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시양(金時讓)1581(선조14)∼1643(인조21)--(제)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충익공소개 및 연보

2. 각종 사진

3. 친필 서찰 소개

4. 각종 도서관소장 목록

5. 신도비

6. 묘비문

7. 주요자료 - 1) 하담김시양문집

2) 유배지 영해탐방기

3) 묘비 건립 고유제

4) 신도비 문화재지정

5) 신도비 탁본과 탐방기

8. 각종 문헌 기록 종합 - 1) 조선왕조실록

2) 성소부부고

 3) 한국문헌설화

 4) 기문총화

 5) 연려실기술

 6) 대동기문

 7) 해사록에서

 8) 조선조 청백리

 9) 국가종합서비스

10) 계곡선생집

11) 지봉선생집

12) 택당집

13) 약봉유고

14) 만운집

15) 다시 쓰는 택리지

16) 고산유고에서

17) 성옹유고에서

18) 충익공행장

 

본문

p11.png 8. 각종 문헌 기록 내용 종합

10) 계곡선생집에서 (2005. 3. 6. 태서(익) 제공)

    출전 : 계곡선생집(谿谷先生集) 제28권

오언 율시(五言律詩) 150수

평안도 관찰사로 떠나는 김자중을 전송하며[送金子中按節關西]

 

국가의 치욕을 그 누가 씻어줄꼬 / 國恥誰當雪

산하(山河)에 흘린 피 아직 마르지 않았어라 / 關河血未乾

묘당(廟堂)에서 최상의 방책 널리 강구하여 / 議堂恢上策

변방의 책임을 유자(儒子)에게 맡겼도다 / 藩節屬儒冠

잘 드는 칼 들고 재단(裁斷)해 나갈지니 / 利器操應割

기울어진 판세 점점 더욱 안정되리 / 危枰轉得安

임금 은혜 보답코자 평소 지닌 소원 / 平生報主願

그대의 일편단심 알고말고요 / 知爾寸心丹

 

서쪽 변방 하늘 기둥 기우뚱했던 / 西極傾天柱

정묘년(丁卯年) 그때 일을 어찌 말로 다하리요 / 那堪說卯年

지금도 들리는 귀신의 곡성 / 至今猶鬼哭

어디에도 인가 하나 보이질 않네 / 何處有人煙

남비징청(攬?澄淸) 어진 명성 멀리 전파되고 / 攬?賢聲遠

높은 품직(品職) 하사한 임금의 은혜 / 橫金主渥偏

위태로운 나라 형세 그대 손에 달렸으니 / 艱危仗才傑

북산의 시편일랑 읊지를 마오/ 莫賦北山篇

 

김자중(金子中) : 자중(子中)은 김시양(金時讓)의 자(字)이다.

남비징청(攬?澄淸) : 난세를 구할 뜻을 품고 부임지로 출발하는 것을 말한다. 후한(後漢) 때 범방(范滂)이 기주(冀州)로 떠날 즈음 말고삐를 잡고서 개연히 천하를 맑게 할 뜻을 품었는데, 임지에 도착하자마자 탐관오리들이 그 풍도를 듣고는 인끈을 풀어놓고 떠나갔던 고사가 전해 온다. 《後漢書 黨錮 范滂傳》

북산의 …… 마오 : 일 처리가 불공평하여 자기만 수고롭게 하면서 부모도 봉양하지 못하게 한다는 불만스러운 뜻을 갖지 말라는 것이다. 북산(北山)은 《시경(詩經)》 소아(小雅)의 편명이다.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