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충무공. 1554(명종9)∼1592(선조25).
조선의 무신. 字는 면오(勉吾), 지평(持平) 충갑(忠甲)의 아들. 1578년(선조11) 무과(武 科)에 급제, 훈련원 판관(訓練院判官)이 되었을 때 군사(軍事)에 관한 일을 병조판서에 게 건의한 것이 채택되지 않아 관직을 버렸다. 1591년 진주판관(晋州判官)이 되고 이듬 해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죽은 목사(牧使)를 대신하여 성지(城地)를 수축하고 무기를 갖추어 목사로 승진되었다. 이어 사천(泗川)·고성(固城)·진해(鎭海) 등지에서 적을 격파하여 경상우도 병마절도사(慶尙右道兵馬節度使)에 올랐고 금산(金山)에서 다시 적을 격파, 이해 10월 적의 대군 이 진주성(晋州城)을 포위하자 불과 3천 8백의 병력으로 7일간의 공방전을 벌여 3만여 의 사상자를 내고 적을 격퇴했다. 그러나 이 전투후 순찰시 시체 속에 숨어 있던 왜병에 의해 이마에 총탄을 맞고 얼마후에 죽었다.
1604년 선무공신(宣武功臣) 2등에 추록, 상락군(上洛君)에 봉해졌으며, 뒤에 영의정·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에 추증(追贈). 괴산의 충민사(忠愍祠)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사진 소개> 가). <충민사>(충북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충민사 전경> <정문-效忠門>
<김시민장군 유적 정화 기념비> <좌-충무공 신도비. 우-김제갑 비>
<중문-寶武門> <사당>
<묘소>
<교지-영의정 추증>
<선무공신 2등 교서. 2006. 7. 24. 일본에서 국민성금으로 환수. 현 진주박물관 소장> (2006. 7. 25. 항용(제) 제공)
<영정>
(1998. 4. 30. 장우성 화백 작. 제학공파종회, 재경 괴산군종친회, 괴산군종친회 주관) <충무공 신도비>
나). <독립 기념관 경내>(충남 천안시 목천동 독립기념관) <어록비>(독립기념관 내) <공신교서>(2등에 녹선.독립기념관 내)
다). <진주성 내>(경남 진주시) <진주성>(구지도. 2002. 3.)
<진주성>(현재)
<동상>(진주성 내) <김시민 장군 전승비>(진주시) (2003. 6. 16. 태서(익) 제공)
라). 충무공 관련 문헌 <忠烈實錄>(충렬실록) (2003. 2. 14. 국립도서관 소장. 항용(제) 제공). 정덕선, 윤태권 공편. 목판본. 2권 2책. 1831년(순조31). 충무공 김시민 장군과 관련한 각종 자료 수록.
<충무공 김시민 실기>(김상형 저)
마). <제1회 충무공 김시민 장군 선양 국제 학술 심포지엄>(2002. 10. 16. 천안 시민회관)
<제1회 국제학술 심포지엄>(2002. 10. 16. 천안시민회관. 김시민장군 기념사업회 주관)
<제1회 국제학술대회 책자>(2002. 10. 16) <제1회 학생백일장 수상작품 모음집 제1집>(2002. 10)
바). <고려대 대학원의 한적실 내 소장 김시민장군 신도비문> (2003. 2. 21. 항용(제), 발용(군))
*출전 : 古文書目錄. 고려대학교중앙도서관. 1999. 487P 내용 : "고문서 목록 번호--F9-631. 金時敏神道碑, 李容九, 헌종5(1839) 1枚, 23×368cm, 書頭:崇禎紀元後二百七十三年庚子......"
사).<김시민 장군 친필 서찰 소개> (1) 서찰 1 가) 발견일시 : 2003. 3. 서운관정공파 규태(圭台)님이 발견. 제보. 나) 수록 문헌 : <새롭게 다시 보는 임진왜란>. 1999. 5. 국립진주박물관 간행. PP19-20 다) 현 소장처 : 성암고서 박물관(서울시청 옆 덕수궁 우측. 세실극장 앞 태성빌딩 내). 성암고서 박물관에는 <簡牘>(간독)이란 제목하에 약 20여 편의 서찰 및 제문 등이 들어 있는 서첩이 있다. 이 것은 1998년 경 이후 현재 진주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아래 서찰 사진은 이 <간독> 속에 들어 있는 것 중의 하나이다. 2003. 4. 13. 현재 恒鏞씨(제)는 진주와 성암 박물관의 관장님들과협의하여 이 <간독>을 촬영하고 복사한 자료를 제공해 주기로 약속하고 천안의 <김시민 기념사업회>와 협동으로 이 문제를 추진 중이다.
(2) 서찰 2 가) 발견일시 : 2003. 3. 서운관정공파 규태(圭台)님이 발견. 제보. 나) 수록 문헌 : <새롭게 다시 보는 임진왜란>. 1999. 5. 국립진주박물관 간행. PP19-20 다) 현 소장처 : 진주박물관에 소장중. 그런데 이 서찰이 충무공의 작인지는 더 연구해야 할 과제가 있다고 한다 (2003. 4. 13. 이상훈 연구사 談). 추후 이 서찰의 사진과 복사 자료를 제공해 주기로 약속함(2003. 4. 13).
아). 선무공신 교서 소개 (2005. 11. 18. 항용(제) 제공)
<충무공 김시민 장군 교서>(2005. 11. 18. 일본 동경, 경매물 도록 사진. 2005. 11. 9. 항용(제) 제공)
*상기 교서 소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