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시양(金時讓)1581(선조14)∼1643(인조21)--(제)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충익공소개 및 연보

2. 각종 사진

3. 친필 서찰 소개

4. 각종 도서관소장 목록

5. 신도비

6. 묘비문

7. 주요자료 - 1) 하담김시양문집

2) 유배지 영해탐방기

3) 묘비 건립 고유제

4) 신도비 문화재지정

5) 신도비 탁본과 탐방기

8. 각종 문헌 기록 종합 - 1) 조선왕조실록

2) 성소부부고

 3) 한국문헌설화

 4) 기문총화

 5) 연려실기술

 6) 대동기문

 7) 해사록에서

 8) 조선조 청백리

 9) 국가종합서비스

10) 계곡선생집

11) 지봉선생집

12) 택당집

13) 약봉유고

14) 만운집

15) 다시 쓰는 택리지

16) 고산유고에서

17) 성옹유고에서

18) 충익공행장

 

본문

p11.png 8. 각종 문헌 기록 내용 종합

15) 다시쓰는 택리지에서 (2005. 8. 11. 발용(군) 제공)

하담선조 만년 거주지

다시쓰는 택리지 1(경기 충청편)

저자 : 신정일  출판사 : 휴머니스트

ankim02-6-64z138.jpg

탄금대 계선장

탄금대 아래 남한강에서 몇 척의 배가 떠나고 몇척의 배는 떠날 날을 기다리고 있다.

 

탄금대에서 남한강을 건너면 북쪽의 북창이다. 근처의 매하리에는 한강의 여울이 살같이 빠르다고 하는 사리울이 있으며 서쪽은 이연경(李延慶)이 살던 곳이다. 이연경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조광조와 교류가 깊었기 때문에 축출될 뻔했으나 중종이 어필로 『찬인록(竄人錄)』(귀양 간 인물들을 적은 기록)에서 그의 이름을 지워 버리고 유배를 보내지 않았다. 그는 벼슬에서 물러난 뒤 나라에서 벼슬을 거듭 내렸으나 나아가지 않은 채 후학들을 길러 냈다. 조선왕조의 10대에 걸쳐 끊임없이 그의 후손들이 과거에 합격하였는데, 사람들은 강가의 좋은 터를 잡았기 때문이라 하였다. 강을 따라 서쪽에 있는 월탄(月灘), 즉 지금의 하담리는 조선 선조 때의 선비 모당(慕堂) 홍이상(洪履祥)의 후손인 홍씨들이 사는 곳이고, 또 서쪽은 하강담소(荷江潭所)인데 김시양(金時讓)이 살던 곳이다.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경상감사와 한성판윤을 지낸 김시양은 인조의 뜻을 어기고 척화를 주장하여 영월로 유배되기도 했다.

ankim02-6-64z139.jpg

<하담리 앞 한강 전경> (2000. 12. 항용 촬영)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