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1664-1746 백곡(栢谷) 득신(得臣)의 손자이다. 관직은 증 이조참판(贈 吏曹參判)이다. 화적(火賊)이 마을에 들어와 와병에 있던 그의 조부(得臣)를 해치려 하자 이를 몸으로 막아 화를 면하였다. 충남 서산군 운산면 갈산리에 효손정문(孝孫旌門)이 세워져 있다.
|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22. 김시훈 |
23. 김시열 |
24. 김시양 |
|||
26. 김약,김기 |
27. 김 소 |
28. 김 번 |
29. 김 경 |
30. 김 휘 |
|
30-1.김 호 |
31. 김득신 |
||||
61. 김용응 |
|
1664-1746 백곡(栢谷) 득신(得臣)의 손자이다. 관직은 증 이조참판(贈 吏曹參判)이다. 화적(火賊)이 마을에 들어와 와병에 있던 그의 조부(得臣)를 해치려 하자 이를 몸으로 막아 화를 면하였다. 충남 서산군 운산면 갈산리에 효손정문(孝孫旌門)이 세워져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