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학공파(익달)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김영돈

 2. 김 진

 3. 김익달

 4. 김 고

 5. 김맹렴

 6. 김철균

 7. 김수형,김수진

 8. 김언홍,김언묵

 9. 김 익

10. 김 석

11. 김충갑

12. 김효갑

13. 김우갑

14. 김제갑

15. 김인갑

16. 김시회

17. 김시민,시진

18. 김시헌

19. 김시백

20. 김시약

21. 김시량

22. 김시훈

23. 김시열

24. 김시양

25. 김 치

26. 김약,김기

27. 김 소

28. 김 번

29. 김 경

30. 김 휘

30-1.김 호

31. 김득신

32. 김구만

33. 김천주

34. 김남정

35. 김가교

36. 김가행

37. 김항광

38. 김대건

39. 김긍,김규

40. 김봉지

41. 김인지

42. 김가근

43. 김변광

44. 김항광

45. 김 필

46. 김유대

47. 김호묵

48. 김구호

49. 김동호

50. 김항묵

51. 김시응

52. 김철응

53. 김선응

54. 김기응

55. 김업수

56. 김유일처

57. 김유생처

58. 김유대처

59. 김철응처

60. 김상익

61. 김용응

62. 김상형

63. 김상철

64. 김구응

65. 김 추

본문

 

p02.png 8) 김언홍(金彦弘)

             도사공(都事公). 1469(예종1)~1530(중종25)

 

자는 의경(毅卿),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를 역임함. 수 62세이며 묘는 서울 상도동에서 1968년 산청군 생초면 월곡리 농암치 유좌(酉坐)로 이안하다.

배위는 공인(恭人) 용인이씨로 父는 현령 봉손(奉孫), 祖는 참판 승충(升忠), 증조는 군수 백찬(伯撰)이다.  

 

  <묘소 사진> (2010. 5. 16. 항용(제) 촬영 제공)

 

ankim04-11z140.jpgankim04-11z141.jpg

도사공 묘소와 묘비

 

ankim04-11z142.jpg  ankim04-11z143.jpg  ankim04-11z144.jpg

 묘비문

 

 * 金彦默(김언묵)  : 참판공(參判公) 1472년(성종3)--1506년(중종1)

 자는 우경(愚卿). 공은 혼조(昏朝:중종반정이 일자 연산군때 좌의정이었던 이모부 신수근(愼守勤)과 매제인 감역(監役) 정세명(丁世明)등이 살해 됐던 일)로 인해 당시 권세가들의 친척이라 하여 은둔불사함. 1506년 7. 6일 향년 35세로 몰했으며, 1581(선조14)년에 孫 監司 悌甲의 貴로 承政院 左承旨에 追贈되었다가, 다시 曾孫 判中樞府事 時讓의 恩으로 이조참판(吏曹參判)에 재추증됨. 묘는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 소래산임.

배위(配位-義城金氏) 묘소는 충북 괴산군 괴산읍 수진리 수진산에 손(孫)인 양덕공(陽德公-諱 時說) 묘소 위에 있었는데, 1997년 충북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개향산 자(子) 영상공(領相公-諱 錫)의 묘소 위로 천봉(遷封)함.

 2006. 3. 15일, 참판공의 묘소는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 소래산에서 능촌리의 배위(의성김씨) 묘소에 합장 되었다.

 

<신 조성 묘소 소개>(2006. 4. 22. 항용 촬영)

 

ankim04-11z145.jpg

<2006. 3. 15. 신 조성된 참판공 묘소> (상석 : 82×140×21)

 

ankim04-11z146.jpg

<참판공 묘표>(從仕郞 金彦默之墓>

 

ankim04-11z147.jpg

<정부인 의성김씨 묘비>

 

ankim04-11z148.jpg   ankim04-11z149.jpg

<정부인 의성김씨 할머님의 묘표 전면과 후면>(묘비 크기 : 58×26×176)

 

('崇禎後四壬子(1672, 현종13. 十一月  日'이라 기록됨-숭정 후 네번째 壬인 임자년 11월에 건립)

 

ankim04-11z150.jpg

<합분하기 이전의 의성김씨 정부인 묘소. 1997년 수진리 양덕공 묘소 위에서 능촌리로 천봉함)

            (문관석 크기 : 165×43)

 

<참판공 구묘소인 소래산의 묘소 소개>

 

ankim04-11z151.jpg

 

ankim04-11z152.jpgankim04-11z153.jpg

 <묘비석>                                                           <문관석>

 

ankim04-11z154.jpg

<참판공(휘 언묵)과 그 아래에 있는 만헌공(휘 효갑) 묘소>

 

ankim04-11z155.jpg

<소래산 아래의 하연 영상 묘역에 있는 신도비>

 

ankim04-11z156.jpg

<소래산 아래의 하연 영상 신도비에 참판공의 증조부(맹렴)이 사위로 기록되어 있다>

 

 <참판공(휘 彦默)> 이장 행사 참관기> (상석(제), 항용(제) 제공)

문중의 숙원사업이었던 제학공의 5대손이신 참판공(휘 彦默)과 7대손이신 만헌공(휘 孝甲)선조님 양위의 묘소 이장 행사가 시흥시 소래산의 선조님 묘역에서 능촌종중,병천종중,비안공문중에서 참여한 가운데 산신제와 고유제를 시작으로 괴산의 영상공 묘역까지 이어지는 행사가 순조롭게 진행되었기에 그 전말을 기록하여 현종제위께 전합니다.

 

<행사요약>

1.일       시: 2006. 3. 15(수). 10:00시--17:30시

2.집결 장소:경기도 시흥시 신천동 소래산 산 13번지 참판공, 만헌공 양위묘역

3.이장 장소:충북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개향산 영상공(휘 錫) 묘역

4.행사 주관:제학공파 능촌종중, 병천종중, 비안공문중

5.참석자(무순,존칭생략)-재기,상순,상석,학응,두응,남응,천응,복응,태석,태옥,태호,태섭,태관,규호,규문,기복,항용,우용,임왕식(산신제 제관).하용환(소산서원 사무국장)--20 여명

 

오전 10:00정각에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 소래산 13번지의 선조님 묘하에 도착하여 병천종중의 남응님 일행과 만나 반갑게 인사를 나누고 뒤따라온 포크레인 기사에게 장비의 진입로를 안내하며 길을 내어 묘역으로 올라갑니다.협로를 뚫고 올라간 장비를 묘역 가까이에 준비를 시키고 나니 11:00가 되었습니다.

곧이어 08:00에 괴산을 떠난 능촌종중 일행이 하 연領相(감찰공 휘 孟廉의 장인)의 묘소쪽에서 제물과 함께 호미와 삽 등의 연장을 챙겨 올라 오십니다.

 

 11:00 산신제를 올립니다.제관(타문중인 임왕식),축관(규문).차례로 참판공,만헌공 묘소에 고유제를 올립니다.제관(학응),축관(규문)

 

 11:40 참판공(휘彦默) 선조님께서 몰하신 지 500년(1506년 몰)이 지나 이제,괴산의 영상공(휘錫)묘소 위 의성김씨 할머님과 합장으로 모시기 위해 먼저 비신과 문인석에 가마니를 둘러 안전하게 옆으로 옮기고 파묘를 시작합니다. 3미터 가량을 개장하니 관에 쓰여진 굵은 철핀과 함께 유해의 흔적이 나타납니다.정성들여 수습을 한 후 바로 아래의 만헌공(휘孝甲)묘소로 장비를 옮겨 이동합니다.

 

 

p20.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