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시양(金時讓)1581(선조14)∼1643(인조21)--(제)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충익공소개 및 연보

2. 각종 사진

3. 친필 서찰 소개

4. 각종 도서관소장 목록

5. 신도비

6. 묘비문

7. 주요자료 - 1) 하담김시양문집

2) 유배지 영해탐방기

3) 묘비 건립 고유제

4) 신도비 문화재지정

5) 신도비 탁본과 탐방기

8. 각종 문헌 기록 종합 - 1) 조선왕조실록

2) 성소부부고

 3) 한국문헌설화

 4) 기문총화

 5) 연려실기술

 6) 대동기문

 7) 해사록에서

 8) 조선조 청백리

 9) 국가종합서비스

10) 계곡선생집

11) 지봉선생집

12) 택당집

13) 약봉유고

14) 만운집

15) 다시 쓰는 택리지

16) 고산유고에서

17) 성옹유고에서

18) 충익공행장

 

본문

p11.png 8. 각종 문헌 기록 내용 종합

14) 만운집(晩雲集-정충신)에서 하담공과 함께 올린 상소문 (2005. 5. 23. 영윤(문) 제공)

 출전 : 晩雲集卷之二  (鄭忠信 著)

 * <與體察聯名疏〉는 1633년에 체찰사 金時讓과 함께 올린 疏인데, 淸 나라에 絶和를 고하러 가는 사신 金大乾을 의주에 머물러 두게 하고 絶和의 부당함을 아뢴 내용이다.

 

與體察聯名疏癸酉。體察金公時讓製

伏以臣等俱以無狀。待罪閫外。古人所謂介胄之士。言戰而已。不當於和字上掉舌。而當此邊彊事急。國家安危。係於呼吸之時。不容心有所懷。含默不言。以負我聖明。故敢陳蟊管之見。伏願聖明試垂察焉。竊念酋奴恐喝言辭。雖極凶悖。其意似專在於欲準取所定之數而已。此是驕虜常態。漢后,唐宗所不較者。其曰借船

▶ 083_329a

助兵之說。不過設爲是辭。使我辭其難而取其易。不然則如申得淵言也。何以曰欲準此數。則留置禮單。而隨後備來乎。今之聲罪絶和。出於不計成敗。寧以國斃。則臣等姑不敢容議。若有姑示絶和之意。使彼懼而從之之意。則虜雖仁義不足。兇狡有餘。豈爲此言所動得哉。設或得動謀國之道。恐不宜行此危計。如此之計。是一將之用奇。只可行兩陣交鋒之際也。目今西糧。頭會而計之。不支二萬兵半年之食。使虜聲言渝盟。欲來不來。待我師老糧匱而始來。則未知何以應之。況一國繹騷。農夫抛鋤。舟師亦動。無食自潰之患。在所必至。雖使賊

▶ 083_329b

來就殲。國勢將自此不支矣。譬如氣弱之人。盡力相鬪。縱得一勝。元氣萎苶。不得復起。亦理之常。況未必然者乎。臣時讓前日之箚。乃是有備無患之意。慮其賊必來也。贏糧躍馬。固敵是求。不幸而近之。臣等竊危之。若非好大喜功之時。豈有召敵之理乎。孫武所言。百戰百勝。非計之善者。全國爲上。全軍次之。豈非今日之所當留念者乎。此非臣等受鉞在外。畏賊徒怯之言也。凡天下之事。快意則必有後悔。他事可悔。此事獨不悔也。金大乾所持國書。略改其語。善爲措辭。如黃金非土產者外。姑從其意。試觀其所答。然後絶之。未晩也。朝廷

▶ 083_329c

之意。實出於絶和。則大乾之行。亦不必若是其汲汲也。遼宋之勢。宋重而遼輕。猶有增幣之擧。韓琦,富弼等。專主遣使報聘之議。國家賴以爲安。後世不以爲非。況今日之事乎。姑以利害言之。一年用兵之費。豈至於數年禮單而已乎。自申得淵出來之後。此路之民。到處呼訴。自願計口出布。以充萬匹之數。民情所在。亦可戚也。臣等姑留金大乾於灣上。以待朝廷處分。就使臣等所見謬妄。不能感回天聽。而猶可及送於三月初一日開市之前。故使義州小譯。先報回答使入來之意於虜中。臣等固知檀留使价之誅。罪合萬死。席藁伏地。恭竢

▶ 083_329d

斧鉞。臣等不勝惶恐屛營隕越之至。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