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시양(金時讓)1581(선조14)∼1643(인조21)--(제)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충익공소개 및 연보

2. 각종 사진

3. 친필 서찰 소개

4. 각종 도서관소장 목록

5. 신도비

6. 묘비문

7. 주요자료 - 1) 하담김시양문집

2) 유배지 영해탐방기

3) 묘비 건립 고유제

4) 신도비 문화재지정

5) 신도비 탁본과 탐방기

8. 각종 문헌 기록 종합 - 1) 조선왕조실록

2) 성소부부고

 3) 한국문헌설화

 4) 기문총화

 5) 연려실기술

 6) 대동기문

 7) 해사록에서

 8) 조선조 청백리

 9) 국가종합서비스

10) 계곡선생집

11) 지봉선생집

12) 택당집

13) 약봉유고

14) 만운집

15) 다시 쓰는 택리지

16) 고산유고에서

17) 성옹유고에서

18) 충익공행장

 

본문

p11.png 8. 각종 문헌 기록 내용 종합

7) 해사록에서

(2004. 1. 4. 주회(안) 제공)

출전 : 1)◆ 해행총서 Ⅳ (1975, 민족분화추진회).

         2)◆해사록(海,木+差,錄) : 김세렴(金世濂, 1593-1646). 인조14년 (1636) 통신부사로 일본에 간 2백일 간의 일기체 기행문

 

● 병자년 숭정9년 인조14년 1636년

8월 19일(경인) 맑음. 고개를 넘어 목계(木溪)의 지평(持平) 조공숙(趙公淑)의 집에 닿으니 제천현감 한필구(韓必久)가 와서 기다리고, 찰방(察訪) 심작(沈綽), 진사 심담율(沈담,실사변+栗)이 다 와서 모였으며, 첨지(僉知) 유대화(柳大華), 생원 이심(李,木+尋)이 가흥(可興)으로부터 긍을 보내 왔다.

 

한낮에 강상(江上)에서 판서 ★김시양(金時讓)을 찾아 보았는데, 눈병이 더욱 심하였다. 이야기를 나누다가 석양이 되어서야 비로소 하직하고 나왔다.

 

북창(北倉)에 이르니, 원역(員役)으로서 충원(忠原)에 도착한 자가 모두 와서 기다렸다. 충원에 이르니, 문의현감 이선득(李善得), 단양군수 서경수(徐景需), 음성현감 홍시립(洪時立), 괴산현감 이응협(李應莢)이 다 나와 맞았다.

현감 서정연(徐挺然)의 아내가 시골집에서 죽은 지 얼마 안 된다고 한다. 덕진(德眞)이 청안(淸安)에서 도망한 종 및 자식 하나를 잡아 왔는데, 수십년 전에 달아났던 자다.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