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학공파(익달)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김영돈

 2. 김 진

 3. 김익달

 4. 김 고

 5. 김맹렴

 6. 김철균

 7. 김수형,김수진

 8. 김언홍,김언묵

 9. 김 익

10. 김 석

11. 김충갑

12. 김효갑

13. 김우갑

14. 김제갑

15. 김인갑

16. 김시회

17. 김시민,시진

18. 김시헌

19. 김시백

20. 김시약

21. 김시량

22. 김시훈

23. 김시열

24. 김시양

25. 김 치

26. 김약,김기

27. 김 소

28. 김 번

29. 김 경

30. 김 휘

30-1.김 호

31. 김득신

32. 김구만

33. 김천주

34. 김남정

35. 김가교

36. 김가행

37. 김항광

38. 김대건

39. 김긍,김규

40. 김봉지

41. 김인지

42. 김가근

43. 김변광

44. 김항광

45. 김 필

46. 김유대

47. 김호묵

48. 김구호

49. 김동호

50. 김항묵

51. 김시응

52. 김철응

53. 김선응

54. 김기응

55. 김업수

56. 김유일처

57. 김유생처

58. 김유대처

59. 김철응처

60. 김상익

61. 김용응

62. 김상형

63. 김상철

64. 김구응

65. 김 추

본문

 

p02.png 17) 김시민(金時敏)

            충무공.  1554(명종9)∼1592(선조25).

 

조선의 무신. 字는 면오(勉吾), 지평(持平) 충갑(忠甲)의 아들. 1578년(선조11) 무과(武 科)에 급제, 훈련원 판관(訓練院判官)이 되었을 때 군사(軍事)에 관한 일을 병조판서에 게 건의한 것이 채택되지 않아 관직을 버렸다. 1591년 진주판관(晋州判官)이 되고 이듬 해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죽은 목사(牧使)를 대신하여 성지(城地)를 수축하고 무기를 갖추어 목사로 승진되었다.

이어 사천(泗川)·고성(固城)·진해(鎭海) 등지에서 적을 격파하여 경상우도 병마절도사(慶尙右道兵馬節度使)에 올랐고 금산(金山)에서 다시 적을 격파, 이해 10월 적의 대군 이 진주성(晋州城)을 포위하자 불과 3천 8백의 병력으로 7일간의 공방전을 벌여 3만여 의 사상자를 내고 적을 격퇴했다. 그러나 이 전투후 순찰시 시체 속에 숨어 있던 왜병에 의해 이마에 총탄을 맞고 얼마후에 죽었다.

 

1604년 선무공신(宣武功臣) 2등에 추록, 상락군(上洛君)에 봉해졌으며, 뒤에 영의정·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에 추증(追贈). 괴산의 충민사(忠愍祠)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사진 소개>

 가). <충민사>(충북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ankim04-11z282.jpg   ankim04-11z283.jpg

<충민사 전경>                                                   <정문-效忠門>

 

 ankim04-11z284.jpg  ankim04-11z285.jpg

<김시민장군 유적 정화 기념비>                            <좌-충무공 신도비.  우-김제갑 비>

 

 ankim04-11z286.jpg   ankim04-11z287.jpg

<중문-寶武門>                                                         <사당>   

 

 ankim04-11z288.jpg

<묘소>

 

 ankim04-11z289.jpg

<교지-영의정 추증>

 

 ankim04-11z290.jpg

<선무공신 2등 교서. 2006. 7. 24. 일본에서 국민성금으로 환수. 현 진주박물관 소장> (2006. 7. 25. 항용(제) 제공)

 

ankim04-11z291.jpg

<영정>

 

 (1998. 4. 30. 장우성 화백 작. 제학공파종회, 재경 괴산군종친회, 괴산군종친회 주관)

 ankim04-11z292.jpg

<충무공 신도비>

 

   나). <독립 기념관 경내>(충남 천안시 목천동 독립기념관)

ankim04-11z293.jpg

<어록비>(독립기념관 내)                 <공신교서>(2등에 녹선.독립기념관 내)       

 

  다). <진주성 내>(경남 진주시)

  ankim04-11z294.jpg

<진주성>(구지도. 2002. 3.)

 

ankim04-11z295.jpg

<진주성>(현재)

 

ankim04-11z296.jpg  ankim04-11z297.jpg

<동상>(진주성 내)                               <김시민 장군 전승비>(진주시) (2003. 6. 16. 태서(익) 제공)

 

  라). 충무공 관련 문헌

ankim04-11z298.jpg

<忠烈實錄>(충렬실록) (2003. 2. 14. 국립도서관 소장. 항용(제) 제공). 정덕선, 윤태권 공편. 목판본. 2권 2책. 1831년(순조31). 충무공 김시민 장군과 관련한 각종 자료 수록.

 

ankim04-11z299.jpg

        <충무공 김시민 실기>(김상형 저)          

 

  마). <제1회 충무공 김시민 장군 선양 국제 학술 심포지엄>(2002. 10. 16. 천안 시민회관)

 

ankim04-11z300.jpg

<제1회 국제학술 심포지엄>(2002. 10. 16. 천안시민회관. 김시민장군 기념사업회 주관)

 

ankim04-11z301.jpg   ankim04-11z302.jpg

   <제1회 국제학술대회 책자>(2002. 10. 16)          <제1회 학생백일장 수상작품 모음집 제1집>(2002. 10)

 

  바). <고려대 대학원의 한적실 내 소장 김시민장군 신도비문> (2003. 2. 21. 항용(제), 발용(군))

 

ankim04-11z303.jpg

 

ankim04-11z304.jpg

 

*출전 : 古文書目錄. 고려대학교중앙도서관.  1999.  487P

내용 : "고문서 목록 번호--F9-631.  金時敏神道碑, 李容九, 헌종5(1839) 1枚, 23×368cm,  書頭:崇禎紀元後二百七十三年庚子......"

 

사).<김시민 장군 친필 서찰 소개>

(1) 서찰 1

 가) 발견일시 : 2003. 3.  서운관정공파 규태(圭台)님이 발견. 제보.

 나) 수록 문헌 : <새롭게 다시 보는  임진왜란>. 1999. 5.  국립진주박물관 간행. PP19-20

 다) 현 소장처  : 성암고서 박물관(서울시청 옆 덕수궁 우측. 세실극장 앞 태성빌딩 내).

성암고서 박물관에는 <簡牘>(간독)이란 제목하에 약 20여 편의 서찰 및 제문 등이 들어 있는 서첩이 있다. 이 것은 1998년 경 이후 현재 진주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아래 서찰 사진은 이 <간독> 속에 들어 있는 것 중의 하나이다. 2003. 4. 13. 현재 恒鏞씨(제)는 진주와 성암 박물관의 관장님들과협의하여 이 <간독>을 촬영하고 복사한 자료를 제공해 주기로 약속하고 천안의 <김시민 기념사업회>와 협동으로 이 문제를 추진 중이다.

 

ankim04-11z305.jpg

 

 (2) 서찰 2

  가) 발견일시 : 2003. 3.  서운관정공파 규태(圭台)님이 발견. 제보.

  나) 수록 문헌 : <새롭게 다시 보는  임진왜란>. 1999. 5.  국립진주박물관 간행. PP19-20

  다) 현 소장처 : 진주박물관에 소장중. 그런데 이 서찰이 충무공의 작인지는 더 연구해야 할 과제가 있다고 한다

       (2003. 4. 13. 이상훈 연구사 談). 추후 이 서찰의 사진과 복사 자료를 제공해 주기로 약속함(2003. 4. 13).

 

ankim04-11z306.jpg

 

  아). 선무공신 교서 소개 (2005. 11. 18. 항용(제) 제공)

 

ankim04-11z307.jpg

 

ankim04-11z308.jpg

<충무공 김시민 장군 교서>(2005. 11. 18. 일본 동경, 경매물 도록 사진. 2005. 11. 9. 항용(제) 제공)

 

           *상기 교서 소개   

선무공신이란 임진왜란 때 큰 공을 세운 이순신·권율(權慄) 등 무신에게 준 훈(勳)의 이름이다. 1604년(선조 37) 6월 호성(扈聖)·청난(淸難) 공신과 함께 녹훈(錄勳)한 것인데 3등으로 나누어 1등을 효충장의적의협력(效忠杖義迪毅協力), 2등을 효충장의협력, 3등을 효충장의선무공신이라 하였는데, 1등은 이순신·권율·원균(元均), 2등은 신점(申點)·권응수(權應銖)·김시민(金時敏)·이정암(李廷馣)·이억기(李億祺), 3등은 정기원(鄭期遠)·권협(權鎭)·유사원(柳思瑗)·고언백(高彦伯)·이광악(李光岳)·조경(趙敬)·권준(權俊)·이순신(李純信)·기효근(奇孝謹)·이운용(李雲龍) 등 모두 18명에게 주었다.

 

상기 교지의 크기는 가로 226㎝, 세로37.2㎝이며 양호한 상태이다. 임진왜란 당시 진주대첩의 상황을 밝히고 공을 세운 사람에 대한 포상정도를 살피는데 귀중한 자료이다.

 

 이 선무공신교서는 총 18장이 발급되었으며 국내에 현전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 권응수(2등공신) - 보물668호(개인소장-진주박물관 보관)

    · 이광악(3등공신) - 보물952호(독립기념관 소장)

    · 원  균(1등공신) - 보물1133호(개인소장)

    · 이운룡(3등공신) - 보물1212호(개인소장)

 

 

p20.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