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시양(金時讓)1581(선조14)∼1643(인조21)--(제)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충익공소개 및 연보

2. 각종 사진

3. 친필 서찰 소개

4. 각종 도서관소장 목록

5. 신도비

6. 묘비문

7. 주요자료 - 1) 하담김시양문집

2) 유배지 영해탐방기

3) 묘비 건립 고유제

4) 신도비 문화재지정

5) 신도비 탁본과 탐방기

8. 각종 문헌 기록 종합 - 1) 조선왕조실록

2) 성소부부고

 3) 한국문헌설화

 4) 기문총화

 5) 연려실기술

 6) 대동기문

 7) 해사록에서

 8) 조선조 청백리

 9) 국가종합서비스

10) 계곡선생집

11) 지봉선생집

12) 택당집

13) 약봉유고

14) 만운집

15) 다시 쓰는 택리지

16) 고산유고에서

17) 성옹유고에서

18) 충익공행장

 

본문

p11.png 2. 각종 사진 자료 소개

        

 ankim02-6-64a.jpg

 <묘비 건립 전의 모습> (2000. 10. 항용(제) 촬영 제공)

 

 ankim02-6-64b.jpg

<1980년, 새로 옮기고 난 뒤 경계난간석 설치 이전의 모습>

  

 ankim02-6-64c.jpg

<관대>(1631년(인조9), 병조판서 재직시 사용하던 것으로 추정.

길이-113Cm, 보석알o형-6개, 작은ㅁ형-4개, 큰ㅁ형-5개)

 

 ankim02-6-64d.jpg

<충익공 하담선생 유고>

 

 ankim02-6-64e.jpg

<하담잡기>(국립중앙도서관 소장) (1983. 항용(제) 촬영)

 

ankim02-6-64f.jpg

<만년 거주지-충북 충주시 금가면 하담리 앞 남한강 전경. 2000. 1. 항용(제) 촬영 제공)

 

ankim02-6-64g.jpg

<번역본--하담 김시양 문집>

 (2001. 11. 제학공파 비안공문중회 간행. 추진회장-김두응. 번역-김익수. 편집 및 발간 추진-김항용 )

 

 ankim02-6-64h.jpg

<충익공 낙관>

(<槿域印藪>. 국회도서관 간. 1968. 313P. 2002. 7. 19. 항용 발견 자료 제공)

 

ankim02-6-64i.jpg

<부계문기>(출전:야후의 사진자료)

 

ankim02-6-64j.jpg

<부계기문>(출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3. 5. 20. 태서(익) 제공)

 

ankim02-6-64k.jpg

<대동야승 내 자해필담 표지>(출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3. 5. 20. 태서(익) 제공)

 

ankim02-6-64l.jpg

<하담파적록>(출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3. 5. 20. 태서(익) 제공)

 

ankim02-6-64m.jpg

<하담파적록 내부>(출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3. 5. 20. 태서(익) 제공)

 

  ankim02-6-64n.jpg

<하담 김시양의 시세계 연구> 석사학위 논문 발표 소개 (2006. 8. 25. 항용(제) 소개)

 

2006년 7월 말에는 단국대학교 한문학과에서 <하담 김시양의 시세계 연구>란 주제의 석사학위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 논문은 연구자인 김순희(金順姬)선생께서 지난 2001년 제학공파 비안공문중회에서 발간한 <하담 김시양 문집>(김익수 역. 김항용 편집. 미래문화사 간)을 기본 텍스트로 하여 지난 2년간 문집 내의 시문(詩文)을 중심으로 연구 분석한 것이다. 2006년 8월 13일에는 안사연 정기산행에서 소학술발표회와 논문발표 축하행사도 가진 바 있는데, 이날 김선생은 현재까지의 한문학 연구가 대체로 몇몇 대가들 중심으로 진행돼 왔음을 지적하고 명인이 아닌 작가들의 연구도 병행돼야만 올바른 한국 한문학사의 정립이 가능하다는 문학사관 아래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고, 앞으로는 박사학위 논문을 통하여 하담의 시문 부분만이 아닌 산문까지 포함한 전 작품들을 연구 분석하여 하담의 문학적 정신적 특성과 가치점을 밝히고, 조선 중기 하담의 정치적 역사적 위상도 함께 조명해 보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