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학공파(익달)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김영돈

 2. 김 진

 3. 김익달

 4. 김 고

 5. 김맹렴

 6. 김철균

 7. 김수형,김수진

 8. 김언홍,김언묵

 9. 김 익

10. 김 석

11. 김충갑

12. 김효갑

13. 김우갑

14. 김제갑

15. 김인갑

16. 김시회

17. 김시민,시진

18. 김시헌

19. 김시백

20. 김시약

21. 김시량

22. 김시훈

23. 김시열

24. 김시양

25. 김 치

26. 김약,김기

27. 김 소

28. 김 번

29. 김 경

30. 김 휘

30-1.김 호

31. 김득신

32. 김구만

33. 김천주

34. 김남정

35. 김가교

36. 김가행

37. 김항광

38. 김대건

39. 김긍,김규

40. 김봉지

41. 김인지

42. 김가근

43. 김변광

44. 김항광

45. 김 필

46. 김유대

47. 김호묵

48. 김구호

49. 김동호

50. 김항묵

51. 김시응

52. 김철응

53. 김선응

54. 김기응

55. 김업수

56. 김유일처

57. 김유생처

58. 김유대처

59. 김철응처

60. 김상익

61. 김용응

62. 김상형

63. 김상철

64. 김구응

65. 김 추

본문

 

p02.png 20) 김시약(金時若)

               1564(명종19). 4. 18.---1627년(인조5)

 

 字는 손오(巽吾)이며 아호는 금헌(琴軒)이다. 충북 괴산군에서 출생하였다(청천면 덕평리(구 淸州郡 東面 大田里)) 라고도 함). 을사명현(乙巳名賢)인 구암공 휘 충갑(忠甲)의 제 6子로 충무공 김시민 장군의 제 3弟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천성이 堅强하고 意氣가 뛰어나며 지혜가 비범하였다. 자라면서는 그 용모와 기품이 형님인 충무공을 많이 닮았고 우애 또한 각별히 돈독하였다.

 

1592년(선조25)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진주에서 목사인 형 충무공 시민을 도와 진주대첩의 공을 함께 세웠다. 그 후 괴산에 돌아와 의병을 일으키고 1597년(선조30) 괴산(槐山) 의병의 선봉장(先鋒將)이 되어 창의병(倡義兵)을 거느리고 각지에서 왜적을 격파하였다. 이 사실이 조정에 알려져 서애 유성룡은 선조께 천거하여 특별히 별장(別將)을 제수받았다. 이후 각처에서 만호와 절충장군(折衝將軍)을 역임하였고, 인조반정 후 통정대부 동부승지에 제수하였으나 고사하였고 곧 의주부윤으로 임명하였다. 그 뒤 창성부사가 되었는데 후금의 침략이 걱정되던 때였다.

 

1627년(인조5) 미처 성을 보수하고 전쟁에 대비할 틈도 없이 불시에 대군의 호병(胡兵-후금, 청)이 공격해 들어와(丁卯胡亂) 중과부적으로 공은 두 아들과 함께 포로가 되었다가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1683년 (숙종 9) 정문(旌門)이 세워지고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초혼묘가 충북 괴산군 청천면 덕정리 가지산에 있으며  1998년에 충숙공 김시약 장군 현양위원회(회장 이춘우)가 구성되어 묘역 성역화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ankim04-11z312.jpg  ankim04-11z313.jpg

<묘소>                                                                        <상석>

 

ankim04-11z314.jpg  ankim04-11z315.jpg

<추모사업 발기대회>(2000. 5.)                                    <의병장 김시약 책자>

 

ankim04-11z316.jpg

<2001. 11. 22.묘소에서 발견된 제기 유물 15점>   <2001. 11. 23. 새로 조성된 묘역 전경>

 

<각종 자료 소개>

1. <충무공 김시민 장군. 충숙공 김시약 장군 현양회 소개> (보완중)

  가. 사무실 : 서울시 중구 초동 10-3. 서일빌딩. 403호

  나. 연락처 : 1)전화 : 02)313-6133    2)팩스 : 02)2274-7242    

  다. 회장 : 이춘우. (휴대폰 : 011-410-8675)

ankim04-11z317.jpg

 

  라. 사무국장 : 김영식( 02)2274-7242.    017-264-2596)

  마. 설립 일시 : 1999. 10. 6.

  바. 회칙

  사.임원 명단

  아.주요 사업 및 연혁

   1) 1992. 11.-- <괴산문화>(12월호)에 김시약 관련 내용 연재(이봉선 글). 지역민 관심 부각.

   2) 1997. 8월 이후 -- 김시약 장군 관련 사료조사

     (이춘우-괴산군 지명지 551p. 김시약 장군 묘 위치. 덕평리 산 38-2번지. 확인. 묘소 촬영. 각종 사료 조사. 김환묵 괴산 군수에게 현양 협조 요청)

   3) 1999. 4월. -- <덕평교보>에 장군 사료게재 (책부수 1700부) 및 발표

   4) 1999. 11. 6. -- '김시약 장군 현양회' 준비위원회 정식 발족(14명. 서울 동대문 함흥냉면. 이춘우 회장 선출).

   5) 1999. 10. 8. -- 괴산군청에 묘역 용미 위의 이동통신 기지탑 건립 부당함을 건의. 이동통신 기지국 관계자와 철탑이전 이전각서 교환

   6) 1999. 10. 10. -- 기지탑 건립 기초공사

 

ankim04-11z318.jpg

<이동통신 기지국 철탑 건립 기초공사 장면> (1999. 10)

 

  7) 2000. 3. 20. --  3회에 걸쳐 충주 문화방송국에서 김시약 장군관련 내용 보도.

  8) 2000. 3. -- <충·효로 생을 마친 의병장 김시약> 책자발간.

       초판 2000권, 재판 3000권 - 총 5000권 무료배부. 한국문헌번호쎈타 등록  ISBN89-88658-03-5

  9) 2000.  5. 22. -- 괴산군청에 김시약 장군관련 유적지의 '지방문화재' 인정 신청

 10) 2000. 8. 8-- 발기대회 일정 협의. 증평 37사단 예방, 사단장님께 군의 지원 요청, 군악대파견 승낙받음

 11) 2000. 9. 24. -- 발기대회 및 제1회 묘제 봉행(충북 괴산군 청천면 덕평리 가지산 묘역).

      도,군 기관장 및 전 현직 국회의원, 군내 유림. 안동김씨 종친회 등 약 300여 명 참석.

 

ankim04-11z319.jpg

<묘제 장면>

 

ankim04-11z320.jpg

<37사단 군악대의 진혼곡을 울리며 올리는 400년 만의 묘제행사>

 

  ankim04-11z321.jpg

<묘제 후 기념 촬영>

 

  12) 2000. 10. 21. -- 임시총회, 정관통과.(서울 함흥냉면에서)

  13) 2001. 5. 20. -- 제2회 묘제행사(충북 괴산군 청천면 덕평리 가지산 묘역)

  14) 2001. 11. 22. -- 묘역 1차 복원공사 실시

      (1)총 900만원(괴산군청 지원금-800만원, 현양회 100만원)으로 묘역 1차 복원공사

      (2)봉분사초, 봉분 둘레석, 상석, 망주석, 장명등, 동자석 설치.

      (3)장군 사료 책자 5000부 발간. 국립도서관 및 전국 도서관 및 대학에 발송.

ankim04-11z322.jpg

 

  15) 2002. 4. 14. 제3회 묘제행사(충북 괴산군 청천면 덕평리 가지산 묘역)

 

ankim04-11z323.jpg

<묘제 장면>(초헌관-괴산군수.  아헌관-박형규 전의원.  종헌관-김태섭(종중 대표))

 

ankim04-11z324.jpg

<묘제 후 기념 촬영>

 

  16) 2002. 8. -- 국고 1억 배정받음. 묘역 공사 및 충효 삼문 공사 준비

  17) 2003. 1. -- 충효삼문 설계 및 공사작업 시작

  18) 2003. 4. 4. -- 충효삼문 상량식

 

ankim04-11z325.jpg

<충효 삼문 건립 장면>2003. 4. 4. 충북 괴산군 청천면 덕평리 가지산 묘역 아래)

 

   19)2003. 5. 25(일) --제4회 시제 및 충효 삼문 준공식

  <충숙공 김시약 장군 3부자 충효 삼문 준공식 및 시제 참배 후기>(2003. 5. 26. 항용(제) 제공)

1. 일시 : 2003. 5. 25. 07:30--19:00

2. 장소 : 충북 괴산군 청천면 덕평리

3. 주관 : 충숙공 김시약 장군 현양회

4. 참석 인원 : 약 120여 명 (안동김씨 문중인 약 30명)

5. 행사 내용

  1)07:30-10:40 : 전세 버스서울--괴산 덕평 착

  2)10:40-13:00 : 중식. 출장소(민원실)로 이동

  3)13:00-13:30 : 시제 봉행

  4)13:30-14:10 : 기념식 거행(충숙공 김시약 장군 삼부자 묘역 성역화 및 충효 삼문 복원식)

  5)14:10-15:00 : 충효 삼문 준공식, 현판식, 현충비 立碑式 거행

  6)15:00-15:40 : 괴산읍 도착. 올갱이국 저녁 식사

  7)16:00-19:00 : 서울 착. 해산

  8)19:00-22:00 : 일부 인원 뒷풀이

 

일요일 아침이다. 일찍 일어나야 했다. 창밖 하늘을 본다. 구름이 가득하다. 밖을 보니 가랑 비가 조금씩 내리고 있다. 오늘 행사가 걱정이다. 서둘러 준비하고 서울 잠실 롯데호텔 앞의 너구리 상 앞으로 갔다. 약속 시간 10분 전인데도 벌써 여러분이 와 계신다. 반가운 광명 관광 버스도 대기하고 있다. 현양회 사무국장(김영식)님과 인사를 하고 반가운 일가 여러분과도 인사를 했다. 발용님(군)과 성회님(안), 만길님(익), 대종회 사무국장 명회님, 태일님(제)께서 와 계셨다. 발용님은 6시 30분부터 기다리셨다 한다. 특히 광명관광의 웅회님(안)께서는 이번 행사에 관광버스를 무료로 제공하시고 직접 행사에 참여하기도 하셨다. 08:00시에 잠실을 출발한 버스는 중부고속도로로 접어들었다. 현양회 이춘우 회장님의 사모님과 김영식 사무국장 사모님께서는 준비해 오신 떡을 나누어 주셨다. 따끈하고 맛있었다. 행사 참여자들에 대한 섬세한 배려에 감사했다. 회장님 사모님은 바로 우리 안동김씨 제학공파 참봉공 휘 우갑(5갑 중의 셋째) 선조님의 13세손이시며 회자 항렬이셨다. 이어 현양회 사무국장님의 사회로 인사소개가 있었다. 현양회의 명예회장이신 박형규 전 국회의원이 소개되었다. 바로 <영광은 햇빛처럼>(김사달 박사 전기)의 저자이시다. 다음으로 서봉 김사달 박사 사모님(조남순 여사)이 소개 되었다. 모두 놀랍고 반가웠다. 소설식 전기문인 <영광은 햇빛처럼> 속에서 한국적 여인으로 각별하게 묘사 되어있는 사모님을 떠올리며 바라 보았다. 역시 그랬다. 아니 오히려 더욱 여성다우셨다. 맨 끝으로 우리 안동김씨 문중인들이 소개 되었다.

 

이 자리에서 충숙공 김시약 장군에 대해 논의되고 있는 병조참판 추증시기, 충숙공 시호의 출전 근거 등에 대해 간단한 설명 말씀을 드렸다. 우선 현양회에서 발간한 <충숙공 김시약 장군>의 책자에 실려 있는 '인조조에 병조참판에 추증되다'는 기록은 안동김씨 제학공파보의 오기 기록 내용을 검증없이 그대로 인용함으로 발생한 오류였다. 이는 '숙종조로 수정돼야 함'과(왕조실록 근거) '충숙공'의 시호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 근거 자료는 없고 다만 김시약 장군의 구 상석에 시호가 새겨져 있음과 안동김씨 제학공파 파보의 <김시약 장군 사적>란 기록 내용(--- 그 후 충숙의 시호를 받음)을 근거하고 있음을 말씀 드렸다. 약 20명 모두의 인사 소개가 있은 다음 김영식 사무국장님으로부터 현양회 활동의 그동안의 경과 보고가 있었다.

10시 경 버스는 증평 I.C를 나와 사리면을 지나 모래재 정상의 보광산 휴게소에서 잠시 멈췄다. 앞에 있는 보광산 상봉에는 나의 13대조(감사공 휘 소), 12대조 할아버님(승지공 휘 구만)의 묘소가 있다. 그런데 산 정상은 구름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이 산 주변에는 나의 선조님들이 약 400여 년 간 살아오신 역사의 고장이다. 가랑비는 계속해서 오고 있다. 행사가 걱정이다.

 

10시 40분, 덕평리에 도착했다. 먼저 덕평2리 경노당으로 갔다. 이곳에서 점심을 마치고 행사장인 덕평 출장소(민원실)로 옮겼다. 우천관계로 묘소에는 전혀 오를 수가 없기에 임시로 이곳에 제례소를 차렸다. 시제 준비를 위해 제수를 진설하고 있는데 오창의 안렴사공파 일가분들(재택회장님, 재균님. 등 약 4명)과 병천의 제학공파 일가분(창규님외 3인)들, 그리고 괴산의 제학공파 일가분들(학응님, 태옥님, 규문님, 용두님), 청주의 일가분 4명 등이 오셨다. 반갑게 인사를 하였다. 그리고 반가운 주회님(안)도 청주에서 승용차로 온 가족이 오셨다.

 그러다 갑자기 발용님으로부터 김사달 박사 묵적비를 보러 가자는 제안이 나왔다. 행사 시작 시간 1시까지 약 30여 분이 남았다. 빠르게 움직이면 될 것 같았다. 우리들의 몸놀림은 빨라졌다. 주회님의 승용차를 탄 우리는 불과 7분 만에 현지에 도착하였다. 도로 옆에 약 15M 위에 있는 묵적비로 가서 열심히 사진을 찍으며 감상하였고 이어 바로 옆 직선 거리 약 50M에 있는 서봉 묘소로 가서 참배하였다. 묘비는 컸다. 당대 최대의 문장가였던 이가원박사가 찬하고 전면은 海丁 朴泰俊님이 후면은 草溪 鄭道準님이 書하였다. 모두 당대 최고의 서예가 들이었다.

 다시 급히 차를 몰아 출장소로 향했다. 정각 1시였다. 시제가 시작되어 막 초헌례가 시작되었다. 맨 뒤에서 제례에 임했다. 화암서원 원장이요 본 현양회 부회장님이신 박온섭님께서 집례를 맡아 홀기를 읽으셨다. 초헌관은 김문배 괴산군수, 아헌관은 현양회 이춘우회장님, 종헌관에는 문중대표로 제학공파 김창규님(병천 거주)께서 올렸다. 제학공파 태옥님과 규문님께서 집사를 보셨다. 김시약 장군은 가운데에, 좌에는 장남 긍, 우측에는 차남 규를 모시고 제례하였다.

 

시제를 마치자 그 자리에서 바로 <충숙공 김시약 장군 삼부자 묘역 성역화 및 충효 삼문 복원 기념식>을 거행하였다. 먼저 묘역 성역화 사업과 충효삼문 복원에 공이 많은 분들에 대한 감사패 전달이 있었다, 이 때 대종회에서 준비한 공로패를 2분에게 대종회 회장님을 대리하여 김학응 제학공파 종회장님께서 전달하였다. 회장님 인사, 군수님, 안동준 전국회의원, 박형규 전 국회의원, 안동김씨 제학공파 김학응 종회장님, 허용기 김시민장군 기념사업회장님의 축사가 있었다. 다음 현재의 사업으로 발전되고 전개되기까지의 전 과정을 설명하는 경과보고가 있었다.

이어 모든 사람들은 버스를 타고 가지산 김시약 장군 묘역 아래에 있는 충효 삼문으로 갔다. 복원 기념 테이프 끊기 행사를 하고 모든 이는 삼문과 그 옆에 있는 현충비를 살폈다. 전면에는 <贈嘉善大夫兵曹參判諡忠肅 安東金公時若將軍之顯忠碑>라 적혀 있었다. 3면의 비문은 명문중의 명문이었다. 박형규 전 의원께서 찬하고 썼으며 안동준 전 의원께서 전서를 쓰셨다. 열심히 촬영하였다.

 

붉은 찰흙길이 비에 젖어 신발은 엉망이었다. 신발을 새로 닦은 아스팔트 위로 흐르는 물로 닦고 이제 여러분들과 작별을 해야했다. 허용기 회장으로부터 김시민장군 친필을 촬영하기 위해 진주 박물관으로 사람을 보냈다는 말을 들었다. 주회님과 작별하고 버스에 올랐다. 오는 도중 괴산읍에 들러 괴산의 자랑인 올갱이국을 맛있게 먹었다. 괴산 향가에 전화를 걸어 어머님께 들르지 못하고 다녀감을 말씀 드린다. 괜시리 철없는 불효자 같아 마음이 써늘했다.

 4시경 버스는 서울로 향했다. 중부고속도로는 음성부터 지체되었다. 국도로 나와 한참을 가다가는 다시 고속도로로 진입하였다. 기사님의 운전솜씨가 일품이었다. 이곳 청천이 고향이신 분이란다. 그 사이 버스 안에서는 노래방 기기로 흥겨운 노래자랑이 있었다. 7시에 서울 잠실 출발지에 도착하였다. 여러분들과 헤어지고 사무국장님 내외분과 몇몇 종친 여러분들은 잠실 신천의 메기 매운탕집으로 가서 다시 몇잔의 술과 식사로 뒷풀이를 하였다. 이 자리에서 현충비 비문 전체를 낭독하고 음미하는 시간도 가졌다. 밤 10시경이 돼서야 모두 헤어졌다.

우중의 행사였다. 행사 진행 집행부나 참여한 사람들 모두가 쉽지 않은 행사를 마쳤다. 그러나 모두 가슴 부듯함을 안고 돌아 가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저 먼 곳에 계신 충숙공 김시약 장군님의 넋이 이제서야 편히 영면하실 것 같다.

 

ankim04-11z326.jpg  ankim04-11z327.jpg

<행사 리본 및 팜플렛>

 

ankim04-11z328.jpg

<잠실 집합장소. 광명관광 전세버스>

 

ankim04-11z329.jpg

  <잠실 집합장소>

 

ankim04-11z330.jpg

   <괴산군 사리면 모래재 보광산 휴게소에서>

 

ankim04-11z331.jpg

<紙位>

 

ankim04-11z332.jpg

<시제 장면>(초헌)

 

ankim04-11z333.jpg

<시제장면>(아헌)

 

ankim04-11z334.jpg

<기념식 장면>(안동김씨 대종회로 부터 공로패 전달)

 

  ankim04-11z335.jpg

 <기념사진>

 

  ankim04-11z336.jpg

<가지산 김시약 장군 묘가 있는 곳>(중앙 철탑 좌측 150m 아래)

 

ankim04-11z337.jpg

<새로 조성된 묘역>(행사 팜플렛 사진)

 

  ankim04-11z338.jpg

<현충비>

 

  ankim04-11z339.jpg

<충효삼문>

 

ankim04-11z340.jpg

<충효삼문 현판>

 

ankim04-11z341.jpg

<삼문 내부 현액>(충숙공 김시약 장군)

 

ankim04-11z342.jpg

<삼문 내부 현액>(첨정 김 긍)

 

ankim04-11z343.jpg

<삼문 내부 현액>(첨정 김규)

 

ankim04-11z344.jpg

<충효삼문 준공식>

 

ankim04-11z345.jpg

  <행사인사 상경 도중>

 

ankim04-11z346.jpg

 <행사 인사 상경 도중 기념촬영>

 

 

p20.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