, 문화관광과장 : 김용배

 다)  2007. 9. 6.-문화재 지정 예고 공문 접수

    (1)괴산군청에서 대종회로 공문 발송

    (2)내용 : 하담 김시양 신도비를 <문화재 지정 예고>로 지정하였음

    (3)공문

ankim02-6-64z50.jpg

 라) 2007. 12. 12. -- 김항용, 충북 도청에 이의신청 공문 및 관련 자료 제작, 발송

    <공문내용>

 

 *첨부물 (충청북도 지방문화재 지정 신도비 조사서 및 사진 자료)제작을 위해 규동님(청주 거주, 제학공파 비안공문중회 부회장)은 2007년 12월 7일-8일 2일간 충북 도내 신도비(14개) 전체를 사진 촬영. 항용에게 송부함.

 

  마) 2008. 1. 4.-- 충북도청으로부터 문화재 지정 공문 대종회에 답지. 충청북도 문화재 자료 제 62호

ankim02-6-64z51.jpg

    

ankim02-6-64z52.jpg

 

ankim02-6-64z53.jpg

 

ankim02-6-64z54.jpg

 

바) 2008. 1. 14. -- 문화재 지정 경축 현수막 게시

청주의 규동님(제학공파 비안공 문중회 부회장)께서 괴산의 현수막 제작소(제학공파 참봉공(휘 友甲) 13대손 선응님)에 경축 현수막 제작 위탁. 1월 14일 제작 게시함.--능촌리 입구, 능촌리 내 신도비 앞.

ankim02-6-64z55.jpg

 

(1)능촌리 입구 도로상에 게시  

ankim02-6-64z56.jpg

 

(2) 능촌리 신도비 옆에 게시

ankim02-6-64z57.jpg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