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학공파(익달)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김영돈

 2. 김 진

 3. 김익달

 4. 김 고

 5. 김맹렴

 6. 김철균

 7. 김수형,김수진

 8. 김언홍,김언묵

 9. 김 익

10. 김 석

11. 김충갑

12. 김효갑

13. 김우갑

14. 김제갑

15. 김인갑

16. 김시회

17. 김시민,시진

18. 김시헌

19. 김시백

20. 김시약

21. 김시량

22. 김시훈

23. 김시열

24. 김시양

25. 김 치

26. 김약,김기

27. 김 소

28. 김 번

29. 김 경

30. 김 휘

30-1.김 호

31. 김득신

32. 김구만

33. 김천주

34. 김남정

35. 김가교

36. 김가행

37. 김항광

38. 김대건

39. 김긍,김규

40. 김봉지

41. 김인지

42. 김가근

43. 김변광

44. 김항광

45. 김 필

46. 김유대

47. 김호묵

48. 김구호

49. 김동호

50. 김항묵

51. 김시응

52. 김철응

53. 김선응

54. 김기응

55. 김업수

56. 김유일처

57. 김유생처

58. 김유대처

59. 김철응처

60. 김상익

61. 김용응

62. 김상형

63. 김상철

64. 김구응

65. 김 추

본문

 

p02.png6) 김철균(金哲鈞)

           주부공(主簿公). 생몰년 미상,1420년(세종2)--1444년(세종26) 추정.

 

벼슬은 전농시(典農寺) 주부(主簿)를 지냈으며 향년 25세임. 묘는 경기도 시흥군 개죽동(현 서울시 관악구 상도동)에서 1968년 충남 천안시 병천면 백전으로 천봉(遷封)함. 빙장은 양령대군임.

 

배위(配位)는 영평현주(永平縣主) 전주이씨(全州李氏)로 부(父) 양령대군(讓寧大君) 강정공(剛靖公) 제(禔)의 3녀이시다. 외조(外祖)는 찬성(贊成) 증좌의정(贈左議政)인 광주김씨(光州金氏) 한로(漢老)이다.  

 

  *처음 묘비석에는 균자비문(勻字碑文)을 씀-주부공의 원래 휘는 철균(哲鈞)인데 선조임금의 휘(균-鈞)와 같았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후에 '균(鈞)'자의 '金'을 지우고 '勻'자만 묘비에 남아 있게 했다.

 

ankim04-11z120.jpg

 <신묘비>(1988. 9. 세움. 건립식 시 항용(제) 촬영)

<2007. 5. 9. 항용 참배. 촬영 제공 사진>

 

 ankim04-11z121.jpg

<좌-주부공(휘 철균),   우-승지공(휘 수형)>

 

 ankim04-11z122.jpg

<주부공>

 

  ankim04-11z123.jpg  ankim04-11z124.jpg

<구 묘비 전면>(우-典農主簿金哲勻之墓, 좌-永平縣主全州李氏之墓)

 

 ankim04-11z125.jpg  ankim04-11z126.jpg

<구 묘비 후면> (弘治 十三年(1500년-연산6) 三月  日 立)

건립 연대(1500년)로 보아 子인 壽眞, 孫인 彦弘, 彦黙, 興門, 昌門, 顯門, 彦璋, 彦誠, 彦邦, 彦國 등의 합심으로 세웠을 것으로 보임.  

 

ankim04-11z127.jpg

<신묘비>

 

  ankim04-11z128.jpg   ankim04-11z129.jpg   ankim04-11z130.jpg

<신묘비문 음기>

 

 <主簿公(諱 哲鈞) 묘비문>

 

 公의 諱는 哲鈞이요 安東人이라. 新羅 敬順王의 遠孫으로서 高麗 忠烈王朝에서 出將入相하시면서 內憂外患을 克服하신 諱 方慶은 都元帥로서 日本을 征伐하여 官爵이 宣忠協謀定亂靖國功臣 壁上三韓 三重大匡 僉議中贊 世子師 上洛郡開國公이시고 諡號는 忠烈이시며 中始祖가 되신다. 六代祖의 諱는 恂이니 忠烈王朝에 文科에 及第하여 學士直講 在任中 日本 征伐을 進言했으나 忠烈公이 不許하자 戰船 潛登하여 父業을 補佐하시고 殿中侍御使 密直副使가 되시고 忠宣王이 重大匡上洛君을 封하시고 判三司事를 除授하다 諡號는 文英이라. 文英公이 生永暾하니 忠惠王때 登文科 後 曹頔亂을 平定하여 一等功臣에 策錄되고 左政丞으로 上洛副院君을 封하니 諡號가 文肅公이요 高祖의 諱는 縝이니 端成勵節補祚功臣 重大匡 判慈惠院事 上洛伯이라.  

 

 以上 史蹟은 高麗史에 記錄되었다. 禑王때 文科에 及第하시고 正順大夫 密直左司 左副代言 寶文閣直提學을 歷任하신 諱 益達은 曾祖요 派祖가 되신다. 祖 諱는 顧이니 二十에 文科 及第 後 通政大夫 左司諫 兼 世子 右輔德을 歷任하시고 早卒하니 世宗大王께서 將來 큰 人物을 잃었다 하시면서 親히 弔問까지 하시고 哀惜하셨다 한다. 考의 諱는 孟廉이라 司憲府 監察로 早卒하시고 妣는 晋州河氏 領議政 演의 따님으로 公을 生하다. 公이 典農寺主簿로 夭逝하니 享年 二十五라 어찌하여 三代의 壽가 德을 채우지 못했도다. 初에 始興市 개(羊+儿)笛洞(서울 上道洞)에 葬禮하였으나 一九六八年 戊申에 天原郡 並川面 栢田里 訥岳洞 戊坐 原에 遷墓하다. 配 永平縣主 全州李氏는 讓寧大君 剛靖公 식(衣+是)의 女라. 四男二女를 生하니 長男 壽亨은 贈承政院左承旨라 安東權氏 左議政 吉昌府院君 翼平公 擥의 女를 娶하여 二男을 生하니 長에 彦弘은 義禁府都事요 次에 彦黙은 贈吏曹參判이며 二男 壽元이 靈山辛氏 判事 肅의 女를 娶하여 三男一女를 生하니 長에 興門은 別座요 次에 昌門은 司直이요 次는 顯門이며 女는 全義李誠에게 出嫁하다. 三男壽仁은 龍仁李氏 府事 允若의 女를 娶하여 二女를 生하니 長은 海平尹震에게 次는 幸州奇遠에게 各其出嫁하다 四男 壽眞은 生員이니 宜人 遂安李氏 牧使 汝諧의 女를 娶하여 四男 二女를 生하니 男에 長은 彦璋이니 忠武衛요 次에 彦誠은 副司直이요 次에 彦邦은 僉使요 次에 彦國은 司直이며 女에 長은 順興安瑚에게 次는 順興安友益에게 各其 出嫁하였으며 以下는 不盡錄하고 다만 世德과 世次를 右와 如히 大畧을 記述하노라

 

一九八八年 戊辰 八月 八日 謹立

 主簿公 十六代孫 相馨 謹撰

按廉使公 二十代孫 崙會 謹書

 

ankim04-11z131.jpg   ankim04-11z132.jpg

<문관석과 망주석  좌, 우>

 

ankim04-11z133.jpg

<산신단으로 쓰이고 있는 승지공 구 상석>

 

ankim04-11z134.jpg

<묘소 뒤에서 잣밭을 내려 보며>

 

ankim04-11z135.jpg

 <상석>

 

<이안공사 장면>

 

  본 묘소는 지난 2006년 12월 28일 제학공파 백전 종중에서 약 30여 명이 모여 충남 천안시 병천면 백전 눌악동에 있던 공의 묘소를 병천면 백전 뒷산 기슭의 학암묘원 상단에 있는 아드님 승지공(휘 수형) 묘소의 좌측으로 모신 것이다.

 

ankim04-11z136.jpg

 

ankim04-11z137.jpg

 

ankim04-11z138.jpg

 

ankim04-11z139.jpg

   이안 조성 후의 모습

 

 

p20.png